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내공기환경정화]실내공기환경정화를 위한 통풍과 환기, 실내공기환경정화의 중요성, 실내공기환경정화에 유용한 식물, 실내공기환경정화를 위한 계절별 환기방법, 실내공기환경정화를 위한 공기청정기 분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실내공기환경정화]실내공기환경정화를 위한 통풍과 환기, 실내공기환경정화의 중요성, 실내공기환경정화에 유용한 식물, 실내공기환경정화를 위한 계절별 환기방법, 실내공기환경정화를 위한 공기청정기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실내공기환경정화를 위한 통풍과 환기
1. 통풍
2. 환기
3. 온도와 습도
1) 온도 조절
2) 습도 조절

Ⅱ. 실내공기환경정화의 중요성

Ⅲ. 실내공기환경정화에 유용한 식물
1. 국화(Chrysanthemum)
2. 스파디 필룸(Peace Lily)
3. 야자나무(dwarf date palm)
4. 산세비에리아(Sansevieria)
5. 거베라(gerbera daisy)
6. 산데리아나(dracaena sanderiana)
7. 아이비(Ivy)

Ⅳ. 실내공기환경정화를 위한 계절별 환기방법
1. 봄, 여름, 가을
2. 겨울

Ⅴ. 실내공기환경정화를 위한 공기청정기
1. 필터를 반드시 사용
2. 성능이 안전해야
1) 오존량 확인
2) 기능의 안전성
3) 풍량이 적당히 강해야
4) 부대비용이 적어야
5) 음이온은 많이, 오존은 아주 적게 발생해야

참고문헌

본문내용

량은 우유냄새 비슷하게 나고 이 정도면 아주 믿을 수 있는 제품이다. 오존이 살균하는 방식은 세포막을 파괴하여 균을 죽이는 방식인데 인체도 세포로 이루어져 있고 특히 허파꽈리는 세포가 직접 공기와 접촉하는 부분이므로 기관지가 약하거나 노약자는 사용을 피해야 한다.
2) 기능의 안전성
개폐했을 때 자동전원 차단장치와 팬의 성능이 일정 단계로 이루어져 오염도에 따라 풍량을 조절할 수 있어야 하고 풍량이 충분히 나와야 제대로 공기를 정화하고 청정할 수 있게 된다. 일반적으로 음이온 발생기는 팬이 없으므로 풍량이 없다. 그런 이유로 주로 차량과 같이 아주 협소한 장소에만 사용하는 것이 좋다.
3) 풍량이 적당히 강해야
공기청정기는 실내의 공기를 직접적으로 빨아들여 필터류에 의해 정화시키는 정화과정을 거친 다음 깨끗이 정화된 공기를 살아있는 공기로 바꾸는 청정과정을 거쳐 다시 실내에 토출하게 된다. 이 과정을 모두 거쳐야지만 제대로 된 공기청정기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두 과정을 거치지 않고 어느 한 과정만 있다면 이는 단순한 정화기나 음이온 발생기가 될 수밖에 없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몇 평용의 공기청정기냐가 중요한 것이 아니고 실제로 실내의 공기를 시간당 몇 번이나 정화할 수 있느냐는 팬의 용량이다. 그렇다고 무조건 팬이 강하기만 하다면 필터에서 오염물을 잡아주기도 전에, 또는 필터에 잡혀있는 먼지까지도 다시 배출된다.
4) 부대비용이 적어야
많은 돈을 주고 공기청정기를 구입하고도 계속적으로 지출을 요구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소비자가 조금만 주의를 기울이면 줄일 수 있는 비용이다. 대부분의 부직포를 이용한 필터류의 경우 지속적인 필터 비용이 들어간다. 이는 정수기의 경우와 같이 어쩔 수 없는 경우로서 필터의 제조비용이기에 어쩔 수 없이 발생되는 것이다. 그러나 전기집진 필터나 워터 필터 등은 소비자가 약간의 수고만으로 언제나 새것처럼 쓸 수 있는 제품들이여서 구입할 때에 좀더 주의를 기울이면 아주 좋은 공기청정기를 선택할 수 있다. 성능 면에서는 필터를 쓰는 제품보다 오히려 더 나은 경우가 많고, 그러면서도 부대비용은 거의 들지 않고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5) 음이온은 많이, 오존은 아주 적게 발생해야
전기적으로 발생시키는 음이온은 불가분 오존도 발생하게 된다. 공기청정기의 목적은 맑고 깨끗하면서 신선한 공기이다. 먼지나 오염물을 완전히 정화해서, 실내의 공기를 신선하게 하는 것이다. 시중에 유통되는 제품 중에는 음이온이 무색, 무취라는 점을 이용하여 오존의 비린내를 음이온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오인할 수 있는 설명으로 소비자를 속이고 있다. 이렇게 잘못 알게 된 소비자는 가까운 곳에 두고 생활하여 오존의 직접 피해를 입게 된다.
참고문헌
○ 이영근(2001), 소나무 화분의 생장에 미치는 환경요인의 효과
○ 장현춘(2006), 인간 생활과 자연환경 이야기, 백양출판사
○ 최영길·김병태(1999), 환경과 인간, (주)교학사
○ 하상안·배해룡, 인간과 환경, 형설출판사, p197~210
○ 환경처(1994), 환경백서
  • 가격5,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9.03.16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315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