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시대왕][고려왕][혜종][충목왕][충정왕][공민왕][우왕][창왕][공양왕]고려시대의 왕, 고려 혜종 - 고려 충목왕, 고려 충정왕, 고려 공민왕, 고려 우왕, 고려 창왕과 고려 공양왕에 관한 심층 분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고려시대왕][고려왕][혜종][충목왕][충정왕][공민왕][우왕][창왕][공양왕]고려시대의 왕, 고려 혜종 - 고려 충목왕, 고려 충정왕, 고려 공민왕, 고려 우왕, 고려 창왕과 고려 공양왕에 관한 심층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고려시대의 왕
1. 태조왕건
2. 대망의 후삼국 통일

Ⅱ. 혜종 ~ 충목왕

Ⅲ. 충정왕
1. 출생과 성장과정
2. 고려 제30대 왕으로 등극
3. 충정왕의 가족들

Ⅳ. 공민왕

Ⅴ. 우왕
1. 출생과 성장과정
2. 고려 제32대 왕으로 등극
3. 우왕의 가족들

Ⅵ. 창왕과 공양왕

참고문헌

본문내용

확보할 수 있었다.
Ⅴ. 우왕
(禑,1364~1389) 고려의 제32대왕 재위기간 1374~1388
1. 출생과 성장과정
우왕은 공민왕의 장남이자 시비 반야의 소생으로 1365년에 태어났으며, 어릴 때의 이름은 모니노(牟尼奴)이며, 신돈(辛旽)의 시비(侍婢)인 반야(般若)의 소생으로 전해진다. 1371년(공민왕 20) 신돈이 실각하자 당시 후사가 없던 공민왕이 근신(近臣) 에게 자기가 전에 신돈의 집에 행차하여 그의 시비와 상관해서 아들을 낳은바 있음을 밝힘으로써 공민왕의 아들임이 알려지게 되었다.
그뒤 신돈이 주살된 직후에 궁중에 들어가 우(禑)라는 이름을 받고 강녕부원대군(江寧府院大君)에 봉하여졌으며, 백문보(白文寶)·전녹생(田祿生)· 정추(鄭樞)를 사부로 삼아 학문을 배웠다. 그리고는 궁인 한씨(韓氏)의 소생인 것으로 발표되었다. 1374년에 공민왕이 시해되자, 이인임(李仁任)·왕안덕(王安德) 등에 의해서 옹립되어 10세의 어린 나이로 즉위하였다.
2. 고려 제32대 왕으로 등극
우왕이 즉위하자마자 북원(北元)이나 명나라와의 복잡한 외교문제가 계속 발생하였고, 더욱이 왜구의 침탈이 극심하여 왜구가 부여와 공주를 침입하여 공주를 점령하는 사건이 일어났다. 이에 최영과 최무선 등이 화약과 화포로 왜구를 격퇴시키는 등, 매우 불안정한 정세를 맞이하였다. 그러나 이인임과 최영(崔瑩)이 정치적 실권을 장악한 가운데 정사를 돌보지 않고 환관 또는 악소배(惡少輩)들과 사냥이나 유희를 일삼았다.
1388년(우왕 14)에 명나라에서 철령위(鐵嶺衛)의 설치를 일방적으로 통고하여 오자, 크게 분개하여 이성계(李成桂)의 반대를 물리치고 최영의 주장에 따라 요동정벌을 단행하였다. 그러나 우군도통사(右軍都統使)이성계의 위화도회군(威化島回軍)으로 요동 정벌이 실현되지 못하였을뿐 아니라, 이성계에 의하여 최영이 실각함과 동시에 폐위되어 강화도로 안치되었다.
그뒤 여흥군(驪興郡: 지금의 驪州)으로 이치(移置) 되었다가 1389년(공양왕 1) 11월에 김저(金佇)와 모의하여 이성계를 제거하려 하였다는 혐의를 받아 강릉으로 다시 옮겨졌으며, 다음달에 그곳에서 죽음을 당하였다.
당시 이성계 등은 우왕이 공민왕의 아들이 아니라 신돈의 아들이라고 주장하면서 폐가입진(廢假立眞)이라 하여 우왕과 그 아들 창왕을 폐위하고 공양왕 을 옹립하는 명분으로 삼았다. 이에 따라 《고려사》에서도 우왕의 세가(世家)를 열전(列傳)의 반역전(叛逆 傳)에 편입시켜 신우전(辛禑傳)으로 다루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우창비왕설(禑昌非王說)은 그 진위가 가려지지 않은 채, 이성계 등의 공양왕 옹립이나 조선건국을 합리화시키려는 입장을 반영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그가 폐위된 뒤에 그의 아들 창이 왕위를 이어받았지만 1년 5개월만에 폐위되었으며, 신종의 7세손 공양왕이 즉위한 후 정단문학 세균형을 강릉에 보내 우왕을 죽이도록 하였다. 이때 우왕의 나이 25세였다.
3. 우왕의 가족들
우왕은 근비 이씨, 영비 최씨, 의비 노씨, 숙비 최씨, 안비 강씨, 정비 신씨, 덕비 조씨, 선비 왕씨, 현비 안씨 등 9명의 부인을 두었으며, 근비 이씨에게서 창을 낳았다.
Ⅵ. 창왕과 공양왕
창왕 - 고려의 제33대왕 재위기간 1388~1389
공양왕 - 고려 제34대왕 재위기간 13891392
참고문헌
고려 공민왕대 반원적 개혁정치의 전개과정, 일조각
김갑동, 김갑동 교수의 태조왕건
김석우, 왕건에게서 배우는 디지털 리더십
김은택, 고려태조왕건
김창현 외, 고려시대 사람들 어떻게 살았을까-정치경제생활이야기, 청년사
민현구, 고려500년 의문과 진실, 김영사
이계표(1987), 신돈의 화엄신앙과 공민왕, 전남사학

키워드

  • 가격5,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9.03.11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233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