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영웅소설의 특징 (「謝氏南征記」와 「朴氏婦人傳」을 중심으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여성영웅소설의 특징 (「謝氏南征記」와 「朴氏婦人傳」을 중심으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 2쪽

Ⅱ. 본론 ……………………………………………… 2쪽
1. 여성영웅소설의 명칭
2. 여성영웅소설의 개념
3. 「謝氏南征記」의 여성 길들이기 소설로서의 특징
4. 「朴氏婦人傳」의 여성주체적 소설로서의 특징

Ⅲ. 결론 ……………………………………………………… 7쪽

Ⅳ. 참고문헌 …………………………………………… 7쪽

본문내용

금 “준민고택하는 각 읍 수령”과 “도탄에 빠진 인심의 소요”를 인의로 다스림으로써 국내의 공동체가 직면하고 있는 위기를 극복하는데 사용한 것이다.
그런데 「朴氏婦人傳」에서 여성의 능력은 국내의 공동체가 직면하고 있는 문제보다 ‘국외’문제를 해결하는데 많은 비중을 두고 있다. 박씨는 자신의 탁월한 능력을 국내에서 국외 문제로 확장시킨다. 이시백과 시비 계화는 공적 영역에서 탁월한 능력을 발휘하기 위해 우회적으로 배우자인 남성과 시비를 내세우고 있으나, 이들은 처음부터 박씨부인의 지휘 하에 움직이는 종속적 인물일 뿐이다.
박씨는 ‘피화당’에서 호국의 침략을 예견한다. 박씨부인은 자객이 호국의 기홍대임을 알고, 그녀의 ‘비연도’에 맞서 ‘진언’으로 대결한다. 박씨는 기홍대의 사죄를 받고, 죽이는 대신 ‘용서’하여 돌려보냄으로써 ‘포용성’을 발휘한다. 박씨는 칼, 살인 등과 같은 폭력보다 비폭력과 포용성, 생명 존중성 등 여성적 속성을 최대한 발휘하여 승리한다는 점에서 다른 여성영웅들과 같은 존재이다.
「朴氏婦人傳」에서는 적국에서도 공적 영역의 대변자인 호장이 조선의 여성영웅 계화와 충렬부인의 신기한 능력과 지도력을 인정하고 있어서 특이하다. 더욱이 임금이 호병이 세자대군을 데려감으로써 충렬부인의 말을 듣지 않은 것을 후회한다. 이를 통해 남성중심 체제의 제1인자인 ‘왕’조차 스스로 남성 집단의 지도력 부재를 인정한다. 마침내 왕은 공적 영역의 대표자로서 공적 영역에서의 여성의 역할에 대하여 ‘규중여자가 적수단신’으로 호적을 물리친 박씨의 공적을 인정한다. 그녀의 그 공훈으로 ‘정렬부인’으로 승급된다. 그리고 박씨는 국가의 일에 지속적으로 참여한다.
이렇게 박씨부인은 여성에게 요구되는 가정적, 사회적 역할을 완벽하게 수행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그녀는 사적, 공적 영역에서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해야 되는 현대 여성들에게 그녀는 결코 도달할 수 없는 슈퍼우먼의 한 사회는 자신의 능력을 사적 공적 영역에서 발휘하는 것이 자유로운 사회, 즉 슈퍼우먼의 신화를 넘어설 때 비로소 가능하다.
Ⅲ. 결론
일반적으로 남성을 주인공으로 하는 영웅소설에서 여성의식을 고찰한다는 것은 어불성설일지도 모른다. 지금까지 영웅소설을 연구하는 방법이 한결같이 주인공을 중심으로 고찰하였기에 여성과 같은 주변 인물들은 간과하고 말았던 것이다. 이러한 연구의 태도를 영웅소설이 조선조라는 유교 이데올로기의 엄격한 사회상황에서 창작되고 향유되었기에 특정 계층의 의식만을 주목한 데에서 비롯되었다고 볼 수 있다.
비록 영웅소설이 특정 계층의 의식을 대변해주는 이념 지향적 성격을 갖는다하더라도 많은 부녀자(여성)들이 향유층이었음을 볼 때 이들의 의식과 소망이 작품에 수용되었을 것은 당연하다. 따라서 작품분석을 통한 간접적인 방법을 통해서 이들의 의식을 고찰할 수 있을 것이다.
의식의 확대와 다변화는 물론 당대의 여성 수용층의 통속적 요구 및 그들이 직면하고 있는 갈등적 현실을 직접적으로 수용하였을 것으로 볼 수 있으며, 당대 남성 중심적 사회를 향한 여성의 항변과 봉기를 부분적으로 형상화하고 있다는 점에 의미를 둘 필요가 있다. 요컨대 여성 중심적 시각은 여성의 본능적 욕구를 부정적인 것으로 보는 것을 거부하고, 보편적인 것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제도나 인습에 의해 부당하게 억압 또는 희생되어서는 안 된다고 주장함으로써 남성 중심적 편협성을 일정하게 비판하고 있는 것이다.
Ⅳ. 참고문헌
윤분희, 「여성 영웅소설 연구」, 『한국문학총론』, 제32집, PP.171-271, 2002.
안기수, 『영웅소설의 수용과 변화』, 보고사, 2004.
김연숙, 『고소설의 여성 주의적 연구』, 국학자료원, 2002.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8.12.19
  • 저작시기2007.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3773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