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상법의 의의
(1)형식적 의의의 상법
(2)실질적 의의의 상법
(3)양자의 관계
2.상법의 지위
(1)민법과의 관계
1)민법 규정의 보충적 적용
2)민법 규정의 변경
3)독자적인 특수제도
(2)타 법률과의 관계
1)노동법과의 관계
2)경제법과의 관계
3)상법과 어음 수표법
(1)형식적 의의의 상법
(2)실질적 의의의 상법
(3)양자의 관계
2.상법의 지위
(1)민법과의 관계
1)민법 규정의 보충적 적용
2)민법 규정의 변경
3)독자적인 특수제도
(2)타 법률과의 관계
1)노동법과의 관계
2)경제법과의 관계
3)상법과 어음 수표법
본문내용
도 사회전체의 이익을 추구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공정거래법 등이 여기에 속한다.
3)상법과 어음 수표법
어음 수표법은 구 상법에서는 상행위로 상법의 영역에 포함되었으나 현행 상법에서는 상행위로 규정하지 않았다. 또 해석상으로도 어음 수표법은 광의의 민법의 영역에 속한다고 보는 설과 실질적 의의의 상법의 영역에 포함된다고 보는 설이 대립하고 있다.
3)상법과 어음 수표법
어음 수표법은 구 상법에서는 상행위로 상법의 영역에 포함되었으나 현행 상법에서는 상행위로 규정하지 않았다. 또 해석상으로도 어음 수표법은 광의의 민법의 영역에 속한다고 보는 설과 실질적 의의의 상법의 영역에 포함된다고 보는 설이 대립하고 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