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오픈마켓의 개념
2. 오픈마켓의 기본 시스템
3. 오픈마켓의 실패사례
4. 오픈마켓 이용시 주의점
5. 오픈마켓의 개선방향 제시
2. 오픈마켓의 기본 시스템
3. 오픈마켓의 실패사례
4. 오픈마켓 이용시 주의점
5. 오픈마켓의 개선방향 제시
본문내용
확인
5. 피해 발생시 소비자 보호단체의 적극 이용
5. 오픈마켓의 개선방향 제시
전자상거래는 모르는 사람들끼리 하는 거래이기 때문에 ‘상호간의 신뢰 구축’이 제일 중요합니다. 안전장치가 있긴 하지만, 그 약점을 노리는 범죄자들은 항상 있게 마련입니다.
현재는 판매자가 물품을 보내면 해당 오픈마켓에 접속하여 송장번호를 수작업으로 기입을 해야 합니다. 그리고 물품이 배송되면 소비자는 오픈마켓에 접속해 수취확인을 눌러주어야 하는데 이중 한쪽만 실수를 해도 결재액의 올바른 처리가 어렵습니다.
저는 판매자구매자의 신뢰구축, 그리고 신속한 구매완료를 통한 빠른 자금회전을 위해 ‘유비쿼터스 통합배송’이라는 개념을 제시합니다. 현재 G마켓에서 쓰는 통합택배의 진화된 모습입니다. 이것은 택배사-판매자-오픈마켓-소비자가 유비쿼터스(무선인터넷)로 이어지기 때문에 실시간으로 업무처리가 가능하고, 일일이 컴퓨터에 접속할 필요가 없습니다.
예를 들면 판매자가 배송을 하게되면 택배사에서 물품을 수거함과 동시에 송장번호가 오픈마켓으로 자동전송됩니다. 소비자가 물건을 받을때 택배기사가 가진 무선장비에 싸인을 하게되면 이 정보가 실시간으로 오픈마켓으로 넘어갑니다. 그러면 자동으로 수취확인이 되는 것이고, 상품평같은 것도 말씀하시면 추가로 같이 넘어가게 됩니다.
만약 기사앞에서 물품을 확인했을때 오배송 또는 제품의 하자가 있으면, 택배기사가 가진 무선장비를 통해 반품 또는 교환 등의 신호가 오픈마켓으로 넘어감과 동시에 결재가 중단될 것입니다. 이렇게 되면 판매자는 수작업으로 수많은 송장번호를 기입하는 수고를 덜고, 소비자는 수취확인 및 상품평 등을 입력하는 번거로움, 그리고 오배송이나 반품시의 불편함 등이 확 줄어들 것입니다.
하지만 이것이 현실화 되려면 세가지 전제조건이 있습니다.
첫 번째, 전국적으로 무선인넷망이 깔려 있어야 합니다.
두 번째, 택배사-오픈마켓-판매자간의 자료를 송수신할때의 표준화 작업이 되어야 합니다. 이것은 국가단위의 대규모 지원이 있어야 가능할 것입니다.
세 번째, 표준안 제정후 이것을 따르도록 하는 국가의 제도가 뒷받침되어야 합니다.
오픈마켓은 새로운 상거래의 패러다임으로 다가왔습니다.
이것이 새로운 진화의 틀이 될지 아니면 신흥범죄의 기폭제가 될지는 아직 알 수 없습니다. 다만 상거래의 주체인 판매자와 구매자를 서로 Win-Win 시킬 수 있는 법적 제도와 지원이 미래를 결정할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5. 피해 발생시 소비자 보호단체의 적극 이용
5. 오픈마켓의 개선방향 제시
전자상거래는 모르는 사람들끼리 하는 거래이기 때문에 ‘상호간의 신뢰 구축’이 제일 중요합니다. 안전장치가 있긴 하지만, 그 약점을 노리는 범죄자들은 항상 있게 마련입니다.
현재는 판매자가 물품을 보내면 해당 오픈마켓에 접속하여 송장번호를 수작업으로 기입을 해야 합니다. 그리고 물품이 배송되면 소비자는 오픈마켓에 접속해 수취확인을 눌러주어야 하는데 이중 한쪽만 실수를 해도 결재액의 올바른 처리가 어렵습니다.
저는 판매자구매자의 신뢰구축, 그리고 신속한 구매완료를 통한 빠른 자금회전을 위해 ‘유비쿼터스 통합배송’이라는 개념을 제시합니다. 현재 G마켓에서 쓰는 통합택배의 진화된 모습입니다. 이것은 택배사-판매자-오픈마켓-소비자가 유비쿼터스(무선인터넷)로 이어지기 때문에 실시간으로 업무처리가 가능하고, 일일이 컴퓨터에 접속할 필요가 없습니다.
예를 들면 판매자가 배송을 하게되면 택배사에서 물품을 수거함과 동시에 송장번호가 오픈마켓으로 자동전송됩니다. 소비자가 물건을 받을때 택배기사가 가진 무선장비에 싸인을 하게되면 이 정보가 실시간으로 오픈마켓으로 넘어갑니다. 그러면 자동으로 수취확인이 되는 것이고, 상품평같은 것도 말씀하시면 추가로 같이 넘어가게 됩니다.
만약 기사앞에서 물품을 확인했을때 오배송 또는 제품의 하자가 있으면, 택배기사가 가진 무선장비를 통해 반품 또는 교환 등의 신호가 오픈마켓으로 넘어감과 동시에 결재가 중단될 것입니다. 이렇게 되면 판매자는 수작업으로 수많은 송장번호를 기입하는 수고를 덜고, 소비자는 수취확인 및 상품평 등을 입력하는 번거로움, 그리고 오배송이나 반품시의 불편함 등이 확 줄어들 것입니다.
하지만 이것이 현실화 되려면 세가지 전제조건이 있습니다.
첫 번째, 전국적으로 무선인넷망이 깔려 있어야 합니다.
두 번째, 택배사-오픈마켓-판매자간의 자료를 송수신할때의 표준화 작업이 되어야 합니다. 이것은 국가단위의 대규모 지원이 있어야 가능할 것입니다.
세 번째, 표준안 제정후 이것을 따르도록 하는 국가의 제도가 뒷받침되어야 합니다.
오픈마켓은 새로운 상거래의 패러다임으로 다가왔습니다.
이것이 새로운 진화의 틀이 될지 아니면 신흥범죄의 기폭제가 될지는 아직 알 수 없습니다. 다만 상거래의 주체인 판매자와 구매자를 서로 Win-Win 시킬 수 있는 법적 제도와 지원이 미래를 결정할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추천자료
마케팅 실패 사례
온라인 마켓플레이스
[B2B E-마켓플레이스]B2B E-마켓플레이스의 정의, 구성과 B2B E-마켓플레이스의 성공요소, 구...
월마트의 세계확장 전략와 성공, 실패 사례
[e비즈니스]인터넷쇼핑몰 'G마켓' 마케팅전략 및 성공요인 분석 (A+리포트)
G마켓 기업분석
C2C 마켓플레이스 분석
인터넷마케팅 성공,실패 사례
까르푸 한국시장진출 마케팅실패 사례분석및 까르푸 국내시장재진입위한 마케팅전략 제안
G마켓 VS 옥션 마케팅전략 비교분석
[마케팅전략] G마켓(G Market)의 STP, SWOT, 4P전략에 따른 마케팅전략 ( Marketing of Mode...
한국 기업의 해외시장진출 성공/실패 사례와 유의할사항
토끼와 거북이의 경주 - 옥션과 G마켓
필립 코틀러의 마켓 4.0 (디지털 시대의 마켓 4.0 및 새로운 경영전략&마케팅)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