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들어가는
2. 일제 시대의 교육
3. 일제 강점기 교육의 근대화에 따른 긍정적 특성
4.맺는말
2. 일제 시대의 교육
3. 일제 강점기 교육의 근대화에 따른 긍정적 특성
4.맺는말
본문내용
시켰던 행정을 자료로써 알 수 있다. 더구나 제2차조선 교육령에서 표기 된 소학교령, 중학교령, 고등 학교령이 있었던 것으로 보아 종전 보통학교와 고등보통학교가 세분화 된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일제 제국주의의 학교제도는 현재의 학교제도에 큰 영향을 미쳤다.
실업에 관한 과목에 치중한 면, 일본어 보급에 치중한 면이 있지만 교과목의 분과를 이뤄 그것이 실용적인 교육이 고착화 되는 결과를 나았다고 보아진다.
⑤ 대외(일본)유학생이 증가했다.
일본 유학생의 교육도 일본에 의한 교육이다. 일본을 거친 교육으로 인해 조선내 사회적 파급효과는 상당했다. 일본 유학생들의 귀국 후의 직장 생활과 관련해 (동아일보)는 1909년부터 1923년 7월 말까지 13년 7개월 동안 귀환한 도일 유학생을 다룬 기상에서 관공 사립대학 650인 전문학교102인 실업학교172인 중학교급 고등여학교113인 기타학교284인 도합1321인의 취직 상황 농업228인 무직284인 학교교원177인 관공서140인 은행, 회사119인 상업103인 의사50인 변호사16인이라고 소개한 적이 있다. 이것은 일본유학으로 인한 직업의 세분화된 사례라 볼 수 있고 전문직업인으로써 전문성 습득에 도움을 준듯하다.
일본 유학은 또한 근대적 이데올로기, 서양의 학문이론을 접할 수 있었던 통로였던 상황으로 보아 실질적으로 현대 학문적 문화적 성과를 형성하는데 상당한 성과를 올릴 수 있도록 했다.
4.맺는말
일제 강점기의 교육의 긍정적 측면을 위주로 살펴보았다. 위에서 살펴본바와 같이 학교시설증가와 기술의 향상, 학교제도의 틀 안착 등 긍정적 측면도 있지만, 역시나 한국 사람이기에 그런지 부정적 측면에 대한 화를 떨칠 수는 없었다. 일본이 근대교육이라는 명목아래 조선을 영구적인 착취와 수탈의 대상으로 삼았던 것과 근대교육을 통하여 출세를 꾀하려 한범, 무조건적인 주입식 교육등 지금까지도 남아있는 일재의 잔재는 여전하다. 현재에도 우리나라 교육의 실패와 개혁에 관한 목소리가 크지만 우리나라는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할지 몰라 외국교육제도의 무분별한 도입만을 시도 하고 있는 듯하다. 주체적이 교육제도와 사상이 우리사회에 하루 빨리 정착하여 체계적인 교육을 통한 우리 교육의 참된 의미를 실천해 나가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김동춘.[한국 현대사 연구].이성과현실.1988
윤완.[한국 교육사의 이해].원미사.1994
신용화외.[일제강점기의 사회와 사상].신원문화사.1991
실업에 관한 과목에 치중한 면, 일본어 보급에 치중한 면이 있지만 교과목의 분과를 이뤄 그것이 실용적인 교육이 고착화 되는 결과를 나았다고 보아진다.
⑤ 대외(일본)유학생이 증가했다.
일본 유학생의 교육도 일본에 의한 교육이다. 일본을 거친 교육으로 인해 조선내 사회적 파급효과는 상당했다. 일본 유학생들의 귀국 후의 직장 생활과 관련해 (동아일보)는 1909년부터 1923년 7월 말까지 13년 7개월 동안 귀환한 도일 유학생을 다룬 기상에서 관공 사립대학 650인 전문학교102인 실업학교172인 중학교급 고등여학교113인 기타학교284인 도합1321인의 취직 상황 농업228인 무직284인 학교교원177인 관공서140인 은행, 회사119인 상업103인 의사50인 변호사16인이라고 소개한 적이 있다. 이것은 일본유학으로 인한 직업의 세분화된 사례라 볼 수 있고 전문직업인으로써 전문성 습득에 도움을 준듯하다.
일본 유학은 또한 근대적 이데올로기, 서양의 학문이론을 접할 수 있었던 통로였던 상황으로 보아 실질적으로 현대 학문적 문화적 성과를 형성하는데 상당한 성과를 올릴 수 있도록 했다.
4.맺는말
일제 강점기의 교육의 긍정적 측면을 위주로 살펴보았다. 위에서 살펴본바와 같이 학교시설증가와 기술의 향상, 학교제도의 틀 안착 등 긍정적 측면도 있지만, 역시나 한국 사람이기에 그런지 부정적 측면에 대한 화를 떨칠 수는 없었다. 일본이 근대교육이라는 명목아래 조선을 영구적인 착취와 수탈의 대상으로 삼았던 것과 근대교육을 통하여 출세를 꾀하려 한범, 무조건적인 주입식 교육등 지금까지도 남아있는 일재의 잔재는 여전하다. 현재에도 우리나라 교육의 실패와 개혁에 관한 목소리가 크지만 우리나라는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할지 몰라 외국교육제도의 무분별한 도입만을 시도 하고 있는 듯하다. 주체적이 교육제도와 사상이 우리사회에 하루 빨리 정착하여 체계적인 교육을 통한 우리 교육의 참된 의미를 실천해 나가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김동춘.[한국 현대사 연구].이성과현실.1988
윤완.[한국 교육사의 이해].원미사.1994
신용화외.[일제강점기의 사회와 사상].신원문화사.1991
추천자료
일제시대의 법왜곡(교육법)
성리학 교육과 일제시대 교육이 현재 교육에 미친 영향
개화기와 미군정기 한국교육
인터뷰를 통한 일제시대의 진학에 대하여
실학기, 개화기, 일제기시대의 교육PPT
[조선시대교육][사학][성균관][향교]조선시대교육의 관련법령, 조선시대교육의 과거제도, 조...
식민지기(식민지시대, 일제강점기)의 영양상태, 공업정책, 식민지기(식민지시대, 일제강점기)...
일제(일제강점기, 식민지시대)의 침략과정, 침략정책, 일제(일제강점기, 식민지시대)의 회유...
일제시대(식민지시대, 일제강점기)의 교육목적, 경제발전, 일제시대(식민지시대, 일제강점기)...
일제시대의 교육에 대하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