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가- 이태준의 시대별 작품 성격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작가- 이태준의 시대별 작품 성격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발표 요약문

2. 이태준의 생애
(1) 유년기
(2) 청년기 - 작가로서 첫 입문.
(3) 중년기 - 구인회 조직 및 왕성한 작품 활동을 보임.
(4) 해방 후

3. 일반적 평가
(1) 작가 이태준의 의의와 평가
(2) 작품에 대한 평가

4. 시대별 작품의 성격
(1) 초기 (1925~1933년 문단 가을 이전)
(2) 1930년대 중반기
(3) 1930년대 후반 이후
(4) 일제의 패망까지
(5) 분단이후
(6) 한국전쟁시기

5. 이태준의 흔적 찾기 (답사과정 소개)
(1) 성북동 상허 이태준고택
(2) 이태준 문학비

6. 참고 문헌 및 참고 사이트

본문내용

현은 문인으로서 감당해야 했던 경험들을 ‘한 작가의 수기’라는 부제를 달고 거의 실제 일어난 일로 그리고 있다.
(6) 한국전쟁시기
한국전쟁시기에서 이태준은 종군작가적인 입장의 소설적 참여 형태를 이룬다.
그가 전쟁 이전에 문단의 주도권 문제를 불리한 입장으로 여러 차례 겪었음에도 인내하며 남북한을 오갈 수 있는 환경이었음을 감안한다면, 자신의 사회주의적 관점을 어느 정도 실천한 상태라 할 수 있다.
「고귀한 사람들」에 와서는 소설의 배경무대가 조선과 중국으로 확장된다.
아픔을 통해 동족 이상으로 뭉친 전우애뿐만 아니라 우정을 지니고 국경을 넘나들며 주고받게 되는 후방 야전 병원을 그리고 있다.
이는 원래의 민족은 나눠지고 오직 이념에 의하여 우군이 되며, 타민족일지라도 국가적 대의가 동일한 나라는 자민족으로 수용하는 현상을 그리는 것이다.
「왕자호동」과 「농군」에서 중국을 적대국으로 만들었던 것과는 다른 모습니다.
- 대표작:「백배천배로」(1952), 「미국대사관」(1952), 「누가 굴복하는가 보자」(1952), 「네거리의 전신주」(1952), 「고귀한 사람들」(1952)
5. 이태준의 흔적 찾기 (답사과정 소개)
(1) 성북동 상허 이태준고택
- 위치 : 서울시 성북구 성북동 248 (이태준길 4)
- 답사 일자: 2007년 10월 7일
- 답사인원 : 박정민 외 7명
- 상허 이태준 고택은 이태준이 1933년에 지어 ‘수연산방’이란 당호를 짓고, 1933년부터 1946까지 거주하면서 단편「달밤」,「돌다리」,중편「코스모스피는 정원」,장편「황진이」,「왕자호동」등 문학 작품 집필에 전념한 곳이었다.
이 가옥은 ‘성북동 이태현 가옥’으로 지정되었던 것을, 대한민국 정부가 이태준을 포함한 납’월북 작가들을 1988년 해금 조치함에 따라, 이태준 후손들의 명칭 변경 요구에 의해 1998년 7월10일 지금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몇 년 전 이 길은 이태준길로 명칭이 바뀌었으며, 현재 조용한 찻집으로 쓰이고 있다.
(2) 이태준 문학비
- 위치: 강원도 철원군 대마리
- 2007년 11월 4일, 상허 이태준의 문학혼을 기리는 ‘제5회 이태준 추모문학제 및 2007 철원생명문학 축전’이 이태준 문학비 앞에서 개최되었으나 여의치 않은 사정으로 직접 답사를 하지 못하여, 신문 기사로 대신해 본다.
철원 제5회 이태준 추모문학제 성료
철원=뉴시스】
겨울 문턱에 다가선 철원평야에서 남과 북 모두로부터 버림받은 불운한 천재작가 상허 이태준의 문학혼을 기리는 추모문학제가 열렸다. 강원민예총문학위원회(위원장:정현우)와 창작21작가회, ‘상허 이태준을 생각하는 모임’이 공동주관한 ‘제5회 이태준 추모문학제 및 2007 철원생명문학 축전’이 4일 오후2시 철원군 대마리 이태준문학비 앞에서 개최됐다. 이날 추모문학제에는 철원출신 원로시인인 민영 민족작가회의고문, 이기형 고문, 최옥영 강원민예총회장을 비롯 전국에서 100여명의 문인들이 참가해 이태준 선생의 문학혼을 기렸다. 정현우 시인의 사회로 진행된 이날 행사는 헌시 낭독, 추모노래 공연, 살풀이 공연, 이태준 소설 \'밤길\' 낭송과 초대시인과 철원지역 신인들의 시낭송 등이 이어졌다. 5년전 이태준 문학비 건립을 주도했던 민영 시인은 추모사에서 \"상허 선생의 고향인 용담마을과 문학비가 있는 이곳은 남북의 군사들이 피를 흘리며 싸운 격전지\"라며 \"장차 남북이 하나가 되었을 때 이 자리가 남북으로 부터 버림받은 위대한 작가가 다시 남과 북으로부터 복권될 성스러운 곳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해방직후 이태준 선생과 교류하며 영향을 받았던 이기형 시인은 함흥고보에 재학중인 문학청년의 신분으로 성북동 선생의 집을 찾아가 문학에 대해 질문했던 일화를 소개하였다.그는 \"미려한 문장과 구성미에 매료돼 밤새워 읽었던 달밤. 까마귀 복덕방 같은 선생의 단편 작품은 지금 생각해도 당시 세계 최고의 단편문학가로 추앙받던 안톤 체홉에 비교해 조금도 손색이 없는 위대한 작품\"이라고 강조했다. 이주섭기자 leejs@newsis.com
6. 참고 문헌 및 참고 사이트
김동리, 이태준론, 풍림, 1937. 3.
김시태, 구인회연구, 국문학논문선10집, 민중서관, 1977.
김윤식, 이태준론, 현대문학, 1989. 5.
, 해방공간의 문학사론, 서울대출판부, 1989.
민충환, 이태준연구, 깊은샘, 1988.
, 이태준소설의 이해, 백산출판사, 1992.
박태원, 이태준단편집 달밤을 읽고, 조선일보, 1934. 7. 26∼27.
박헌호, 구인회를 어떻게 볼 것인가, 상허문학회 지음, 근대문학과 구인회, 깊은샘, 1996.
신동욱, 이태준의 소설에 나타난 민족의식, 동방학지 제74집, 연세대 국학연구원, 1992.
, 이태준 작품의 문학적 의미, 한국해금문학전집2, 삼성출판사, 1988.
최재서, 문학과지성, 인문사, 1938.
조용만, 구인회만들무렵, 정음사, 1984.
주종연, 한국소설의 형성, 집문당, 1987.
조동일, 한국문학통사5권, 지식산업사, 1988.
조연현, 한국현대문학사, 성문각, 1992.
http://cafe.naver.com/gaury/6658 : 이태준의 생애 및 작품 분석
http://hongkgb.x-y.net/m-literature/m-novel1/%C0%CC%C5%C2%C1%D8-%B4%DE%B9%E3.htm : 「달밤」줄거리 및 이해와 감상
http://www.hongkgb.x-y.net/ : 김광복의 똥침국어교실-소설 中 「달밤」,「복덕방」
http://penart.co.kr/literature-library/11_novel/%C0%CC%C5%C2%C1%D8-%BA%B9%B4%F6%B9%E6.htm : 우리문학자료관 「복덕방」줄거리 및 작품 이해와 감상
http://blog.naver.com/jes96?Redirect=Log&logNo=120011645239 : 「달밤」분석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3&aid=0000630969 : 네이버 뉴스 ‘철원 제 5회 이태준 추모 문학제 성료’ 2007.11.04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8.06.23
  • 저작시기2007.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3747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