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나다와 한국의 시민단체 비교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캐나다와 한국의 시민단체 비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1)시민사회
2)시민사회의 중요성
3)조사방향

Ⅱ. 본론
1)시민사회단체의 발전 과정
①한국
②캐나다
2)시민사회단체의 정치참여 특성
①한국
②캐나다
3)시민사회단체의 정치참여 양태
①한국
(1)경실련
(2)참여연대
(3)환경운동연합, 여성단체
②캐나다
(1)캐나다 회의(The Council Canadians)
(2)캐나다시민연맹 (National itizens Coalition: NCC)
(3)그린피스캐나다 (Greenpeace Canada)
(4) 캐나다여성회의 (National Council of Women of Canada)

Ⅲ. 결론

Ⅳ참고자료

본문내용

순수한 개인으로부터의 기부나 회비로 운영되고 있는 비영리단체이다. 토론토에 본부를 두고 벤쿠버와 몬트리올에 지부를 두고 있는 그린피스 캐나다는 기후변화, 핵문제, 해양보호 등에 대한 지속적인 감시 또는 보호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연간 예산 약 3백만$를 사용하고 있는 그린피스는 ‘Greenlink\'라는 정기간행물을 발간, 단체의 활동을 알리고 있다.
최근 전개하고 있는 대표적인 운동은 ‘Stop Climate Change\'\'Stop Nuclear Threat\'\'Stop Toxic Pollution\'\'Safeguard Our Ocean\'등이다. 정기간행물이나 보고서로는 ’Forest Views\'\'Save of Delete\'\'The Lost Decade\'등이 있으며 그린피스 캐나다는 회원들에게 각종 시위에 참여, 정부에 편지 또는 이메일 보내기 운동 참여, 각종 청원서에 서명 활동 참여 드을 요청하고 있다. 또한 국제적인 연대 활동을 통하여 캐나다 정부에 압력을 가하기도 한다.
그린피스 이외에도 캐나다에는 1977년 200여개의 단체가 연합하여 조직한 캐나다환경운동네트워크(Canadian Environmental Network:CEN)등이 활동하고 있다. CEN은 현재 750여개 단체가 연대조직 형태로 조직되어 활동하고 있으며, ‘Network News\'라는 정기간행물을 통하여 단체 활동을 알리고 있다. 이 단체는 정부로부터 재정적 지원을 받고 있어 그린피스와는 다른 형태의 운영을 하고 있다. 이 단체는 정부와 비교적 우호적 관계를 형성, 단체의 활동을 하고 있다.
(4) 캐나다여성회의 (National Council of Women of Canada)
캐나다는 1960년대까지 여성의 정치참여는 비교적 활발하지 못하였으나, 1967년 정부에서 여성지위향상위원회(Royal Commission on the Status of Women)를 설치하고 그 후 여성단체가 조직되면서 활성화되면서 여성관련 시민사회단체들이 본격적으로 등장하였다.
캐나다에는 캐나다여성회의(NCWC)를 비롯하여 여성지위향상전국행동위원회(National Action Committee on Status of Women:NAC)등과 같은 단체들이 활동하고 있다. 이들 단체들은 여성과 가족의 사회적 지위 향상과 삶의 질의 재고, 정책결정과정에 영향력 확대 등을 목표로 하고 정치 참여을 하고 있다.
NCWC는 1893년 10월 토론토에서 약 1,500여명이 참석하여 조직된 역사가 가장 오래된 여성단체이다. 여성의 지위향상을 위하여 조직된 NCWC는 현재 유엔(UN) 산하 경제사회이사회에서 참여단체로서 활동하고 있으며, 현재 전국에 5개 주지부, 20개의 도시에 시지부를 두고 있다.
정부와 대립적인 관계보다는 상당히 친화적인 관계를 통하여 단체 목적 달성을 위한 활동을 전개하고 있는 NCWC는 1924년 이래 연방 정부의 수상은 물론 의회와 정기적인 모임을 개최하고 있으며 또한 이들에게 단체의 추구 정책을 보고서 제출을 통하여 전달하고 있다. 단체의 목표 추구를 위하여 극단적인 활동보다는 자문과 토론을 통한 풀뿌리운동을 전개하고 있는 NCWC는 ‘Newsletter\'\'Secure Our Future\'등과 같은 정기간행물을 통하여 홍보활동을 하고 있다.
한편 1971년 설립된 여성지위향상전국행동위원회는 여성의 평등과 정의의 제고 등을 위하여 NCWC보다는 더욱 적극적인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Action Now\'라는 정기간행물을 통하여 회원들은 물론 시민들에게 단체 활동을 알리고 있는 이 단체는 2004년 캐나다 총선거 시 강력한 여성참여 운동을 전개하였다. 특히 2004년 6월에 실시된 총선거에는 ’2004, what do you want for your daughter after June 28\'이라는 포스터를 통하여 여성들의 적극적인 선거참여를 전국에 걸쳐 홍보하면서 여성의 적극적 투표 참여, 정책결정과정 이해 등을 추구했다. 김영래 (2005) 한국과 캐나다의 시민사회단체의 정치참여 비교 연구. p8~27
Ⅲ. 결론
시민사회단체는 다원주의적 집단정치이론을 바탕으로 정치참여를 통한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다. 이는 획일적인 방법을 통해서가 아니라 나라의 고유한 배경에 의해서 다양성을 지니고 있다. 한국과 캐나다, 두 나라를 비교함으로서 다른 배경(정치참여) 속에서 살펴보았다.
한국은 정치참여 양태에서 나온 사례에서와 같이 비교적 비 상례적 정치참여를 하였다. 총선거와 같은 상대적으로 큰 정책의 변화시기에서 대대적으로 엘리트들이 주도하는 운동이 주를 이루었다. 이로 인해 정치가 권력화 되면서 중앙집중식을 이루기도 하였다.
평상시에도 정치기본권의 일환으로 전개되고 있는 캐나다의 시민사회단체의 정치참여는 행정부를 중심으로 공개적이고 합리적이며 상례적으로 정치참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로 인해 정치가 권력화 되는 문제는 발생하지 않아서 이곳에서는 특별한 쟁점이 되지 않는다. 한국이 중앙 집중적이라면 캐나다는 지역 중심적이다.
두 나라의 서로 다른 배경 속에서 시민사회단체들이 활동하고 있는 모습들을 살펴보았다. 여기서 말하고자 하는 바는 어느 것이 더 우월하다는 입장을 말하려는 것이 아니다. 각 나라 고유한 사회의 정치를 중심으로 이루어진 그 다양성을 인정하고, 고유한 특색에 맞는 형태를 재구성하고 창조함을 통해 더 나은 모습으로 발전하길 기대하는 것이다.
더불어 비교를 통해서 우리나라의 시민사회단체를 더 잘 알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여 우리나라에 맞는 형태의 모습으로 발전시키고, 우리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다시 한 번 더 생각해 볼 수 있었으면 하는 마음으로 이 글을 마친다.
Ⅳ참고자료
함께하는 시민행동 2002 또 다른 세상, 또 다른 비전 역사넷
정수복 1996 참여민주주의를 위한 시민단체의 역할과 정책 과제 박영률출판사 김영래, 김혁래 2002 NGO와 한국정치 서울: 아르케
신명순, 박경산 1995 캐나다의 정치과정 서울: 아르케
김영래 2005 한국과 캐나다의 시민사회단체의 정치참여 비교 연구
정하윤 2000 미국 시민단체 활성화의 요인 분석 지역연구협동과정
www.canadatourism.com
  • 가격2,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08.12.23
  • 저작시기2008.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3776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