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에서의 흑인문화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에서의 흑인문화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한국의 힙합음악
(1) 한국음악의 힙합 수용 역사
- 도입기
- 과도기
- 정착기
- 정착기

(2) 우리나라 속 힙합의 현주소

2. B-Boy
(1) 한국의 B-Boy

(2) 한류 문화로서의 비보이

(3) 한국 비보이의 실력이 세계 최고 수준에 오르게 된 비결

3. 결론

본문내용

위성방송 KBS SKY에서 비보이 배틀 프로그램이 방송되고 있으며, 매경TV, M.net, MTV 등 케이블방송에서 비보이 관련 고정프로와 특집프로를 방영 중이다. 또 실력파 비보이들이 수많은 음료, 맥주, 자동차, 아파트, 청바지 광고에 등장하고 있다.
(3) 한국 비보이의 실력이 세계 최고 수준에 오르게 된 비결
첫째, 우리 민족이 박자에 강하다는 것을 들 수 있다. 탈춤만 봐도 박자와 추임새에 따라 춤을 추는데 이는 비트를 타고 춤을 추는 비보잉과 근본적으로 비슷하다.
둘째, 한국이 인터넷 강국이라는 것이다. 초고속 인터넷이 잘 보급돼 온라인 매체를 통한 춤 동영상자료 접근이 쉬워 전반적으로 비보이들의 실력이 향상됐다. 예전에는 어떤 기술을 A선배, 또 다른 기술을 B선배에게 배워야 했으나 이제는 그럴 필요가 없어진 것이다.
전주 출신의 ‘라스트 포 원’이 2005년 ‘배틀 오브 더 이어’ 챔피언에 등극한 것도 인터넷 덕분으로 여겨진다. 이들은 국내에서 인지도가 별로 없었는데 인터넷 학습(e-러닝)을 통해 실력을 향상시켜 혜성과 같이 나타난 케이스라는 것이다.
한국의 비보이들은 국내뿐 아니라 세계 각국의 최고 실력파 비보이 동영상 자료를 보며 고도의 테크닉을 연마 할 수 있고, 거기에 자기만의 독창성을 더한 새로운 동작을 고안해내며, 상대방의 약점을 딛고 이길 수 있는 비장의 무기마저 찾는다.
셋째, 한국 비보이들의 피나는 연습이다. 보통 외국의 비보이는 생계를 위해 아르바이트를 하거나 여가 시간을 즐기면서 춤 연습을 하는데, 한국의 비보이는 하루 10시간 이상 춤만 춘다는 것이다. 상대적으로 더 많은 시간을 투자해 실패에 실패를 거듭하며 새로운 춤 동작을 완벽하게 연마해 나간다.
3. 결론
많은 사람들은 흑인문화가 가진 다양한 감성과 한국에서의 토착화과정을 거쳐 한국만의 특색 있는 문화로 발전하고 있다는 걸 잘 모른다. 하지만 인류사적 보편성과 민족사적 특수성 속에서 음악이란 장르에 머무르지 않고 다양한 감성과 문화를 향유한다는 점은 앞으로의 한국내 흑인문화의 확장성과 함께 세계적인 보편성으로 인정받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 다문화란 어느 특정된 문화를 고집하는 것이 아닌 서로간에 존재하는 가치관과 문화의 차이를 이해하고 그 변화를 능동적으로 추구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앞으로 흑인문화란 카테고리가 아닌 다른 곳에서 받아들이고 발전시킨 다른 문화로 이해하는 편이 좋지 않을까란 생각이 든다.
  • 가격1,2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9.03.11
  • 저작시기2009.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238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