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보증금계약의 법적 성질
2. 보증금의 효력
3. 보증금반환청구권
4. 부동산소유권의 이전과 보증금의 승계
2. 보증금의 효력
3. 보증금반환청구권
4. 부동산소유권의 이전과 보증금의 승계
본문내용
당해 주택을 양수한 때에도 임대인의 보증금반환채무는 소멸하고 양수인인 임차인이 임대인의 자신에 대한 보증금반환채무를 인수하게 되어, 결국 임차인의 보증금반환채권은 혼동으로 인하여 소멸하게 된다(大判 1996. 11. 22. 96다38216).
(2) 임차권이 대항력을 가지지 않는 경우
임차인은 목적물의 양수인에 대하여는 보증금의 반환을 청구할 수 없다.
(2) 임차권이 대항력을 가지지 않는 경우
임차인은 목적물의 양수인에 대하여는 보증금의 반환을 청구할 수 없다.
키워드
추천자료
[민법]상가건물임대차보호법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에 대한 소고
[채권법]동시이행의 항변권에 대한 논점의 정리
민법상 보증금에 대한 법적 검토
[부부재산제][부부재산제의 문제점][외국의 부부재산제 사례][부부재산제의 개정 방안]부부재...
[법률] 주택·상가 임대차 보호법상의 문제점
권리금에 관한 판례연구
[우선변제권, 등사권, 자료제출요구권, 청구권, 친권, 양육권, 임차권]우선변제권, 등사권, ...
[권리금] [부동산법제 4 공통] 상가건물임대차의 권리금의 문제점과 법제화 방안에 대해 논하...
상가권리금 : 상가권리금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 상가권리금의 결정을 미치는 요인 분석
부동산법제 2025년 1학기 중간과제물, 서울시 종로구 대학로 이화사거리 근처에 꼬마 빌딩,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