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 론
Ⅱ. 실업교육에 관한 이론적 배경
1. 우리나라 실업교육 현황 및 문제점
2. 실업교육 정책의 흐름
3. 실업교육의 내재적 가치
1) 교육의 가치
2) 실업교육의 내재적 가치
4. 실업교육의 효율성에 관련한 선행연구
5. 실업교육의 당면 문제
Ⅲ. 연구의 방법
1. 문헌연구
2. 조사연구
3. 전문가협의진 구성
Ⅵ. 연구의 결과
1. 산업체 근로자 대상
2. 산업체 관리자 대상
3. 한국인명사전에 실린 실업계 고등학교 졸업자 조사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Ⅱ. 실업교육에 관한 이론적 배경
1. 우리나라 실업교육 현황 및 문제점
2. 실업교육 정책의 흐름
3. 실업교육의 내재적 가치
1) 교육의 가치
2) 실업교육의 내재적 가치
4. 실업교육의 효율성에 관련한 선행연구
5. 실업교육의 당면 문제
Ⅲ. 연구의 방법
1. 문헌연구
2. 조사연구
3. 전문가협의진 구성
Ⅵ. 연구의 결과
1. 산업체 근로자 대상
2. 산업체 관리자 대상
3. 한국인명사전에 실린 실업계 고등학교 졸업자 조사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본문내용
한 결과 \'승진\'과 창의력 측면을 제외하고는 실업계 고등학교 졸업생들이 현장에서 나름대로의 역할을 다하고 있고 관리자들에게 인정받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성공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실업계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대부분의 사람들이 대학 이상의 교육을 받았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실업계 고등학교에서 교육받은 것이 직무수행에 주로 도움이 많이 되었지만, 대학수학이나 대학진학에는 그다지 도움이 되지 못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실업계 고등학교를 졸업하더라도 여건이 허락된다면 대학진학도 가능하고 사회적인 성공도 할 수 있다는 점을 말해 주고 있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볼 때 실업교육 고유의 역할을 다한다면 얼마든지 교육적 성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할 수 있는데, 실업교육이 가지는 고유의 기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한 것으로 조사된 점들은 후속연구에서 그 원인을 파악하여 실업교육이 가지는 기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는 터전을 마련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또한 80년대 이후 특례입학제도가 폐지되어 실업계 고등학교 학생들이 대학에 진학할 수 있는 기회를 많이 상실하게 되었다. 과연 이러한 현실에서 실업계 고등학교를 졸업한 사람들이 현재는 대략 40대인 것으로 추정해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들이 한국인명사전에 실릴 수 있는 시기인 60대 전후가 되는 시기에 다시 한번 이런 연구를 한다면 아마도 실업계 고등학교 출신으로써 한국인명사전에 실릴 수 있는 사람은 그다지 많지 않을 것으로 추측되는데, 그 결과가 주는 시사점이 클 것이라고 생각한다.
참고문헌
교육부(1998). 교육 50년사. 서울; 교육부.
김수경(1992). Pestalozzi의 직업교육사상. 효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윤태 외(1977). 공업 및 상업교육의 효율성에 관한 조사연구. 한국교육개발원.
김진형(1992). 기술교육론. 충남대학교 공과대학 기술교육과.
박상순(1989). 실업교육의 교육적 정당화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실업교육발전위원회(2001). 실업교육 발전을 위한 실천적 방안 모색. 실업교육발전위원회.
연합연감(1998). 한국인명사전. 연합연감.
이무근 외(1992). 실업계 고등학교 졸업생들의 산업현장 적응능력평가를 통한 직업교육의 개선방안. 서울: 교육부.
이재원(1991). 노작의 의의와 그 교육적 가치에 관한 소고. 대한공업교육학회지 16, 1.
이종화(1998). 상업계 고등학교 과정의 효율성에 관한 연구-제7차 개정안을 중심으로-.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전국공업계고등학교 교장회·전국상업계고등학교 교장회·대한상업교육회 공편(1998). 교육개혁과 실업교육 활성화 방안. 실업교육 공동세미나 자료.
정문석(1992). 직업교육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정순택(1994). 실업교육의 경제적 효과성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정철영(1997). 실업계 고등학교의 실태와 발전방향. 직업교육연구 Vol 16(1).
최유현(1991). 일의 교육적 가치 변화와 교육철학적 쟁점. 대한공업교육학회지 16, 2.
한국직업능력개발원(1998). 직업교육훈련 100년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Andersen, D. L. & Orlando, F. J.(1990). New Foundations: A Base for Excellence in Vocational Education. New Jersey Vocational Needs Assessment Project 1989-1990.
Association of Vocational Education Administrations(1980). Outcomes of Occupational Education. Phase I Report.
Campbell, Paul B. & Panzano, Phyllis(1985). Elements of Vocational Program Quality. Ohio State Univ. Columbia. National Center for Research in University Education.
Desy, Jeanne; and Others(1984). The Long-Term Effects of Vocational Education; Earnings, Employment, Education, and Aspiration.
Gamoran, Adam, Ed.(1998). The Quality of Vocational Education. Background Papers from the 1994 National Assessment of Vocational Education.
Owens, Thomas & Vinarskai, Eugene(1983). Examining the Impact of High School Vocational Education.
Paul B. Campbell & Herbert S. Parnes.(1986). New Findings on Effectiveness. Vocational Education Journal, August 1986.
Petty, Gregory C.; and Others(1989). Employer Ratings of Vocational Education Graduate Effectiveness. A Reasearch Study Exploring Business and Industry Employer\'s Perception of the Effectiveness of Secondary Vocational Education Programs in Tennessee. Research in Tennessee Secondary Vocational-Technical Education.
Woods, Elinor M.; Haney, Walt(1981). Does Vocational Education Make a Difference? A Review of Previous Research and Reanalyses of national Longitudinal Data Sets.
넷째, 성공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실업계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대부분의 사람들이 대학 이상의 교육을 받았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실업계 고등학교에서 교육받은 것이 직무수행에 주로 도움이 많이 되었지만, 대학수학이나 대학진학에는 그다지 도움이 되지 못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실업계 고등학교를 졸업하더라도 여건이 허락된다면 대학진학도 가능하고 사회적인 성공도 할 수 있다는 점을 말해 주고 있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볼 때 실업교육 고유의 역할을 다한다면 얼마든지 교육적 성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할 수 있는데, 실업교육이 가지는 고유의 기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한 것으로 조사된 점들은 후속연구에서 그 원인을 파악하여 실업교육이 가지는 기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는 터전을 마련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또한 80년대 이후 특례입학제도가 폐지되어 실업계 고등학교 학생들이 대학에 진학할 수 있는 기회를 많이 상실하게 되었다. 과연 이러한 현실에서 실업계 고등학교를 졸업한 사람들이 현재는 대략 40대인 것으로 추정해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들이 한국인명사전에 실릴 수 있는 시기인 60대 전후가 되는 시기에 다시 한번 이런 연구를 한다면 아마도 실업계 고등학교 출신으로써 한국인명사전에 실릴 수 있는 사람은 그다지 많지 않을 것으로 추측되는데, 그 결과가 주는 시사점이 클 것이라고 생각한다.
참고문헌
교육부(1998). 교육 50년사. 서울; 교육부.
김수경(1992). Pestalozzi의 직업교육사상. 효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윤태 외(1977). 공업 및 상업교육의 효율성에 관한 조사연구. 한국교육개발원.
김진형(1992). 기술교육론. 충남대학교 공과대학 기술교육과.
박상순(1989). 실업교육의 교육적 정당화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실업교육발전위원회(2001). 실업교육 발전을 위한 실천적 방안 모색. 실업교육발전위원회.
연합연감(1998). 한국인명사전. 연합연감.
이무근 외(1992). 실업계 고등학교 졸업생들의 산업현장 적응능력평가를 통한 직업교육의 개선방안. 서울: 교육부.
이재원(1991). 노작의 의의와 그 교육적 가치에 관한 소고. 대한공업교육학회지 16, 1.
이종화(1998). 상업계 고등학교 과정의 효율성에 관한 연구-제7차 개정안을 중심으로-.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전국공업계고등학교 교장회·전국상업계고등학교 교장회·대한상업교육회 공편(1998). 교육개혁과 실업교육 활성화 방안. 실업교육 공동세미나 자료.
정문석(1992). 직업교육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정순택(1994). 실업교육의 경제적 효과성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정철영(1997). 실업계 고등학교의 실태와 발전방향. 직업교육연구 Vol 16(1).
최유현(1991). 일의 교육적 가치 변화와 교육철학적 쟁점. 대한공업교육학회지 16, 2.
한국직업능력개발원(1998). 직업교육훈련 100년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Andersen, D. L. & Orlando, F. J.(1990). New Foundations: A Base for Excellence in Vocational Education. New Jersey Vocational Needs Assessment Project 1989-1990.
Association of Vocational Education Administrations(1980). Outcomes of Occupational Education. Phase I Report.
Campbell, Paul B. & Panzano, Phyllis(1985). Elements of Vocational Program Quality. Ohio State Univ. Columbia. National Center for Research in University Education.
Desy, Jeanne; and Others(1984). The Long-Term Effects of Vocational Education; Earnings, Employment, Education, and Aspiration.
Gamoran, Adam, Ed.(1998). The Quality of Vocational Education. Background Papers from the 1994 National Assessment of Vocational Education.
Owens, Thomas & Vinarskai, Eugene(1983). Examining the Impact of High School Vocational Education.
Paul B. Campbell & Herbert S. Parnes.(1986). New Findings on Effectiveness. Vocational Education Journal, August 1986.
Petty, Gregory C.; and Others(1989). Employer Ratings of Vocational Education Graduate Effectiveness. A Reasearch Study Exploring Business and Industry Employer\'s Perception of the Effectiveness of Secondary Vocational Education Programs in Tennessee. Research in Tennessee Secondary Vocational-Technical Education.
Woods, Elinor M.; Haney, Walt(1981). Does Vocational Education Make a Difference? A Review of Previous Research and Reanalyses of national Longitudinal Data Sets.
키워드
우리나라실업교육현황 , 실업교육정책의흐름, 실업교육의내재적가치, 실업교육의당면문제, 실업계고등학교졸업자 , 실업교육의방향, 실업계교육의기능, 교육적정당화, 교육, 학교, 고등, 실업
추천자료
청년 실업에 대해서..
한국의 청년실업 현황 및 원인과 국제비교를 통한 시사점
장애인고용촉진 및 직업재활정책 이념, 장애인고용촉진 및 직업재활제도 변천, 장애인노동자 ...
[장애인고용촉진제도][장애인고용정책][장애인고용]한국의 장애인고용촉진제도(장애인고용정...
IT산업(정보기술산업)의 전문인력 범위, IT산업(정보기술산업)의 전문인력 현황, IT산업(정보...
장애 청소년의 직업재활 및 과제
무역 조정 지원제도의 정비와 정책적 시사점
청년실업의 현황, 선진국과 우리나라 청년실업 정책, 청년실업의 해결방안 분석
한국의 청년실업 대책에 관한 연구
우리나라 교육열 실태, 문제점, 해결방안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