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학과 실습 케이스] 암병동 `비호지킨림프종(non-Hodgkin`s lymphoma)` 케이스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3개 A+ 받은 자료입니다.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 80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간호학과 실습 케이스] 암병동 `비호지킨림프종(non-Hodgkin`s lymphoma)` 케이스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3개 A+ 받은 자료입니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서론
-문헌고찰
-간호과정
-결론 및 평가
-참고문헌

본문내용

UN
10~26
(mg/dL)
12.2
10.9
10.6
13.3
18.9
18.4
Uric acid
2.6~6.5
(mg/dL) 미만
2.3
2.4
2.2
2.5
2.8
13.2
Creatinine
0.5~1.2
(mg/dL)
0.51
0.41
0.34
0.43
0.42
0.51
⑥ 혈액검사 수치를 확인하고 전해질 불균형을 확인한다.
항목
정상치
5/8
5/9
5/10
5/11
5/15
Na
135~150
(mEq/L)
139
139
138
141
140
138
K
3.5~5.1
(mEq/L)
3.9
3.9
3.8
3.9
3.9
4.2
① 시행함
(SN)
② 시행함
(SN)
③ 시행함
(RN)
④ 시행함
(SN)
⑤ 시행함
(RN)
⑥ 시행함
(RN, SN)
치료적
① 처방에 따라 소변정체를 완화하기 위한 약물을 투약한다.
4/29, 5/2, 5/3, 5/4, 5/8, 5/10, 5/11 처방에 따라 이뇨제를 투여하였다.
② 2시간 마다 체위를 변경한다.
대상자가 자주 움직이는 모습을 확인하였다.
③ 수분정체를 일으키는 약을 피하도록 한다.
NSAIDS, Vasodilators, steroid와 같이 수분정체를 일으키는 약물을 투약하지 않았다.
① 시행함
(RN)
② 시행함
(SN)
③ 시행함
(RN)
교육적
① 수분제한과 관련된 내용들은 대상자와 돌봄제공자에게 도입하고 교육한다.
수분제한과 관련된 내용들을 대상자와 돌봄제공자에게 도입하고 교육했다.
① 시행함
(RN)
간호평가
단기목표 ①
① 대상자는 이뇨제 사용과 관련하여 부작용이 나타나지 않는다.
4/29, 5/2, 5/3, 5/4, 5/8, 5/10, 5/11 이뇨제 투여 후 저혈압, 과도한 체중 감소가 나타나지 않았다.
(5/12 목표 달성)
단기목표 ②
② 대상자는 1주일 이내 Intake와 Output이 적절하게 유지된다.
5/11 라식스 마지막 투여 후 적절한 수분배출이 이루어졌고, 이후 라식스 처방이 없었다.
(5/15 목표 달성)
장기목표 ③
① 대상자는 2주일 이내 과도한 체중변화가 나타나지 않는다.
5/9일과 5/16일 몸무게 비교 결과 1kg 정도밖에 차이나지 않았다.
(5/16 목표 달성)
Ⅳ. 결론 및 평가
케이스 대상자 정OO님은 2월 초부터 턱관절통, 치통이 이어져 Local(조선대병원)을 통해 비호지킨림프종으로 진단받고 정확한 진단과 검사를 위해 본원으로 4/18 Adm 한 상태이다. 입원 당일인 4/28 비호지킨림프종(4기)으로 진단받고 Rt. subclavian에 Hichman catheter를 삽입하였다. 조대병원에서 4/28 시행한 검사결과 Hgb(9.9), RBC(3.35), Platelet(132),
Hct(30.9), Neutrophil(39.4)로 낮은 수치가 나타났고 LDH(524), CRP(0.42)로 높은 수치가 나타났다. 본원에서 시행한 검사 결과 혈액검사(WBC 5/8 3.6, 5/9 2.8, 5/10 3.0, 5/11 3.5, 5/15 1.7 Hgb 5/8 11.1, 5/9 3.36, 5/10 10.1, 5/11 10.0, 5/15 10.5, RBC 5/8 3.59, 5/9 3.36, 5/10 3.18, 5/11 3.16, 5/15 3.37 Platelet 5/8 91~92, 5/9 95, 5/10 107, 5/11 132, 5/15 145 Hct 5/8 36.5 32.2, 5/9 30.4, 5/10 29.2, 5/11 29.1, 5/15 30.0 Lymphocyte 5/8 13.3 15.3, 5/9 12.1, 5/10 17.1, 5/11 16.9, 5/15 20.9 Monocyte 5/8 1.4 2.8, 5/9 1.1, 5/10 1.1, 5/11 1.0, 5/15 1.7 Neutrophil 5/8 27.8, 5/9 29.3, 5/10 31.1, 5/11 28.5, 5/15 77.4 Eosinophil 5/8, 5/9, 5/10, 5/11, 5/15 0.0)는 골수 침범으로 인한 혈구수치의 감소 및 항암의 작용으로 예상되고, 종양의 양쪽 신장 침범과 관련하여 신장기능평가 결과 (Uric acid 5/8 2.3 2.4, 5/9 0.34, 5/10 0.43, 5/11 0.42, Creatinine 5/8 0.41, 5/9 0.34, 5/10 0.43, 5/11 0.42) 감소됨을 알 수 있었고, 혈액응고검사 결과(PT 5/9 15.2, 5/10 15.6, 5/11 15.3, 5/15 14.2 Fibrinogen 5/8 151, 5/9 115, 5/10 105, 5/11 91, 5/15 118) PT는 연장되고
Fibrinogen은 감소되어 출혈의 위험성을 사정할 수 있었다. 환자분은 I&O의 불균형으로 라식스를 투여하였고 현재는 몸무게의 큰 변화가 없고 라식스 투여도 중단된 상태이다. 환자분은 현재 병기는 4기이고 비정상 세포들이 16%이며 1차 관해유도 치료를 받고 있고, 비정상 세포의 비율이 5% 미만이면 다음 치료를 계획한다고 한다. 이러한 간호사정을 바탕으로 1위 암의 진행 및 치료로 인한 신체 방어능력 저하와 관련된 감염 위험성, 2위 혈액응고인자 결핍으로 인한 응고장애와 관련된 출혈 위험성, 3위 신장기능 저하로 인한 체액 정체와 관련된 체액불균형 위험성을 간호진단으로 내리게 되었다.
Ⅴ. 참고문헌
-아동간호학 각론 25장 종양아동
-화순전남대학교병원 [환자와 보호자를 위한 안내서 급성림프구성백혈병] 자료
-삼성서울병원 질병정보
http://www.samsunghospital.com/dept/main/index.do?DP_CODE=lymphoma&MENU_ID=001004010010
-세브란스 건강정보
https://medicine.yonsei.ac.kr/health/encyclopedia/treat_board.do?mode=list&article.offset=0&articleLimit=12
-서울대학교병원 질병정보
http://www.snuh.org/health/nMedInfo/nView.do?category=DIS&medid=AA000239
사진출처
네이버 ‘비호지킨림프종’
- 의약품정보
약학정보원 https://www.health.kr/
  • 가격5,000
  • 페이지수80페이지
  • 등록일2025.07.23
  • 저작시기2024.0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3494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