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실험 제목 : 항생물질에 의한 미생물 생육 억제
▲ 실험 목적
▲ 실험 방법
○ Part A
Kirby-Bauer antibiotic sensitivity procedure
(실험방법)
● Part B
Determination of MIC in liquid culture
(실험방법)
■ 항생물질
■ 항생물질의 종류
■ 항생물질의 작용기작
■ 항생물질의 activity 측정방법
Inhibitory activity
1. MIC 측정 방법
2. 고체 배지상에서의 측정방법
▲ 실험 결과
▲ 고 찰
▲ 참고 문헌
▲ 실험 목적
▲ 실험 방법
○ Part A
Kirby-Bauer antibiotic sensitivity procedure
(실험방법)
● Part B
Determination of MIC in liquid culture
(실험방법)
■ 항생물질
■ 항생물질의 종류
■ 항생물질의 작용기작
■ 항생물질의 activity 측정방법
Inhibitory activity
1. MIC 측정 방법
2. 고체 배지상에서의 측정방법
▲ 실험 결과
▲ 고 찰
▲ 참고 문헌
본문내용
가 나타나지 않았다. 반대로 Thiostrepton은 그람 양성균인 방선균에 항생효과를 보인다. 그래서 대장균인 음성균에게는 항생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던 것이다. Ampicillin은 페니실린계 약물 종류중 하나이다. 모든 페니실린계열의 약물은 기본적으로 세균의 세포벽에 존재하는 펩티도들리칸 층의 합성을 방해하는데, 즉 세균의 세포벽을 일부 망가뜨림으로서 세균의 보호막을 파괴하는 것이다. 그렇게 되면 당연 cell death가 일어나게 된다. 실험결과가 만족스럽게 나오지 못해서 MIC방법으로 항생제의 activity를 알아보지는 못했다. 실제로 환의 크기를 보고 항생제가 그 미생물에 대한 항생효과를 알아볼 수 있지만 효모와 방선균은 원래의 cell양이 많지 않아서 눈에 보이는 만큼의 환의 모양을 측정할 수가 없었다. 이러한 실험 방법을 통해 균이 갖는 항생제 저항성이나 또한 어떠한 균의 생장을 억제 또는 살균하기 위해 적당한 소독제나 항생제를 찾을 수 있다. 더 나아가 우리에게 이로운 많은 약품들을 생산해내고 병을 치유하는데 사용되는 유익한 물질을 찾는데 있어서 가장 기본이 되는 실험이었던 것 같다.
▲ 참고 문헌
라이프 사이언스 (일반미생물학) 저자: Prescott Harley Klein
http://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query=%uBC29%uC120%uADE0&sm=tab_sug
http://kin.naver.com/knowhow/entry.php?d1id=5&dir_id=5&eid=NSSG97P2Ht0HVC9gcCFcBQj8k/ZjLhnQ
▲ 참고 문헌
라이프 사이언스 (일반미생물학) 저자: Prescott Harley Klein
http://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query=%uBC29%uC120%uADE0&sm=tab_sug
http://kin.naver.com/knowhow/entry.php?d1id=5&dir_id=5&eid=NSSG97P2Ht0HVC9gcCFcBQj8k/ZjLhnQ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