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매체언어와 문식성의 관계 및 국어 교재화의 탐색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인터넷 매체언어와 문식성의 관계 및 국어 교재화의 탐색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머리말

Ⅱ. 국어교육학계 안팎의 미디어 교육 논의 현황

III. 인터넷 매체언어와 커뮤니케이션의 변화
1. 매체언어 개념과 국어교육의 상관 관계
2. 인터넷 매체언어와 국어교육
3. 인터넷 매체언어의 형상성과 전언성의 특징 
4. 인터넷 매체언어와 문식성의 관계

IV. 인터넷 매체언어의 국어 교재 대상화 및 탐색
1. 국어과 성격과 인터넷 매체언어
2. 국어 교재모델의 수정동인
3. 인터넷 매체언어 교재의 구성층위와 적용
가. 인터넷 매체언어의 교재 층위
나. 인터넷 매체언어의 교수학습 대상으로서 교재작용

V. 결 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오독이 또 다른 언어행위로 바뀌고 있는 시점을 고려할 때 인터넷 매체언어의 다양한 언어적 변용양상은 언어교육의 일환으로 수용할 필요가 있으며, 이렇게 할 때만이 국어교육에서의 ICT활용이 정착될 수 있다. 인터넷 매체언어의 교재화는 인쇄 매체언어에 비해 학습자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바, 교수학습의 작용이 \'언어과제 제시 - 언어자료 생성(언어정보 탐색 - 언어정보 분석 - 언어정보 산출) - 언어자료 공유\'의 단계
) 인터넷 매체언어를 활용한 국어과 교수학습의 모형과 방법에 대해서는 다른 지면을 통해 밝힐 것이다.
에 따라 이루어지면서 창조적 언어활동으로 연결된다.
V. 결 론
지금까지 인터넷 매체언어의 국어교과 교육론적 이해와 활용을 위해 인터넷의 매체 언어성을 전언성과 형상성, 상호소통성의 관점에서 검토한 뒤, 인터넷 매체언어의 국어교육 대상화의 필요성을 문식성의 확대한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인터넷 매체언어의 국어 교재화 가능성 탐색을 위한 구성층위를 <대상언어자료로서의 교재 - 선집언어자료, 검색언어자료>, <생성언어자료로서의 교재 - 상호작용 언어자료, 제작매체 언어자료>로 나누고 그 작용 양상을 \'언어자료 획득작용\', \'언어자료 산출작용\'의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그 결과 인터넷은 단순히 도구로만 활용되는 것이 아니라 전언을 포함한 상호소통 매개체이기 때문에 인터넷에서 표방되는 매체언어들이 국어교육의 대상이자 수단이 됨을 알 수 있었다. 나아가 인터넷 매체언어는 책으로 상징되는 규범언어의 한계를 보완할 뿐 아니라 학습자의 일상언어를 학습의 장에 수용하여 학습자료로서 활용할 수 있게 한다는 점에서 역동적인 언어환경을 구현하는 장점이 있었다.
국어교육이 매체변화와 무관하게 존재한다면, 혹은 국어교육이 인쇄매체에만 종속되어 이루어진다면 국어교육의 영역은 축소되거나 왜소해질 수밖에 없다. 인터넷 매체언어가 국어교육의 본질에 벗어나는 것이 아님이 밝혀진 이상, 앞으로는 좀 더 다양한 방법으로 혼성.융합매체 상황 속에서의 국어교육 교수학습 모형화 작업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고 현장교육과 이론교육이 접점을 찾는 실천들이 뒤따라야 한다. 이렇게 하여야만 국어교육에 있어서도 ICT활용 수업이 착근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김대행(1988), 「매체언어교육론 서설」, 『국어교육』97호, 한국국어교육연구회.
김동환.이도영.염은열.서유경(2000),「매체언어의 소통원리와 교육적 대상화의 방법」, 서울대 국어교육연구소 학술발표회자료집
김영환(1998), 「교육공학계에 나타난 구성주의에 대한 비판적 탐색」, 『교육공학연구』, 14(3).
김성문(1999), 「영상커뮤니케이션의 성립과 교육에 관한 시론적 일고」, <정보화시대 방송교육>, 나남출판.
류현주(2000), 『하이퍼텍스트문학』, 김영사.
박인기(1996), 「독서와 매체환경」, 『독서연구』 창간호, 한국독서학회.
박인기 외(2000), 『국어교육과 미디어 텍스트』, 삼영사.
배식한(2000), 『인터넷, 하이퍼텍스트, 그리고 책의 종말』, 책세상.
빌렘 플루서(1998: 윤종석 역), 『디지털 시대의 글쓰기』, 문예출판사.
손 미(1999), 「인터넷을 활용한 구성주의적 협동학습에서 교사의 역할에 대한 연구』, 부산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추계학술발표대회 요지.
우한용(1997), 「문학의 위기와 인문정신의 미래」, 『독서연구』 2호, 한국독서학회.
우한용(2000), 「지식정보화시대의 독서」, 『독서연구』 5호.
이상현(1998),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국어과 교육」, 『한국국어교육연구회 \'98봄 학술발표대회 자료집』
이재승(2000), 「정보화사회와 독서교육」, 『독서연구』 5호.
이지호(2000), 「열린 문학교육의 논리」, 『문학교육의 새로운 구도와 실천』, 태학사.
이채연(1997), 「하이퍼미디어를 이용한 국어과 수업전략-구비문학교육을중심으로」, 『어문학』 60집, 한국어문학회.
이채연(1998), 「WBI를 이용한 국어교과 개별화 수업설계와 활성화 방안」, 『국어교육』 96호, 한국국어교육연구회.
이채연(1998), 「디지털시대의 문학교육」, 『문학과 교육』, 5호, 문학과 교육연구회.
이채연(2000), 「인터넷 매체언어의 국어교과 교육론적 이해」, 교육부-교원대 교과교육공동연구소 학술발표대회자료집
이화진(2000), 「정보화시대의 독서전략」, 『독서연구』 5호.
주영주.최성희(1999), 「교수매체의 제작과 활용」, 남두도서.
최병우(1998), 「문학교육에 있어 다매체 환경의 활용」,『문학교육학』2호, 한국문학교육학회.
최병우.이채연.최지현(2000), 「매체언어의 교수-학습방법에 관한 연구」, 서울대 국어교육연구소 학술발표회자료집
최병우(2000), 「대매체시대의 독서」, 『독서연구』 5호.
최영환(1998), 「매체변화에 대응하는 국어교육」, 『국어교육』98호, 한국국어교육연구회.
최지현(2000), 「언어자료로서 문학의 교육적 가능성」, 『문학교육의 새로운 구도와 실천』, 한국문학교육학회, 태학사.
최지현(2000), 「매체언어이해론을 위한 근본논의」, 독서학회 2000년 여름 세미나자료집.
Goerge P. Landow(1997),< Hypertext 2.0: The Convergence of Contemporay Critical Theory and Technology>,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Jonassen, D. H.(1997), Instruction design models for well-structured and Ⅲ-structured problems solving learning outcomes. Educational Technology Research and Development. 45-1.
Laura Parker Roerden(1997), Net Lessons: Web-Based Projects for Your Classroom, Songline Studies, Inc. and O\'Reilly & Associates, Inc.(홍명희,김갑수,전우천 역: 『인터넷 활용 수업의 이론과 실제』, 한빛미디어, 2000)
  • 가격2,8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08.06.23
  • 저작시기2008.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3752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