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1. 들어가며
2. 생각의 방향
Ⅱ. 본론
1. 데카르트 시기의 철학사적 배경
2. 데카르트에게 있어서의 학문 탐구와 그 목적
3. 방법론적 회의를 통한 진리의 인식 : 철학적 제1 원칙의 도출과 신의 현존 증명
4. 물심이원론 : 이성의 영역과 기계론적 물질 영역의 분리
Ⅲ. 결론
1. 데카르트 철학에 대한 비판적인 평가
2. 데카르트 철학의 의의
Ⅳ. 참고문헌
1. 들어가며
2. 생각의 방향
Ⅱ. 본론
1. 데카르트 시기의 철학사적 배경
2. 데카르트에게 있어서의 학문 탐구와 그 목적
3. 방법론적 회의를 통한 진리의 인식 : 철학적 제1 원칙의 도출과 신의 현존 증명
4. 물심이원론 : 이성의 영역과 기계론적 물질 영역의 분리
Ⅲ. 결론
1. 데카르트 철학에 대한 비판적인 평가
2. 데카르트 철학의 의의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결한 개념만을 진리로 보고자 하였는데, 신의 존재 여부는 오히려 철학적 제1 원리에 앞서는 전제처럼 다루어지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 이는 데카르트 또한 중세의 기독교적 철학의 관점에서 신의 존재에 대한 믿음에서 완전히 탈피하지 못했기에 나타난 것이라 생각되고, 그가 살았던 사회적 배경 속에서 나타나는 한계성이라고 생각한다.
마지막으로 정신과 신체의 이원론(二元論)에 대해서 생각해보고자 한다. 데카르트는 이원론을 제시하는 과정에서 인간과 동물을 구분하는 기준을 “이성”으로 보았다. 그러나 이러한 구분은 “이성”을 인간만이 지닌 우월한 능력으로 평가되게 함으로 인해서 서구의 인간중심적인 세계관이나 이분법적인 세계관을 낳는 계기가 되기도 한다. 이런 논의는 데카르트가 의도하지 않았으나 발생한 결과론적인 비판이 될 수도 있지만, 간과해서는 안되는 문제라고 여겨진다.
2. 데카르트 철학의 의의
데카르트의 철학은 그가 활동한 당대와 그의 후대에 지대한 영향을 미침과 동시에 패러다임을 변화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했다. 데카르트는 근세과학의 발전에 영향을 받았지만 동시에 과학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치기도 하였다.
데카르트의 “나는 존재한다. 그러므로 나는 존재한다.”라는 철학적 제1 원리는 명석 판명한 진리를 찾으려는 노력의 결실임과 동시에, 데카르트의 인간관이 집약되어있는 명제다. 또한 “모든 것은 나로부터 시작한다.”라는 발상을 통하여 서구에서의 인간 개인의 주체성을 확립하는 데에 기여하였다.
또한 물심이원론은 여러 가지 한계가 있다 할지라도, 분명 중세의 신, 종교 중심의 세계인식의 태도와 경험과학을 분리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 때문에 과학이 종교라는 울타리를 벗어나서 발전할 수 있었다.
데카르트의 철학적인 사유들이 지금에 와서도 아무런 약점이 없는 완벽한 진리가 될 수는 없다. 하지만 분명 당시의 사회에서 데카르트는 그 누구도 하지 않았던 방향으로 사고를 시도한 사람이다. 현대적 관점에 와서 명확히 밝혀졌기에 사실관계에 있어서 비판받을 만한 요소가 있을 수도 있지만, 데카르트의 사유의 과정 자체는 현대에 와서도 많은 효용을 지닐 수 있다고 생각된다.
그리고 한 가지만 더 언급하자면, 《방법서설》에서 나타나는 데카르트 철학의 핵심이 되는 문구 중에 이런 부분이 있다.
우리가 각각 다른 견해를 갖고 있는 것은 어떤 사람이 다른 사람보다 더 이성적이어서라기보다는, 서로 다른 길을 따라 생각을 이끌고, 동일한 사물을 고찰하지 않는 것에서 비롯되는 것이다. 왜냐하면 좋은 정신을 지니는 것만으로는 충분치 않으며, 그것을 잘 사용하는 것이 더 중요하기 때문이다. 위대한 영혼의 소유자는 엄청난 덕행을 할 수 있는 반면에 엄청난 악행도 할 수 있으며, 천천히 걷되 곧은길을 따라가는 사람은 뛰어가되 곧은길에서 벗어나는 사람보다 훨씬 더 먼저 갈 수 있는 것이다. 데카르트, 이현복 옮김, 《방법서설, 정신지도를 위한 규칙들》, 문예출판사, 1997, p.14
Ⅳ. 참고문헌
《방법서설, 정신지도를 위한 규칙들》, 르네 데카르트, 이현복 옮김, 문예출판사
《서양철학사》, 버트란트 러셀, 한철하 옮김, 대한교과서
《30분에 읽는 데카르트》, 케빈 오도넬, 이영아 옮김, 랜덤하우스중앙
《믿고 싶은 모든 것을 의심하라 - 데카르트》, 폴 스트래던, 박지수 옮김, 펀앤런북스
앞서 데카르트에 대한 비판적인 평가에서 짧게 언급한 현대적인 많은 문제들은 우리가 인간 중심적인 사고를 취함으로써 곧은길을 벗어났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아무리 좋은 도구라 할지라도 용도에 맞게 사용해야 제 기능을 하듯이, 데카르트가 말하고자 했던 철학적인 논의들도 왜곡 없이 바르게 재정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한다.
마지막으로 정신과 신체의 이원론(二元論)에 대해서 생각해보고자 한다. 데카르트는 이원론을 제시하는 과정에서 인간과 동물을 구분하는 기준을 “이성”으로 보았다. 그러나 이러한 구분은 “이성”을 인간만이 지닌 우월한 능력으로 평가되게 함으로 인해서 서구의 인간중심적인 세계관이나 이분법적인 세계관을 낳는 계기가 되기도 한다. 이런 논의는 데카르트가 의도하지 않았으나 발생한 결과론적인 비판이 될 수도 있지만, 간과해서는 안되는 문제라고 여겨진다.
2. 데카르트 철학의 의의
데카르트의 철학은 그가 활동한 당대와 그의 후대에 지대한 영향을 미침과 동시에 패러다임을 변화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했다. 데카르트는 근세과학의 발전에 영향을 받았지만 동시에 과학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치기도 하였다.
데카르트의 “나는 존재한다. 그러므로 나는 존재한다.”라는 철학적 제1 원리는 명석 판명한 진리를 찾으려는 노력의 결실임과 동시에, 데카르트의 인간관이 집약되어있는 명제다. 또한 “모든 것은 나로부터 시작한다.”라는 발상을 통하여 서구에서의 인간 개인의 주체성을 확립하는 데에 기여하였다.
또한 물심이원론은 여러 가지 한계가 있다 할지라도, 분명 중세의 신, 종교 중심의 세계인식의 태도와 경험과학을 분리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 때문에 과학이 종교라는 울타리를 벗어나서 발전할 수 있었다.
데카르트의 철학적인 사유들이 지금에 와서도 아무런 약점이 없는 완벽한 진리가 될 수는 없다. 하지만 분명 당시의 사회에서 데카르트는 그 누구도 하지 않았던 방향으로 사고를 시도한 사람이다. 현대적 관점에 와서 명확히 밝혀졌기에 사실관계에 있어서 비판받을 만한 요소가 있을 수도 있지만, 데카르트의 사유의 과정 자체는 현대에 와서도 많은 효용을 지닐 수 있다고 생각된다.
그리고 한 가지만 더 언급하자면, 《방법서설》에서 나타나는 데카르트 철학의 핵심이 되는 문구 중에 이런 부분이 있다.
우리가 각각 다른 견해를 갖고 있는 것은 어떤 사람이 다른 사람보다 더 이성적이어서라기보다는, 서로 다른 길을 따라 생각을 이끌고, 동일한 사물을 고찰하지 않는 것에서 비롯되는 것이다. 왜냐하면 좋은 정신을 지니는 것만으로는 충분치 않으며, 그것을 잘 사용하는 것이 더 중요하기 때문이다. 위대한 영혼의 소유자는 엄청난 덕행을 할 수 있는 반면에 엄청난 악행도 할 수 있으며, 천천히 걷되 곧은길을 따라가는 사람은 뛰어가되 곧은길에서 벗어나는 사람보다 훨씬 더 먼저 갈 수 있는 것이다. 데카르트, 이현복 옮김, 《방법서설, 정신지도를 위한 규칙들》, 문예출판사, 1997, p.14
Ⅳ. 참고문헌
《방법서설, 정신지도를 위한 규칙들》, 르네 데카르트, 이현복 옮김, 문예출판사
《서양철학사》, 버트란트 러셀, 한철하 옮김, 대한교과서
《30분에 읽는 데카르트》, 케빈 오도넬, 이영아 옮김, 랜덤하우스중앙
《믿고 싶은 모든 것을 의심하라 - 데카르트》, 폴 스트래던, 박지수 옮김, 펀앤런북스
앞서 데카르트에 대한 비판적인 평가에서 짧게 언급한 현대적인 많은 문제들은 우리가 인간 중심적인 사고를 취함으로써 곧은길을 벗어났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아무리 좋은 도구라 할지라도 용도에 맞게 사용해야 제 기능을 하듯이, 데카르트가 말하고자 했던 철학적인 논의들도 왜곡 없이 바르게 재정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