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머리말
Ⅱ. 일본 재벌기업 조직의 구조
1. 재벌의 정의 및 구분
2. 산업발전(공업화)과 재벌의 역할
3. 일본 재벌기업의 기업지배구조
1) 총유제의 전통과 계승
2) 지주회사의 형성
3) 전문경영인의 성장과 역할
4. 재벌의 전향과 개조
Ⅲ. 일본 재벌조직의 형성과정
Ⅳ. 동족과 전문경영자의 관계로 본 재벌의 유형
1. 가족기업-1
2. 가족기업-2
3. 가족기업-3
4. 개인기업
1) 천야재벌
2) 천기재벌
3) 기타 지방재벌
Ⅴ. 맺음말
참고문헌
Ⅱ. 일본 재벌기업 조직의 구조
1. 재벌의 정의 및 구분
2. 산업발전(공업화)과 재벌의 역할
3. 일본 재벌기업의 기업지배구조
1) 총유제의 전통과 계승
2) 지주회사의 형성
3) 전문경영인의 성장과 역할
4. 재벌의 전향과 개조
Ⅲ. 일본 재벌조직의 형성과정
Ⅳ. 동족과 전문경영자의 관계로 본 재벌의 유형
1. 가족기업-1
2. 가족기업-2
3. 가족기업-3
4. 개인기업
1) 천야재벌
2) 천기재벌
3) 기타 지방재벌
Ⅴ. 맺음말
참고문헌
본문내용
대한 로비와 정부 주도의 경영에 더욱 경사하였다(Kang, 1997). 따라서, 정부와의 관계를 관리하는 소유기업가의 역할이 중요해지고 전문경영자의 권한은 극히 제한적이 되었다(강명헌, 1996 :148-581).
일본의 경우, 아직 재벌조직을 형성하지 못하고 政商的인 성격을 농후하게 가지고 있던 1870년대의 경우, 일본 재벌 역시 정부 정책에 민감하게 반응하지 않을 수 없었으며, 정부와의 관계를 관리할 수 있는 자가 경영권을 지배하였다. 대개의 경우, 그러한 존재는 명치 시대에 재벌의 기초를 쌓았던 재벌의 창업자들이거나, 정부와의 굵은 파이프를 가지고 있었던 番頭가 그러한 역할을 하였다. 1870년대에서 80년대에 三井이나 三菱에서 전문경영자의 등용이 조기적으로 나타나는 것은, 전문경영자가 경영권을 지배하게 되었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이들에 대한 정부의 강한 영향력을 반영하는 것이었다. 정부는 당시 정부 정책의 일각을 담당하던 재벌의 경영에 깊은 관심을 가지지 않을 수 없었고, 재벌 기업의 경영을 위해 전문 경영자의 등용을 종용한 것이었다. \'개명파\'가 명치 정부와 깊은 관련을 가지고 있던 인물들임은 이를 반증하는 것이다.
그러나, 일본의 공업화가 시작되는 시점부터 적어도 1920년대까지의 일본 정부의 경제운영은 기본적으로 자유방임주의였다(金洛年, 1995; Flath, 2000). 이러한 시장 중심적 경제체제 하에서 렌트의 발생은 줄어들고 명치 초기와 같이 재벌 가족이 \'政商\'으로서 직접 렌트 분배에 관여할 인센티브는 현저히 줄어든 것이다. 실제로, 일본의 산업혁명이 진행되는 가운데 三井이나 三菱은 자신의 政商的 체질을 의식적으로 희석화시키려는 노력을 하기도 하였다.(미야모토 외, 2001 :144)
여기서는 시론적으로만 제시하였지만, 재벌의 경영지배권을 둘러싼 가족과 전문경영자의 길항은 단순한 헤게모니 쟁탈의 문제가 아니라, 정부의 경제정책, 그 나라의 경제시스템과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참고문헌
金洛年(1995), \"現代 日本經濟 시스템의 特質과 形成過程\", 한국경제정책연구회편, 『韓國經濟의 새 패러다임 摸索』, 한울.
김영욱(1998), \"챈들러의 企業史觀과 韓國 재벌\", 『경제사학』 제25호.
미야모토(외 4인)(정진성역)(2001), 『일본경영사』, 한울.
정진성(1996), \"재벌가족과 전문경영자\", 『한일경상론집』 제12권.
하시모토 쥬로·다케다 하루히토편저(장현준·권혁태편역)(1997), 『일본경제의 발전과 기업집단』, 오롬.
橘川武郞(1987), \"第1次世界大戰後の日本におけるコンツェルン形成運動の歷史的意義\", 『靑山經營論集』 제22권 제1호.
(1995), \"戰前日本の産業發展と財閥(一)\", 『社會科學硏究』, 제47권 제3호.
(1996), 『日本の企業集團』」, 有斐閣.
藤本鐵雄(1993), 『「明治期」の別子 そして住友 - 近代企業家の理念と行動 - 』, 御茶の水書房.
武田晴人(1985), \"資本蓄積(3) 財閥\", 大石嘉一郞편『日本帝國主義史 1』東京大學出版會.
三島康雄편(1981), 『三菱財閥』, 日本經濟新聞社.
(1984), 『阪神財閥』, 日本經濟新聞社.
三井文庫編(1980), 『三井事業史』 本篇 第3卷上, 三井文庫.
三井八郞右衛門高棟傳編纂委員會(1988), 『三井八郞右衛門高棟傳』, 東京大學出版會.
森川英正(1966), \"岩崎小彌太と三菱財閥の組織\", 『經營志林』2권 4호.
(1980), 『財閥の經營史的硏究』, 東洋經濟新報社, 1980.
(1981), 『日本財閥史』, 敎育社.
(1981), 『日本經營史』, 日本經濟新聞社.
(1985), 『地方財閥』, 日本經濟新聞社.
(1991)편, 『經營者企業の時代』, 有斐閣.
(1996), 『 トップ·マネジメントの經營史』, 有斐閣.
小早川洋一(1981), \"淺野財閥の多角化と經營組織\", 『經營史學』16권 1호.
松元 宏(1979), 『三井財閥の硏究』, 吉川弘文館.
柴孝夫(1998), \"財閥の生成, そして解體 - 三菱財閥のコポレト·ガバナンス」\", 伊丹敬之(외)편『日本的經營の生成と發展』, 有斐閣.
深尾光洋·森田泰子(1997), 『企業ガバナンス構造の國際比較』, 日本經濟新聞社.
安岡重明편(1976), 『日本の財閥』, 日本經濟新聞社.
편(1982), 『三井財閥』, 日本經濟新聞社.
(1998), 『財閥經營の歷史的硏究』, 岩波書店.
安田善次郞(1911), 『富之礎』, 昭文堂, 1911.
鈴木孝明(1991), \"大正期三菱合資會社の經營支配機構\", 『大東文化大學紀要』, 제29호.
由井常彦편(1986), 『安田財閥』, 日本經濟新聞社, 1986.
作道洋太郞編(1982), 『住友財閥』, 日本經濟新聞社, 1982.
Berle, Adolf A. and Gardiner C. Means(1967), The Modern Corporation and Private Property, revised ed., A Harvest Book.
Chandler, Alfred D. Jr.(1977), The Visible Hand : The Managerial Revolution in American Business, The Belknap Press of Havard University Press.
and H. Daems, eds.(1980), Managerial Hierarchies : Comparative Perspective on the Rise of the Modern Industrial Enterprise, Harvard University Press.
(1990), Scale and Scope, The Belknap Press of Harvard University Press.
Flath, David(2000), The Japanese Economy, Oxford University Press.
Kang, Chunl-kyu(1997), \"Diversification Process and Ownership Structure of Samsung Chaebol\", in Shiba, Takao and Masahiro Shimotani, eds., Beyond the Firm, Oxford University Press.
일본의 경우, 아직 재벌조직을 형성하지 못하고 政商的인 성격을 농후하게 가지고 있던 1870년대의 경우, 일본 재벌 역시 정부 정책에 민감하게 반응하지 않을 수 없었으며, 정부와의 관계를 관리할 수 있는 자가 경영권을 지배하였다. 대개의 경우, 그러한 존재는 명치 시대에 재벌의 기초를 쌓았던 재벌의 창업자들이거나, 정부와의 굵은 파이프를 가지고 있었던 番頭가 그러한 역할을 하였다. 1870년대에서 80년대에 三井이나 三菱에서 전문경영자의 등용이 조기적으로 나타나는 것은, 전문경영자가 경영권을 지배하게 되었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이들에 대한 정부의 강한 영향력을 반영하는 것이었다. 정부는 당시 정부 정책의 일각을 담당하던 재벌의 경영에 깊은 관심을 가지지 않을 수 없었고, 재벌 기업의 경영을 위해 전문 경영자의 등용을 종용한 것이었다. \'개명파\'가 명치 정부와 깊은 관련을 가지고 있던 인물들임은 이를 반증하는 것이다.
그러나, 일본의 공업화가 시작되는 시점부터 적어도 1920년대까지의 일본 정부의 경제운영은 기본적으로 자유방임주의였다(金洛年, 1995; Flath, 2000). 이러한 시장 중심적 경제체제 하에서 렌트의 발생은 줄어들고 명치 초기와 같이 재벌 가족이 \'政商\'으로서 직접 렌트 분배에 관여할 인센티브는 현저히 줄어든 것이다. 실제로, 일본의 산업혁명이 진행되는 가운데 三井이나 三菱은 자신의 政商的 체질을 의식적으로 희석화시키려는 노력을 하기도 하였다.(미야모토 외, 2001 :144)
여기서는 시론적으로만 제시하였지만, 재벌의 경영지배권을 둘러싼 가족과 전문경영자의 길항은 단순한 헤게모니 쟁탈의 문제가 아니라, 정부의 경제정책, 그 나라의 경제시스템과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참고문헌
金洛年(1995), \"現代 日本經濟 시스템의 特質과 形成過程\", 한국경제정책연구회편, 『韓國經濟의 새 패러다임 摸索』, 한울.
김영욱(1998), \"챈들러의 企業史觀과 韓國 재벌\", 『경제사학』 제25호.
미야모토(외 4인)(정진성역)(2001), 『일본경영사』, 한울.
정진성(1996), \"재벌가족과 전문경영자\", 『한일경상론집』 제12권.
하시모토 쥬로·다케다 하루히토편저(장현준·권혁태편역)(1997), 『일본경제의 발전과 기업집단』, 오롬.
橘川武郞(1987), \"第1次世界大戰後の日本におけるコンツェルン形成運動の歷史的意義\", 『靑山經營論集』 제22권 제1호.
(1995), \"戰前日本の産業發展と財閥(一)\", 『社會科學硏究』, 제47권 제3호.
(1996), 『日本の企業集團』」, 有斐閣.
藤本鐵雄(1993), 『「明治期」の別子 そして住友 - 近代企業家の理念と行動 - 』, 御茶の水書房.
武田晴人(1985), \"資本蓄積(3) 財閥\", 大石嘉一郞편『日本帝國主義史 1』東京大學出版會.
三島康雄편(1981), 『三菱財閥』, 日本經濟新聞社.
(1984), 『阪神財閥』, 日本經濟新聞社.
三井文庫編(1980), 『三井事業史』 本篇 第3卷上, 三井文庫.
三井八郞右衛門高棟傳編纂委員會(1988), 『三井八郞右衛門高棟傳』, 東京大學出版會.
森川英正(1966), \"岩崎小彌太と三菱財閥の組織\", 『經營志林』2권 4호.
(1980), 『財閥の經營史的硏究』, 東洋經濟新報社, 1980.
(1981), 『日本財閥史』, 敎育社.
(1981), 『日本經營史』, 日本經濟新聞社.
(1985), 『地方財閥』, 日本經濟新聞社.
(1991)편, 『經營者企業の時代』, 有斐閣.
(1996), 『 トップ·マネジメントの經營史』, 有斐閣.
小早川洋一(1981), \"淺野財閥の多角化と經營組織\", 『經營史學』16권 1호.
松元 宏(1979), 『三井財閥の硏究』, 吉川弘文館.
柴孝夫(1998), \"財閥の生成, そして解體 - 三菱財閥のコポレト·ガバナンス」\", 伊丹敬之(외)편『日本的經營の生成と發展』, 有斐閣.
深尾光洋·森田泰子(1997), 『企業ガバナンス構造の國際比較』, 日本經濟新聞社.
安岡重明편(1976), 『日本の財閥』, 日本經濟新聞社.
편(1982), 『三井財閥』, 日本經濟新聞社.
(1998), 『財閥經營の歷史的硏究』, 岩波書店.
安田善次郞(1911), 『富之礎』, 昭文堂, 1911.
鈴木孝明(1991), \"大正期三菱合資會社の經營支配機構\", 『大東文化大學紀要』, 제29호.
由井常彦편(1986), 『安田財閥』, 日本經濟新聞社, 1986.
作道洋太郞編(1982), 『住友財閥』, 日本經濟新聞社, 1982.
Berle, Adolf A. and Gardiner C. Means(1967), The Modern Corporation and Private Property, revised ed., A Harvest Book.
Chandler, Alfred D. Jr.(1977), The Visible Hand : The Managerial Revolution in American Business, The Belknap Press of Havard University Press.
and H. Daems, eds.(1980), Managerial Hierarchies : Comparative Perspective on the Rise of the Modern Industrial Enterprise, Harvard University Press.
(1990), Scale and Scope, The Belknap Press of Harvard University Press.
Flath, David(2000), The Japanese Economy, Oxford University Press.
Kang, Chunl-kyu(1997), \"Diversification Process and Ownership Structure of Samsung Chaebol\", in Shiba, Takao and Masahiro Shimotani, eds., Beyond the Firm, Oxford University Press.
키워드
일본재벌기업조직, 재벌의정의및구분, 재벌기업의기업지배구조, 총유제의전통과계승, 일본재벌조직의형성과정, 봉쇄적소유구조, 일본의재벌생성기, 동족과전문경영자의관계, 재벌, 기업, 경영자, 전문
추천자료
한국 금융위기의 원인과 대책
공공부문노조의 긍정적 역할에 대한 연구
재벌개념을 중심으로 본 한국 경제영웅의 실체분석
[경제학과] 한국 재벌의 현실과 개혁방향-우수논문,재벌,사회계층
한.일 기업구조 비교분석
[공기업][공기업 역사][공기업 성격][공기업 성장과정]공기업의 역사, 공기업의 성격, 공기업...
[공기업][공기업 지배구조][공기업 개혁][공기업 연봉제][공기업 국가별 사례]공기업의 설립...
[기업 지배구조][공기업 지배구조][대기업 지배구조][한국기업 지배구조][미국기업 지배구조]...
[기업지배구조] 기업지배구조 이론,한국기업의 성장변화,한국식 재벌구조,지배구조 유형,지배...
기업지배구조 정의 중요성과 국내 해외 기업지배구조 사례분석과 혁신사례분석및 기업지배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