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첫째 정보화 지식사회
- 둘째 프로슈머 사회
- 셋째 네트웍 사회
- 둘째 프로슈머 사회
- 셋째 네트웍 사회
본문내용
아마존의 롱테일 법칙은 블특정 다수로의 네트웍 확대, 그를 통한 가치 생산에 관한 문제라는 것,
오픈 소스, 위키피디아, 애드 센스 역시 개인의 생산 참여로 인한 진화된 가치 창출 방식이라는 것,
기타 등등 이 저서에서 제시하는 많은 사례는
결국 현자들이 일컫는 이 시대의 특징을 진화한 웹이 대변할 것이라는,
아니, 결국 그런 방향으로 웹이 진화할 것이라는 주장에 다름 아닌 것이다.
그렇지만 구글의 시스템, 철학을 사례로 들 때의 저자의 안목은
분명 구글 성공 스토리라는 더 자세한 내용을 담은 책을 읽으면서도
미처 내가 보지 못한 부분을 짚어내는 통찰을 볼 수 있어 무척 반갑고 고마웠다.
가장 반가웠던 것은 저자의 실천 부분이다.
그 자신 일본의 기득권층에서 신분 상승의 길을 걷던 컨설턴트의 길을 접고
앞으로 상상도 할 수 없는 새로운 무언가의 창조, 차세대의 가능성을 추구하는 방법을 찾는 것에서
인생 후반기를 시작하기로 결심하고(p218) 소위 새파란 직원 9명의 벤처에 임원이 된 것이다.
또한 일본인 1만명 실리콘 밸리 이주 계획을 세워 추진중이고
현재 블러그 활동을 활발히 한다고 하니 이 사람의 존재 자체가 반가웠다.
이 세상 어찌보면 다 비슷한가보다.
아니면 내눈은 자꾸만 한 방향으로만 보려하는 것인가...
이시대는 개인 중심의 지식, 프로슈머, 네트웍 사회라고 말하는 현자들의 예견과,
불특정 다수의 정보 교류가 새로운 경제 질서를 창출하는 방향으로 웹이 진화할 것이라는
저자의 주장이 자꾸 동일하게만 느껴지는 것은
실제로 그러한 것인지 아니면 단지 내 인식의 한계인 것인지 몹씨도 궁금하다...
오픈 소스, 위키피디아, 애드 센스 역시 개인의 생산 참여로 인한 진화된 가치 창출 방식이라는 것,
기타 등등 이 저서에서 제시하는 많은 사례는
결국 현자들이 일컫는 이 시대의 특징을 진화한 웹이 대변할 것이라는,
아니, 결국 그런 방향으로 웹이 진화할 것이라는 주장에 다름 아닌 것이다.
그렇지만 구글의 시스템, 철학을 사례로 들 때의 저자의 안목은
분명 구글 성공 스토리라는 더 자세한 내용을 담은 책을 읽으면서도
미처 내가 보지 못한 부분을 짚어내는 통찰을 볼 수 있어 무척 반갑고 고마웠다.
가장 반가웠던 것은 저자의 실천 부분이다.
그 자신 일본의 기득권층에서 신분 상승의 길을 걷던 컨설턴트의 길을 접고
앞으로 상상도 할 수 없는 새로운 무언가의 창조, 차세대의 가능성을 추구하는 방법을 찾는 것에서
인생 후반기를 시작하기로 결심하고(p218) 소위 새파란 직원 9명의 벤처에 임원이 된 것이다.
또한 일본인 1만명 실리콘 밸리 이주 계획을 세워 추진중이고
현재 블러그 활동을 활발히 한다고 하니 이 사람의 존재 자체가 반가웠다.
이 세상 어찌보면 다 비슷한가보다.
아니면 내눈은 자꾸만 한 방향으로만 보려하는 것인가...
이시대는 개인 중심의 지식, 프로슈머, 네트웍 사회라고 말하는 현자들의 예견과,
불특정 다수의 정보 교류가 새로운 경제 질서를 창출하는 방향으로 웹이 진화할 것이라는
저자의 주장이 자꾸 동일하게만 느껴지는 것은
실제로 그러한 것인지 아니면 단지 내 인식의 한계인 것인지 몹씨도 궁금하다...
추천자료
웹진화론을 읽고 독후감 및 감상문
인터넷 포털 사이트인 다음, 네이버, 야후, 구글의 비교분석보고서
웹 진화론에 대한 내용분석 및 독후감(A+서평)
[다윈][생명관][자연선택론][진화론][종의기원]찰스 다윈의 생애, 찰스 다윈의 생명관, 찰스 ...
인터넷 패러다임의 변화
인터넷상의 루머와 사회적 영향 < 미네르바사건을 중심으로 >
웹진화론을 읽고
SNS 트위터 등장 배경, 정보분석, 소셜네트워크, 개념, 변천사, 현황, 성격, 향후 전망, 발전...
[독후감] 웹 진화론2 _ 우메다 모치오(梅田望夫) 저
[독후감] 웹 진화론1 _ 우메다 모치오(梅田望夫) 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