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비고 경영전략 분석 CJ푸드빌 Bibigo 기존 한식세계화와의 차이점 환경분석 시장분석 산업분석 5-forces SWOT STP 7Ps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비비고 경영전략 분석 CJ푸드빌 Bibigo 기존 한식세계화와의 차이점 환경분석 시장분석 산업분석 5-forces SWOT STP 7Ps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회사 소개

2. 환경 분석

3. 산업 분석
(1) 높은 산업 내 경쟁
(2) 높은 잠재적 진입 기업들과의 경쟁 강도
(3) 높은 대체재와의 경쟁강도
(4) 높은 공급자의 교섭력
(5) 높은구매자의 교섭력

4. 시장 분석

5. 경쟁 분석
(1) 비비고의 특징
(2) 기존 한식세계화와의 차이점
(3) 비비고의 목표
(4) S W O T 분석

6. 전략의 전개
- 배경
(1) 소비자심리
(2) 미국 내 성공 한식당 사례 : 반 (Bann)
- 특징
- 성공요인
- 한식당 주요 실패 원인
- 주요 시사점

7. S T P 분석
(1) Segmentation
(2) Targeting
(3) Positioning

8. 전략 방안
(1) 마케팅 믹스 - 7Ps
(2) 신규 브랜드 아이템 소개

< 참 고 자 료 >

본문내용

및 현지화 필요
사전에 규제 및 현지인의 입맛에 대한 고려가 필요
한인 대상의 영업보다 현지인 대상의 영업
식자재 등의 현지화를 통한원가 절감 필요
7. 비비고 S T P 분석
패스트푸드의 전성기가 끝났다고 하지만 Bibigo가 ‘Healthy fast-food’라는 컨셉으로 현지인들을 대상으로 공략하면 충분히 경쟁력이 있다. 특히 젊은 소비자들은 새로운 맛의 경험을 즐기면서 프리미엄 제품에는 더 많은 돈을 지불할 의사를 보이고 있다고 한다. 이런 점들을 비추어 봤을 때, 3가지로 시장을 나누어 세분화 했다.
(1) Segmentation
(2) Targeting
- 배 경
뉴욕에서는 매년 ‘핫도그 빨리 먹기 대회’가 열린다. 그만큼 뉴요커들에게 핫도그는 사랑 받는 패스트푸드다. 특히 시간이 없는 바쁜 비즈니스맨들에게 가장 인기가 많다. 빠른 시간 내에 식사를 길거리에서 해결할 수 있기 때문이다.
- Targeting
맛과 건강을 중시하고, 합리적인 가격을 찾는 사람들 그 중에서도 비즈니스 맨을 메인 타겟으로 한다. 핫도그와 달리 비빔밥은 영양과 맛을 모두 챙길 수 있는 패스트푸드이기 때문에 비즈니스맨 들에게 인기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3) Positioning
현재 비비고는 웰빙이라는 강점을 가지고 있으나 브랜드 인지도는 낮은 상태이다. 또한 신속함이라는 부분 에서는 장점이라고 할 수 있으나 유통채널이 아직 많지 않아서 많은 유통채널을 보유하는 것이 목표가 될 수 있다. 결국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고, 유통채널을 늘릴 수 있는 방안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8. 전략 방안
(1) 마케팅 믹스 - 7Ps
Product: 고객의 요구에 대응할 수 있게 다양한 상품을 추가 개발한다.
Price: 소셜커머스를 이용하여 고객에게 할인된 상품을 제공하고, 브랜드 인지도를 높인다.
Promotion: 해외에 세계한식홍보축제 등 다양한 프로그램 등과 연계 혹은 주최하여 한식에 대한 인지도를 높이고 브랜드에 대한 인지도를 높인다.
Place: 트럭을 통한 판매 전략을 내세움으로써 고객이 조금 더 쉽게 접할 수 있게 만들고 브랜드이미지를 각인시킬 수 있는 방안을 생각해 본다.
Process: 고객의 요구를 반영할 수 있는 접점 혹은 서비스를 만든다.
Physical Evidence: 패스트푸드 세트 상품을 더 심화 시켜 패키지 상품을 만들어 판매한다.
People: 고객에게 동일한 서비스, 신속한 서비스를 제공 할 수 있는 서비스 교육을 실시한다.
(2) 신규 브랜드 아이템 소개
Real Fast, Real Convenient가 컨셉인 트럭형태의 판매 방법을 제시한다. 트럭형태일 경우 Healthy & Fresh 라는 특성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To-go의 특성을 강화한 어디서든 판매 가능한 유통구조를 만들 수 있다. 트럭에서 판매하는 상품은 지저분하게 보이기 쉽기 때문에 차의 외관부터 깨끗하고, 싱그러운 웰빙 이미지를 느낄 수 있어야 한다. 또한 브랜드를 바로 알 수 있는 색을 사용하여서 브랜드 이미지도 높일 수 있어야 한다. 트럭 앞에서도 간단하게 먹을 수 있는 공간을 설치하여 고객들에게 불편함이 없어야 하고, 타겟인 비즈니스맨을 고려하여, 회사가 밀집해 있거나 출 퇴근시 자주 다니는 곳에 자리를 잡고 있어야 한다.
테이크 아웃의 가장 큰 단점중 하나는 비빔밥의 수분이 날아가 맛이 떨어지는 것인데, 현재 비비고는 현재 테이크아웃 시 비빔밥의 주요 식재인 나물의 물기가 빠져 비빔밥의 맛을 저하시킬 수 있다는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수분이 유출되지 않도록 특별한 조리법을 개발했다. 이에 테이크아웃으로도 최상의 비빔밥 맛을 즐길 수 있도록 하였으며, 테이크아웃 용기도 건강과 신선함의 컨셉에 맞춰 대나무로 만든 용기를 특별 제작하는 등 비비고 테이크아웃 비빔밥만의 차별 점과 강점을 살리고 있다. 또한 해외에서 비빔밥이 저칼로리·탄수화물 건강식으로 알려짐에 따라 건강에 관심이 많은 고객 증가와 함께 테이크아웃 비율도 상승하고 있는 추세이다.
우선적으로 비빔밥을 담는 간편한 용기는 비비고의 싱그럽고 건강한 이미지를 살리는 기존의 대나무로 만든 용기를 바탕으로 하며, 비비고만의 특색이 담긴 차별화된 디자인을 기반으로 한다. 이러한 디자인을 보자마자 비비고가 떠오를 수 있게끔 통일화하고, 국가별로 포인트를 약간 다르게 주는 디자인으로 거부감을 가지지 않게끔 해야 한다.
또한 세 가지 유형의 Take Out 방법을 고안해 보았다. 고유의 맛을 느낄 수 있는 일반적 형태의 비빔밥과 신속함과 간편함을 강조한 주먹밥 형태의 비빔밥, 옛날 도시락처럼 흔들어서 섞이게 하는 비빔밥이다.
(1) 고유의 맛을 느낄 수 있는 일반적 형태의 비빔밥은 현지인들에게 한국식 비빔밥의 기본적 형태를 맛보고 싶어 하는 사람들을 위한 것이고 (2) 주먹밥 형태의 비빔밥은 바쁜 직장인들이나 한국식 음식에 익숙하지 않은 고객층을 주 Target으로 잡기 위하여 출시하는 형태인데, 편의점의 전주비빔밥 삼각김밥과 비슷한 맥락이다. 마지막으로 (3) 옛날 도시락과 같이 흔들어서 섞어 먹는 비빔밥은 외국인들에게 재미를 더 해주게 하기 위해 고안해 낸 형태이다.
또 다른 전략으로 SNS를 이용한 마케팅 방식을 생각해 보았다. 회원 수가 나날이 증가하는 트위터나 페이스북, 미투데이와 같은 SNS 서비스를 이용하여 고객들에게 보다 가까이 다가갈 수 있게끔 하며, 페이스북의 트럭 위치 알림 서비스를 사용하고 무료 시식이나 게릴라 콘서트와 같은 이벤트를 게시하여 보다 많은 사람들이 쉽게 접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또한 비빔밥 레시피 공모전을 열거나 플래시몹을 제작하게 하는 방법도 있다. 이는 고객에게 입 소문을 통한 브랜드 인지도 상승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하며, 보다 많은 접촉 효과와 비빔밥에 대한 친숙도와 이해도를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 참 고 자 료 >
노희영 - 한식 세계화 현황과 성공 전략 전략 - 비비고 사례 중심
http://www.ibibigo.co.kr/ - 비비고 홈페이지
트위터 입소문의 힘… 불고기 街頭 (LA지역 테이크 아웃 업체 KOGI) 판매
트럭매출이 年1000만불 조선Biz
  • 가격2,7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12.12.08
  • 저작시기2012.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3820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