목차
1. m-commerce
2. 유비쿼터스
2. 유비쿼터스
본문내용
상거래에 이어 최근에는 유비쿼터스 네트워크 RFID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IC칩과 무선을 통해 식품, 동물, 사물 등 다양한 개체의 정보를 관리할 수 있는 차세대 인식 기술이다. RFID 시스템은 안테나, 트랜시버, 트랜스폰더라고도 불리는 태그의 세 가지 요소로 구성된다. RFID 기술은 출입 통제 시스템이나 전자 요금 지불 시스템에 많이 이용된다.(위키백과)
를 기반으로 하는 유비쿼터스 물류에 관한 연구 개발이 활발하다.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에서는 상품의 위치추적, 재고 관리, 고객관리 등을 효율화 할 수 있으며 특히 상태 감시 위치 추적 등의 서비스를 통해 실시간 물류 관리가 가능하다. 생산지와 물품에 대한 기본정보, 유통정보 등이 실린 RFID를 부착한 물품은 자동적으로 요금이 청구되도록 한다. 공급자 입장에서 보면 이로써 물류유통 및 관리가 보다 효율화된다고 할 수 있다.
3) Digital Home
국내에서 유비쿼터스를 논의하면서 최근에 가장 관심을 모으고 있는 것이 디지털 홈이다. 사회구성의 최소단위로서의 '홈(집)은 외부와 연결이 가능한 개방적 환경으로 변모해가고 있다. 홈네트워크 시스템은 다른 유비쿼터스 환경 구현에서와 같이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그 하나는 집에 대한 모든 정보가 휴대전화나 PDA를 통하여 자신에게 전달되고 모든 상황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이며 다른 하나는 가정내의 스마트 환경이 주인을 인식하고 그에게 익숙한 환경을 자동적으로 구현하여 주는 것이다. 예를 들어 휴대폰으로 전기밥솥 작동, 조리 및 세탁, 보일러 온도조절 등의 지시가 가능하며 냉장고가 스스로 RFID가 부착된 식품의 상태 파악 및 미리 입력된 저장목록 저장에 의해 부족한 식품을 자동 주문한다. 영상전화나 전자의료기기가 부착된 휴대전화, 화장실 변기나 거울 등을 통하여 자신의 건강상태 등이 의사에게 전달되고 이를 통하여 의사의 진단 및 약이 택배로 배달되기도 한다. 외출 후에는 집 안팎의 상황 및 다녀간 외부인 확인 내역 등이 수시로 컴퓨터나 휴대폰으로 전달돼, 전기누전 등으로 화재가 발생하면, 자동으로 소방서에 신고한다. 그리고 집 자체가 칩을 부착한 자신을 인식하여 문을 열어주고 방안의 온도와 습도 TV프로그램 등을 맞추어 주며, 주방에선, 냉장고 안에 있는 식품 재료 등을 조사하고 가능한 요리메뉴와 조리법을 제안하여 주기도 할 것이다.
국내에서는 정보통신부가 편리한, 즐거운, 안전한, 윤택한 삶을 가능하게 하도록 하기 위한 디지털 라이프 실현을 위한 디지털 홈 구축 계획을 2003년에 발표하였다. 총 2조원의 예산을 투입해 전체가구의 61% 수준인 1000만 가구에 디지털 홈 환경을 구축하는 것이다. 총 3단계 계획으로, 1단계로 홈오토메이션, 원격제어가 가능하게 하며 2단계에서는 고선명 TV, 주문형 비디오(VOD) 등 양방향 멀티미디어 서비스, 그리고 3단계에서는 가정내 모든 기기가 하나의 네트워크로 구성돼 기기에 관계없이 서비스가 가능한 환경을 완성하는데 있다.
를 기반으로 하는 유비쿼터스 물류에 관한 연구 개발이 활발하다.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에서는 상품의 위치추적, 재고 관리, 고객관리 등을 효율화 할 수 있으며 특히 상태 감시 위치 추적 등의 서비스를 통해 실시간 물류 관리가 가능하다. 생산지와 물품에 대한 기본정보, 유통정보 등이 실린 RFID를 부착한 물품은 자동적으로 요금이 청구되도록 한다. 공급자 입장에서 보면 이로써 물류유통 및 관리가 보다 효율화된다고 할 수 있다.
3) Digital Home
국내에서 유비쿼터스를 논의하면서 최근에 가장 관심을 모으고 있는 것이 디지털 홈이다. 사회구성의 최소단위로서의 '홈(집)은 외부와 연결이 가능한 개방적 환경으로 변모해가고 있다. 홈네트워크 시스템은 다른 유비쿼터스 환경 구현에서와 같이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그 하나는 집에 대한 모든 정보가 휴대전화나 PDA를 통하여 자신에게 전달되고 모든 상황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이며 다른 하나는 가정내의 스마트 환경이 주인을 인식하고 그에게 익숙한 환경을 자동적으로 구현하여 주는 것이다. 예를 들어 휴대폰으로 전기밥솥 작동, 조리 및 세탁, 보일러 온도조절 등의 지시가 가능하며 냉장고가 스스로 RFID가 부착된 식품의 상태 파악 및 미리 입력된 저장목록 저장에 의해 부족한 식품을 자동 주문한다. 영상전화나 전자의료기기가 부착된 휴대전화, 화장실 변기나 거울 등을 통하여 자신의 건강상태 등이 의사에게 전달되고 이를 통하여 의사의 진단 및 약이 택배로 배달되기도 한다. 외출 후에는 집 안팎의 상황 및 다녀간 외부인 확인 내역 등이 수시로 컴퓨터나 휴대폰으로 전달돼, 전기누전 등으로 화재가 발생하면, 자동으로 소방서에 신고한다. 그리고 집 자체가 칩을 부착한 자신을 인식하여 문을 열어주고 방안의 온도와 습도 TV프로그램 등을 맞추어 주며, 주방에선, 냉장고 안에 있는 식품 재료 등을 조사하고 가능한 요리메뉴와 조리법을 제안하여 주기도 할 것이다.
국내에서는 정보통신부가 편리한, 즐거운, 안전한, 윤택한 삶을 가능하게 하도록 하기 위한 디지털 라이프 실현을 위한 디지털 홈 구축 계획을 2003년에 발표하였다. 총 2조원의 예산을 투입해 전체가구의 61% 수준인 1000만 가구에 디지털 홈 환경을 구축하는 것이다. 총 3단계 계획으로, 1단계로 홈오토메이션, 원격제어가 가능하게 하며 2단계에서는 고선명 TV, 주문형 비디오(VOD) 등 양방향 멀티미디어 서비스, 그리고 3단계에서는 가정내 모든 기기가 하나의 네트워크로 구성돼 기기에 관계없이 서비스가 가능한 환경을 완성하는데 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