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서 론
제2장 유전자조작(생명공학)에 관한 문제
1. 유전자조작 식품이란?
2. 유전자 조작의 철학
3. 유전자 조작과 그로인한 문제
4. 생명공학의 허구성
5. 소결론
제3장 유전자조작(생명공학) 식품에 대한 생명신학적 비판
1. 생명공학(유전자조작)의 구성원리: 기계론적 세계관과 영지주의(탈 육체성)
2. 생명공학에 대한 생명신학적 비판: 기계론적 세계관(유전자조작식품)
3. 생명공학의 생명신학적 비판: 생태계 문제
4. 생명의 존엄성에 근거한 예수의 가르침
5. 소결론
제4장 결 론
참고 문헌
제2장 유전자조작(생명공학)에 관한 문제
1. 유전자조작 식품이란?
2. 유전자 조작의 철학
3. 유전자 조작과 그로인한 문제
4. 생명공학의 허구성
5. 소결론
제3장 유전자조작(생명공학) 식품에 대한 생명신학적 비판
1. 생명공학(유전자조작)의 구성원리: 기계론적 세계관과 영지주의(탈 육체성)
2. 생명공학에 대한 생명신학적 비판: 기계론적 세계관(유전자조작식품)
3. 생명공학의 생명신학적 비판: 생태계 문제
4. 생명의 존엄성에 근거한 예수의 가르침
5. 소결론
제4장 결 론
참고 문헌
본문내용
원, 1997.
이정배. 「생명공학 우주론의 신학의 문제점」. 『기독교사상』. 제506호. (2001, 2), 143-160.
. 「생태학적의 신학과제」. 『기독교사상』 제393호. (1991. 9), 26-41.
. 「신과학시대의 기독교 영성」. 『생태학 삶을 추구하는 영성』. 한국교회환경연구소 엮음. 인천: 내일을 여는 책, 2000. 194-216.
. 「기독교의 자연관」. 『환경과 종교』. 서울: 민음사, 1997. 45-74.
. 『신학의 생명화 신학이 영성화』.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99.
. 「생태계의 위기 상황과 자연의 신학적 장고 규정에 대한 논의」. 『생태학과 신학』. 서울: 종로서적, 1989. 13-29.
. 『하나님 영은 불고 싶은 대로 분다』. 서울: 한들, 1998.
이준모. 『생태적 인간』. 서울: 다산글방, 2000.
이후천. 「영혼과 몸의 관계에 대한 신학적 이해 치유선교」. 『치유와 선교』. 서울: 다산글방, 2000. 49-72.
장택희. 『살림이 논리』. 대구: 녹색 평론사, 2000.
장형식. 「신자유주의에 대한 생명 신학적 비판과 대안」. 감리교신학대 대학교 대학원, 2000.
장회익. 「생명을 어떻게 볼 것인가」. 『생명이란 무엇인가』. 서울: 지호, 1999. 356-367.
정현경. 「오소서 성령이여 만물을 새롭게 하소서」. 『기독교사상』 제 388호. (1991. 4), 93-108.
. 「민중신학과 생명 안에서의 코이노니아」. 『신학사상』, 83권, (1993). 70-84.
정홍렬. 「하나님의 나라와 생명-조직신학적접근」. 대한예수교장로회총회 교육부, 『하나님 나라와 생명』. 서울: 한국장로교출판사 2001. 195-213.
정홍규. 『생명을 하늘처럼』. 서울: 성 바오로 출판사, 1993.
. 『지구 안의 사람 사람 안의 지구』. 대구: 카톨릭신문사, 1997.
. 『두레와 살림』. 서울: 성 바오로 출판사, 1996.
천 사무엘. 「구약성서에 나타난 생명신학」. 『생명문화와 기독교』. 서울: 한들, 1999. 156-170
최기준. 「성령이 교통하시는 하나님의 나라와 생명」. 대한예수교장로교총회 교육부『하나님 나라와 생명』. 서울장로교출판사, 2001. 9-39.
최연구. 『세계화의 현대사회 읽기』. 서울: 한울, 2000.
최인기. 「하나님 나라와 생명」. 대한예수교장로회 총회교육부. 『하나님 나라와 생명』. 서울장로교출판사, 2001. 135-146.
최흥진. 「신약성서에 나타난 생명신학」. 『생명문화와 기독교』. 서울: 한들, 1999. 171-189.
편집부. 「생물다양성 보전 차원에서의 GMO와 토착종자의 의의」. 『농민과 사회』. 통권29호, 한국 농어촌 연구소: 2001, 8-20.
한미라. 「생명윤리 21세기 기독교 교육의 화두」. 『기독교사상』 제506호. (2001. 2), 163-174.
황홍렬. 「NCC 21세기 신학선언에 대하여」. 『기독교사상』제508호 (2001. 4), 199-211.
한국기독교 장로회 교회와 사회 위원회. 『창조 세계의 위기와 보존』. 서울: 한국기독교장로회총회, 1991.
허남혁. 「유전자 변형 생물체 및 식품의 안정성에 관한 담론 분석」. 서울환경대학원, 1999.
황광명. 「생명운동으로서의 기독교 선교」. 감리교신학대학원, 1993.
국외문헌
Boff, L. 『생태신학』. 김항섭역, 서울: 카톨릭출판사, 1996.
Capra, F. 『생명의 그물』. 김용정, 김동광역, 서울: 범양사, 1988.
, F. 『새로운 과학과 문명의 전반』. 이성범역, 서울: 범양사, 1985.
Childs, B. S. 『구약정경개론』. 김갑종역, 서울: 대한기독교출판사, 1987.
Foster, J. Bellamy. 『환경과 경제의 작은 역사』. 김현구역. 서울: 현실문화 연구. 2001.
Gilkey, Langdon. Nature, Reality, and The sacred: The nexus of science and religion, (Mineapolis: Fotress Press, 1993).
Gonzales, Justo. 『기독교사상사Ⅰ』. 이형기, 차종순역, 서울: 장로교출판사, 1988.
Kasemann, E. The Testment of Jesus: A Study of The Gospel of John in The Light of chapter 17(Philadelphia: Fortress Press, 1969).
Kittle, G. Theological Dictionary of The new Testament VOL. Ⅱ.
Knierim, Rolf P. 『구약신학의 과제Ⅰ』. 강성렬역, 고양: 크리스찬 다이제스트 2001.
Magulis, Lynn. Sagan, Dorion. 『생명이란 무엇인가』. 황현숙역, 서울: 지호 1999.
Mekenzie, J. L. Dictionary of The Bible. (New York: Macmillian, 1965) 대한기독교서회, 1997.
Moltmann, J. 『그리스도가 계신 곳에 생명이 있습니다』. 채수일역,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00.
. Gott in der Schopfung.
. 『생명의 샘』. 이신건역,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00.
Milgrom, J. Studies in Cultic Theology and Terminology Leiden: E. J. Brill, 1983.
Schmithals, W. 『볼트만의 실존적 신학』. 변선환역,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83.
Shiva, Vandana. 『자연과 지식의 약탈자들』. 한재각역, 서울: 당대. 2000.
Steck, Odil. H. 『세계와 환경』. 박영옥역, 천안: 한국신학연구소, 1990.
Tillich, P. Systematic theologyⅢ. (Chicago: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51-1963).
Ulrich. Grimm, Hans. 『더 이상 먹을게 없다』. 오은경역, 서울: 모색, 2001.
Von Rad, G. \"Life in the OT\". in TDNT. Vol. 2.
이정배. 「생명공학 우주론의 신학의 문제점」. 『기독교사상』. 제506호. (2001, 2), 143-160.
. 「생태학적의 신학과제」. 『기독교사상』 제393호. (1991. 9), 26-41.
. 「신과학시대의 기독교 영성」. 『생태학 삶을 추구하는 영성』. 한국교회환경연구소 엮음. 인천: 내일을 여는 책, 2000. 194-216.
. 「기독교의 자연관」. 『환경과 종교』. 서울: 민음사, 1997. 45-74.
. 『신학의 생명화 신학이 영성화』.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99.
. 「생태계의 위기 상황과 자연의 신학적 장고 규정에 대한 논의」. 『생태학과 신학』. 서울: 종로서적, 1989. 13-29.
. 『하나님 영은 불고 싶은 대로 분다』. 서울: 한들, 1998.
이준모. 『생태적 인간』. 서울: 다산글방, 2000.
이후천. 「영혼과 몸의 관계에 대한 신학적 이해 치유선교」. 『치유와 선교』. 서울: 다산글방, 2000. 49-72.
장택희. 『살림이 논리』. 대구: 녹색 평론사, 2000.
장형식. 「신자유주의에 대한 생명 신학적 비판과 대안」. 감리교신학대 대학교 대학원, 2000.
장회익. 「생명을 어떻게 볼 것인가」. 『생명이란 무엇인가』. 서울: 지호, 1999. 356-367.
정현경. 「오소서 성령이여 만물을 새롭게 하소서」. 『기독교사상』 제 388호. (1991. 4), 93-108.
. 「민중신학과 생명 안에서의 코이노니아」. 『신학사상』, 83권, (1993). 70-84.
정홍렬. 「하나님의 나라와 생명-조직신학적접근」. 대한예수교장로회총회 교육부, 『하나님 나라와 생명』. 서울: 한국장로교출판사 2001. 195-213.
정홍규. 『생명을 하늘처럼』. 서울: 성 바오로 출판사, 1993.
. 『지구 안의 사람 사람 안의 지구』. 대구: 카톨릭신문사, 1997.
. 『두레와 살림』. 서울: 성 바오로 출판사, 1996.
천 사무엘. 「구약성서에 나타난 생명신학」. 『생명문화와 기독교』. 서울: 한들, 1999. 156-170
최기준. 「성령이 교통하시는 하나님의 나라와 생명」. 대한예수교장로교총회 교육부『하나님 나라와 생명』. 서울장로교출판사, 2001. 9-39.
최연구. 『세계화의 현대사회 읽기』. 서울: 한울, 2000.
최인기. 「하나님 나라와 생명」. 대한예수교장로회 총회교육부. 『하나님 나라와 생명』. 서울장로교출판사, 2001. 135-146.
최흥진. 「신약성서에 나타난 생명신학」. 『생명문화와 기독교』. 서울: 한들, 1999. 171-189.
편집부. 「생물다양성 보전 차원에서의 GMO와 토착종자의 의의」. 『농민과 사회』. 통권29호, 한국 농어촌 연구소: 2001, 8-20.
한미라. 「생명윤리 21세기 기독교 교육의 화두」. 『기독교사상』 제506호. (2001. 2), 163-174.
황홍렬. 「NCC 21세기 신학선언에 대하여」. 『기독교사상』제508호 (2001. 4), 199-211.
한국기독교 장로회 교회와 사회 위원회. 『창조 세계의 위기와 보존』. 서울: 한국기독교장로회총회, 1991.
허남혁. 「유전자 변형 생물체 및 식품의 안정성에 관한 담론 분석」. 서울환경대학원, 1999.
황광명. 「생명운동으로서의 기독교 선교」. 감리교신학대학원, 1993.
국외문헌
Boff, L. 『생태신학』. 김항섭역, 서울: 카톨릭출판사, 1996.
Capra, F. 『생명의 그물』. 김용정, 김동광역, 서울: 범양사, 1988.
, F. 『새로운 과학과 문명의 전반』. 이성범역, 서울: 범양사, 1985.
Childs, B. S. 『구약정경개론』. 김갑종역, 서울: 대한기독교출판사, 1987.
Foster, J. Bellamy. 『환경과 경제의 작은 역사』. 김현구역. 서울: 현실문화 연구. 2001.
Gilkey, Langdon. Nature, Reality, and The sacred: The nexus of science and religion, (Mineapolis: Fotress Press, 1993).
Gonzales, Justo. 『기독교사상사Ⅰ』. 이형기, 차종순역, 서울: 장로교출판사, 1988.
Kasemann, E. The Testment of Jesus: A Study of The Gospel of John in The Light of chapter 17(Philadelphia: Fortress Press, 1969).
Kittle, G. Theological Dictionary of The new Testament VOL. Ⅱ.
Knierim, Rolf P. 『구약신학의 과제Ⅰ』. 강성렬역, 고양: 크리스찬 다이제스트 2001.
Magulis, Lynn. Sagan, Dorion. 『생명이란 무엇인가』. 황현숙역, 서울: 지호 1999.
Mekenzie, J. L. Dictionary of The Bible. (New York: Macmillian, 1965) 대한기독교서회, 1997.
Moltmann, J. 『그리스도가 계신 곳에 생명이 있습니다』. 채수일역,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00.
. Gott in der Schopfung.
. 『생명의 샘』. 이신건역,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00.
Milgrom, J. Studies in Cultic Theology and Terminology Leiden: E. J. Brill, 1983.
Schmithals, W. 『볼트만의 실존적 신학』. 변선환역,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83.
Shiva, Vandana. 『자연과 지식의 약탈자들』. 한재각역, 서울: 당대. 2000.
Steck, Odil. H. 『세계와 환경』. 박영옥역, 천안: 한국신학연구소, 1990.
Tillich, P. Systematic theologyⅢ. (Chicago: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51-1963).
Ulrich. Grimm, Hans. 『더 이상 먹을게 없다』. 오은경역, 서울: 모색, 2001.
Von Rad, G. \"Life in the OT\". in TDNT. Vol. 2.
키워드
유전자조작식품이란, 생명공학의허구성, 유전자조작과문제, 생명공학의생명신학적비판, 생명공학(유전자조작)의구성원리, 생명의존엄성, 생명공학의비약적발전, 유전자조작의작물들, 생명, 유전자, 하나님, 인간
추천자료
유전자 재조합 식품은 무엇이 문제이며 어떻게 해결해 나가야 하는가?
클론과 클론복제
유전자 변형 농산물(Genetically Modified Organism : GMO)란?
[인간복제][복제인간][생명윤리][생명복제][생명공학][인간배아복제][배아복제]인간복제의 개...
[유전자조작식품] 유전자조작식품(GMO)에 대한 논란 및 정책적 방안
식품 안정성 논쟁 사례
[생명복제][생명복제 법적 규제][생명복제 방법]생명복제의 의의, 생명복제의 가능성, 생명복...
생명윤리(의학윤리, 의료윤리)의 중요성과 배경, 생명윤리(의학윤리, 의료윤리)의 교육과 관...
[인간복제][인간복제기술][생명복제][생명윤리][인간복제기술 발전][인간복제 가능성][인간복...
유전자조작 농산물 및 식품의 안전성 문제와 이에 대한 소비자의 권리와 법정책을 논하시오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