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례][장례][상례(장례) 정의][상례(장례)와 상복][전통 상례(장례)][현대 상례(장례)][상례(장례)시 조문예절]상례(장례) 정의, 상례(장례)와 상복, 전통상례(장례), 현대 상례(장례), 상례(장례)시 조문예절 분석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상례][장례][상례(장례) 정의][상례(장례)와 상복][전통 상례(장례)][현대 상례(장례)][상례(장례)시 조문예절]상례(장례) 정의, 상례(장례)와 상복, 전통상례(장례), 현대 상례(장례), 상례(장례)시 조문예절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상례(장례)의 정의

Ⅲ. 상례(장례)와 상복
1. 여자상복
2. 대수장군
3. 남자상복

Ⅳ. 전통 상례(장례)
1. 장례 첫째날 - 초종
1) 천거정침(遷居正寢)
2) 임종(臨終)
3) 속광
4) 수시(收屍)
5) 고복(皐復)
6) 사잣밥
7) 발상과 상주
8) 전(奠)
9) 복인(服人)
10) 치관(治棺)
11) 부고(訃告)
2. 장례 둘째날 - 습과염
1) 습(襲)
2) 습전(襲奠)
3) 반함(飯含)
4) 소렴(小殮)
5) 대렴(大殮)
3. 성복
4. 조상
5. 장례 셋째날 - 치장
1) 택지(擇地)
2) 사토제(祠土祭)
3) 광중(壙中)
4) 지석(誌石)
5) 천구(遷柩)
6) 견전(遣奠)
7) 발인(發靷)
8) 노제(路祭)
9) 하관(下棺)
6. 우제

Ⅴ. 현대 상례(장례)
1. 임종
2. 유언
3. 운명
4. 정제수시(整薺收屍)
5. 발상
6. 전
7. 상제
8. 호상
9. 장의사
10. 치장(治葬)
1) 부고(訃告)
2) 염습(殮襲)
11. 수의
12. 입관
13. 영좌
14. 성복
15. 발인과 영결식
16. 운구(運柩)
17. 하관과 성분
18. 성분제와 반우제

Ⅵ. 상례(장례)시 조문예절
1. 마음가짐
2. 복장
3. 조화(弔花)
4. 문상(問喪)
5. 조문절차
6. 조의금
7. 삼가 할 일
8. 장례 후

Ⅶ.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차 내에서는 맨 앞자리에 고인의 사진을 모신 사람이 앉고, 상제들은 영구를 안치한 곳 좌우에 앉으며 기타는 적당히 자리를 잡아 앉는다.
제7조에는 \"사망 후 매장 완료 또는 화장 완료시까지 행하는 제식은 발인제와 위령제만을 행하고 그 이외의 노제, 변우제, 삼우제 등의 제식은 행하지 아니한다.\"로 규정하고 있다.
17. 하관과 성분
하관(下棺)이란 영구를 광중(壙中)에 넣는 것을 말하며, 성분(成墳)은 봉분(封墳)이라고도 하며 관을 묻은 다음 흙으로 둥글게 쌓아올리는 것을 말한다.
18. 성분제와 반우제
봉분이 완성되면 고인의 육신이 유택(幽宅 :죽은 사람의 무덤)에 묻혔으니 홀로 외롭더라도 고이 잠들고 길이 명복을 누리라는 뜻으로 고인의 영혼을 위로하는 의식을 지낸다. 이 의식을 성분제(成墳祭) 또는 위령제라고도 한다.
Ⅵ. 상례(장례)시 조문예절
1. 마음가짐
조문은 대부분 사랑하는 가족을 잃은 슬픔으로 마음의 안정을 찾기가 힘든 상태 이므로 그 어느 때 보다 예의에 어긋나지 않게 신경을 써야 한다. 그리고 유가족들을 슬픈 감정 때문에 이성적으로 장례 일을 처리하기가 어려우므로 가까운 친척, 친구, 직장의 상사, 부하 등은 소식을 들으면 곧바로 상가로 가 유족들을 대신해 장례절차 및 조문객 안내 등 일을 도와주는 것이 좋다.
2. 복장
남성은 검은색 또는 회색 개통의 양복, 넥타이, 양말, 구두 등이 좋고, 와이셔츠도 흰색 또는 회색, 하늘색 개통의 화려하지 않은 것이 좋다. 여성도 너무 눈에 띄는 색상이나 화려한 색상은 피하는 것이 좋다. 대체로 검은색, 회색개통이 무난하고 외투도 모피 등은 피하는 것이 좋고 화려한 보석이나 머리핀 같은 것도 피하는 것이 좋다.
3. 조화(弔花)
고인에 대한 조의와 유가족에 대한 동정의 표시로 고인의 영정에 꽃을 바치기도 하는데 보통 조화는 바구니, 1단, 2단, 3단 등이 있는데 화원에 주문을 하면 전달이 된다. 조화에는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등의 내용과 함께 보내는 이의 이름을 붙이는데 보통 개인, 부서, 단체, 회사의 이름 등으로 보낸다. 최근에는 장례식도 간소화되는 추세여서 부고장에 조화사절이라고 기재하여 보내기도 하는데 이런 경우에는 따라주는 것이 예의이다. 그리고 조화를 보내는 경우 늦게 보내기 보다는 가능한 한 신속하게 보내는 것이 좋다.
4. 문상(問喪)
사망 소식을 들으면 문상을 위해 방문을 하는데 부모가 죽으면 자식에게, 자식이 죽으면 부모에게, 부인이 죽으면 남편에게, 남편이 죽으면 부인에게 조의를 표한다. 그리고 장례식후에도 유족의 슬픔을 위로하기 위해 방문하기도 한다. 시간은 15분정도가 적당하다
5. 조문절차
(1) 외투는 대문 밖에서 벗어든다.
(2) 상제에게 목례로 조의를 표한다.
(3) 영정 앞에 꿇고 앉아서 향 2~3개 정도에 불을 붙여서 꽂는다.
- 이때 불을 끌 때 입으로 불면 안되고 손으로 가볍게 부쳐서 끈다.
(4) 고인의 영정에 절을 한다. 남자는 2회 여자는 4회를 하고 가볍게 목례를 하고 2보정도 뒤로 물러서서 상주를 향해 맞절을 한다.
(5) 애도의 말을 표한다.
보통 \"몇일 전만해도 정정 하셨는데.., 편찮으시다는 말은 들었지만 이렇게..., 발인일은 언제 몇시인지.., 장지는 어디로 정하셨습니까?..\" 등의 말을 간단히 건넨 후 끝낸다.
(6) 일어서서 상주에게 절을 하고 나온다.
(7) 나올 때 조의금을 전달한다.
6. 조의금
(1) 조의금 봉투에는 초상의 경우 \'부의(賻儀)\'라 쓰는 것이 가장 일반적이다. 그밖에 \'근조(謹弔)\', \'조의(弔儀)\', \'전의(奠儀)\'라고 쓰기도 한다.
(2) 조의금 봉투 안에는 단자(單子)를 쓴다. 단자란 부조하는 물건의 수량이나 이름을 적은 종이를 말하는데, 흰 종이에 단자를 접을 때 세로로 세 번 정도 접고 아래에 1cm정도를 가로로 접어 올리면 된다.
(3) 부조하는 물목이 돈일 경우에는 단자에 \'금 ○○원\'이라 쓴다. 부조 물목이 돈이 아닐 경우 \'금 ○○원\' 대신 \'광목 ○필\' \'백지 ○○권\'으로 기재한다.
(4) 부조하는 사람의 이름 뒤에는 아무것도 쓰지 않아도 되지만 \'근정(謹呈), \'근상(謹上)\'이라고 쓰기도 한다.
(5) 단자의 마지막 부분에 \'○○댁(宅) 호상소 입납(護喪所入納)\'이나 \'○○상가(喪家)호상소 귀중\'과 같이 쓰기도 한다. 요즘은 호상소가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쓰지 않아도 무방하다.
7. 삼가 할 일
유족에게 계속 말을 시키지 말아야 한다. 장례 진행에 불편을 주고 유족에게 정신적 피로감을 주는 일이기 때문이다 반가운 친구나 친지를 만나더라도 큰소리로 이름을 부르지 말고 낮은 목소리로 조심스럽게 말하고 조문이 끝난 뒤 밖에서 따로 이야기하도록 한다. 고인의 사망원인, 경위 등을 유족에게 상세하게 묻지 않는다.
8. 장례 후
장례가 끝나고 다시 직장이나 사회에서 만났을 때도 간단한 위로의 말과 인사를 하는 것이 좋다. 보통은 상주가 조문객에게 찾아다니며 감사의 뜻을 전하는 경우가 많다.
Ⅶ. 결론
사후에 있어서도 끊임없이 효를 다하는 조상의 예를 돌이켜보면 현대인들이 갖는 예의식이 얼마나 부끄러운가를 깨닫게 해준다. 다른 의식에 비해 많이 고수되어 오고 있는 의식이 상례, 제례라고는 하지만 그 의미와 마음가짐이 많이 퇴색된 것은 사실이다.
그 의식이 많이 간소화된 것은 물론이고 죽은 사람 위주에 있던 과거의 의식과는 달리 현대에는 상을 치르는 사람 위주로 변했다. 보태어 애도의 마음보다는 형식이 많고 부조를 중요시여기는 금욕주의가 첨가되면서 또 다른 문제점을 낳고 있다. 조상들의 정성을 다하는 예의식과 그 정신을 되새기면서 남에게 보여지는 형식만을 앞세우기보다는 진정 슬픔을 표시할 줄 알고 효의 정신을 되살릴 줄 아는 자세가 필요할 것이다.
참고문헌
◇ 권영한, 사진으로 배우는 관혼상제, 전원문화사
◇ 김석진(2000), 한국전통가정의례, 학문사
◇ 박의서(2002), 한국의 전통 장례, 도서출판 재원
◇ 사회과학원(2002),『조선의 관혼상제』중심
◇ 임재해(1990), 빛깔있는 책들-전통상례, 대원사
◇ 영원한 만남 한국의 상장례
◇ 장철수(1995), 한국의 관혼상제, 집문당

키워드

상례,   장례,   상복,   조문예절,   상장례
  • 가격6,5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09.03.16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331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