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6절 학교 환경관리
1. 학교 내 환경관리
2. 학교 밖 환경 관리
7절 안전관리
1. 학교 안전 관리
2. 학교폭력 관리
3. 성폭력 관리
8절 건강증진 전략
1. 비만 관리
2. 학생 시력관리
3. 구강관리
4. 물질 오·남용 관리
9절 보건실 운영
1. 보건실 관리
2. 보건실 비품 및 약품관리
3. 보건실 문서관리
1. 학교 내 환경관리
2. 학교 밖 환경 관리
7절 안전관리
1. 학교 안전 관리
2. 학교폭력 관리
3. 성폭력 관리
8절 건강증진 전략
1. 비만 관리
2. 학생 시력관리
3. 구강관리
4. 물질 오·남용 관리
9절 보건실 운영
1. 보건실 관리
2. 보건실 비품 및 약품관리
3. 보건실 문서관리
본문내용
부모를 대상으로 하는 전략
매우 효과적, 부모가 알콜이나 물질에 대한 정보를 정확하게 알고 있어서 자녀들에게 그 예방법을 가르친다면 그들은 물질이나 알코올 남용으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을 것이다.
(4) 학교를 기반으로 한 전략
-학부모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한다.
-알코올, 담배, 물질과 관련된 교과과정을 중심으로 교육을 실시한다.
-알코울, 담배, 그리고 물질사용에 대한 기존의 정책을 점검하고 새로운 정책을 확립한다.
(5) 대중매체를 통한 전략
효과적 예방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이 증대
(6) 법적조치를 통한 전략
4) 물질 오 남용 대상자에 대한 간호중재
-물질의 중독성 질병과 중독 효과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물질 남용과 의존으로 인한 의학적 문제에 대하여 직접간호를 제공한다.
-치료의 지속을 위하여 학제간의 협력을 도모한다.
-물질 오남용 예방프로그램을 운영한다.
9절. 보건실 운영
1. 보건실 관리
보건실은 중앙 1층에 위치해야 하고 통풍과 채광이 양호한 곳이 좋다.
안정실, 처치실, 요양실로 구분하는 것이 좋으나 그렇지 못할 경우에는 커튼, 칸막이를 사용하여 구분하는 것이 좋다.
보건실에 필요한 시설로는 수도, 세면대, 조명, 난방, 자료의 보관과 물품 수납을 위한 수납장 등이 있어야 하며, 환경을 청결하게 위생학적으로 관리한다.
2. 보건실 비품 및 약품관리
1) 비품 관리
-구입하고자 하는 물품은 그용도와 성능을 잘 확인한다.
-물품구입 및 출고는 기록관리를 철저히 한다.
-주기적으로 재고확인을 하여 물품 수급에 차질이 없도록 한다.
2) 약품관리
(1) 종류
① 내과용 약품-해열제, 진통제, 진해제, 진정제, 지사제, 항히스타민제, 감기약
② 외과용 약품-과산화수소, 포타딘, 소독용 알코올, 붕산소, 암모니아수
③ 소독약-크레졸 비누액, 붕산수, 역성 비누액
④ 위생재료-붕대, 거즈, 반창고, 탈지면, 안대 등
(2) 관리
-보건실의 모든 약품은 보건교사가 책임을 지고 관리한다
-내과용품과 외과용품은 따로 정리하는 것이 좋다.
-약품보관 병이나 통에는 정확하게 약품명을 기록한다.
3. 보건실 문서관리
1) 기록
보건일지, 건강상담일지, 학생 건강기록부, 요양호자 카드 및 신체검사 통계표, 각종 병리검사 실시 명단, 학교보건시설 관리카드, 보건실 비품대장 등
기록은 활동이 끝난 즉시 정확하고 간단하게 기록해야 하고, 기록자의 서명이 있어야 하며,모든 기록지는 보건실 캐비넷에 보관, 관리하도록 한다.
2) 보고
학교에서 실시한 각종 보건관련 활동결과를 보건교사가 학교장에게 보고함으로써 자체내 처리하는 경우와 보고형식에 맞추어 상급기관인 교육청에 보고하는 경우
종류: 신체검사 결과보고, 각종 병리검사 보고, 예방접종실시 보고, 전염병 발생 상태 보고, 학교 주변환경 정화의 날 추진실적 보고
3) 가정통신문
<작성요령>
-통신문제목을 적는다.
-수신인을 표시한다.
-간단한 인사말을 기록한다.
-통신내용을 간단, 명료하게 기록한다.
-발신인을 적는다.
-회신이 필요한 경우에는 절취선 아래에 회신란을 작성한다.
매우 효과적, 부모가 알콜이나 물질에 대한 정보를 정확하게 알고 있어서 자녀들에게 그 예방법을 가르친다면 그들은 물질이나 알코올 남용으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을 것이다.
(4) 학교를 기반으로 한 전략
-학부모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한다.
-알코올, 담배, 물질과 관련된 교과과정을 중심으로 교육을 실시한다.
-알코울, 담배, 그리고 물질사용에 대한 기존의 정책을 점검하고 새로운 정책을 확립한다.
(5) 대중매체를 통한 전략
효과적 예방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이 증대
(6) 법적조치를 통한 전략
4) 물질 오 남용 대상자에 대한 간호중재
-물질의 중독성 질병과 중독 효과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물질 남용과 의존으로 인한 의학적 문제에 대하여 직접간호를 제공한다.
-치료의 지속을 위하여 학제간의 협력을 도모한다.
-물질 오남용 예방프로그램을 운영한다.
9절. 보건실 운영
1. 보건실 관리
보건실은 중앙 1층에 위치해야 하고 통풍과 채광이 양호한 곳이 좋다.
안정실, 처치실, 요양실로 구분하는 것이 좋으나 그렇지 못할 경우에는 커튼, 칸막이를 사용하여 구분하는 것이 좋다.
보건실에 필요한 시설로는 수도, 세면대, 조명, 난방, 자료의 보관과 물품 수납을 위한 수납장 등이 있어야 하며, 환경을 청결하게 위생학적으로 관리한다.
2. 보건실 비품 및 약품관리
1) 비품 관리
-구입하고자 하는 물품은 그용도와 성능을 잘 확인한다.
-물품구입 및 출고는 기록관리를 철저히 한다.
-주기적으로 재고확인을 하여 물품 수급에 차질이 없도록 한다.
2) 약품관리
(1) 종류
① 내과용 약품-해열제, 진통제, 진해제, 진정제, 지사제, 항히스타민제, 감기약
② 외과용 약품-과산화수소, 포타딘, 소독용 알코올, 붕산소, 암모니아수
③ 소독약-크레졸 비누액, 붕산수, 역성 비누액
④ 위생재료-붕대, 거즈, 반창고, 탈지면, 안대 등
(2) 관리
-보건실의 모든 약품은 보건교사가 책임을 지고 관리한다
-내과용품과 외과용품은 따로 정리하는 것이 좋다.
-약품보관 병이나 통에는 정확하게 약품명을 기록한다.
3. 보건실 문서관리
1) 기록
보건일지, 건강상담일지, 학생 건강기록부, 요양호자 카드 및 신체검사 통계표, 각종 병리검사 실시 명단, 학교보건시설 관리카드, 보건실 비품대장 등
기록은 활동이 끝난 즉시 정확하고 간단하게 기록해야 하고, 기록자의 서명이 있어야 하며,모든 기록지는 보건실 캐비넷에 보관, 관리하도록 한다.
2) 보고
학교에서 실시한 각종 보건관련 활동결과를 보건교사가 학교장에게 보고함으로써 자체내 처리하는 경우와 보고형식에 맞추어 상급기관인 교육청에 보고하는 경우
종류: 신체검사 결과보고, 각종 병리검사 보고, 예방접종실시 보고, 전염병 발생 상태 보고, 학교 주변환경 정화의 날 추진실적 보고
3) 가정통신문
<작성요령>
-통신문제목을 적는다.
-수신인을 표시한다.
-간단한 인사말을 기록한다.
-통신내용을 간단, 명료하게 기록한다.
-발신인을 적는다.
-회신이 필요한 경우에는 절취선 아래에 회신란을 작성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