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읽기와논술A형) 1.우리사회의 가장 심각한 부조리 한가지를 택해 그 내용과 해결방안 논술 2.종교와 관련하여 내가 살아오면서 경험한 것을 토대로 자신의 종교관논술-우리사회부조리, 나의종교관-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세상읽기와논술A형) 1.우리사회의 가장 심각한 부조리 한가지를 택해 그 내용과 해결방안 논술 2.종교와 관련하여 내가 살아오면서 경험한 것을 토대로 자신의 종교관논술-우리사회부조리, 나의종교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우리 사회의 가장 심각한 부조리 한 가지를 택해 그 내용과 해결 방안에 대해 자신의 관점에서 주체적으로 논술하시오.

 1. 서론

 2. 본론

  1) 우리사회 빈부격차의 현황
  2) 빈부격차로 인한 문제점
  3) 우리사회 빈부격차의 원인
  4) 빈부격차 문제에 대한 해결방안
   ① 교육기회의 균등제공
   ② 사회 양극화 해소를 통한 균형발전
   ③ 공정한 소득재분배를 위한 진보적인 조세개혁
   ④ 내수 성장을 통한 저소득층의 고용창출
   ⑤ 사회안전망으로써 저소득층에 대한 복지강화
   ⑥ 양질의 일자리 창출을 통한 중산층 복원

 3. 결론

Ⅱ. 종교와 관련하여 내가 살아오면서 경험한 것을 토대로 자신의 종교관을 논술하시오.

 1. 서론

 2. 본론

 3. 결론

Ⅲ. 참고문헌

본문내용

두우면 처녀 귀신이 나타난다고 말했다. 아이들은 정말이냐고 묻자 청년은 정말이라고 말했다. 그런데 그 일이 있기 전에는 그 우물 앞을 지나 다녀도 아무 느낌이 없었는데 그 일이 있은 후부터 아이들은 그 우물 앞만 지나가지만 해도 대낮인데도 가슴이 두근거리고 머리가 쭈삣해 졌다고 한다. 그러다 한번은 한 아이가 일이 있어 좀 어두운 밤에 혼자 그 우물 앞을 지나가게 되었는데 낮에 어떤 분이 흰 수건을 씻어 우물 옆의 나무 가지에 늘어놓고 걷어가지 않았다. 그런데 아이가 혼자 무서움을 느끼며 우물 쪽으로 접근하는데 우물 부근에서 흰 옷을 입은 귀신이 나타나 자기에게 손을 흔드는 것을 보고 깜짝 놀라 그만 기절을 하고 말았다. 조금 있다가 이곳을 지나던 어른이 발견하고 찬물을 끼얹어 아이를 깨워 무슨 일이냐?고 물으니 아이가 어느 형이 말한 대로 우물에서 귀신이 나와 자기를 잡아 가려고 했다며 몸을 와들와들 떨었다. 그래서 동네 어른들이 그 청년을 불러 무슨 이야기이냐고 물으니 그 청년은 무슨 말인지 몰라 어리둥절하다가 그 아이가 형이 우물에 처녀가 빠져 죽었다고 하지 않았느냐고 하자 그 청년은 아 그것, 사실은 내가 해 줄 이야기가 없어 그냥 거짓말로 지어낸 이야기라고 했다는 것이다. 그런데도 아이들의 마음에는 어느 새 우물에 귀신이 있는 것으로 믿게 되었고, 그 귀신이 실제로 아이에게 나타나는 상황에까지 이르렀다. 아이들은 그 이야기가 거짓말로 지어진 것이라는 사실을 알고 나서도 그 우물 쪽으로만 가도 항상 귀신이 나타날까봐 가슴이 두근거리고 머리가 곤두서는 현상을 보였다는 이야기다. 여기서 귀신은 실제로 없는데도 사람들이 있는 것으로 믿고 착각을 하니 없는 귀신이 있는 것으로 둔갑을 해서 열 가지 무서움과 공포를 가져오는 위력을 보였다는 것이다.
세 번째는 어느 절에 어느 추운 날 밤중에 한 땡땡이중이 찾아와 하루 밤 자고 가기를 청했다. 그러자 스승님들은 일어나기가 싫어 뒤 골방이 있으니 가서 자고 가라고 했다. 땡땡이중이 뒤 골방에 가니 방에 불기운이 하나도 없어 추워서 잘 수가 없었다. 그래서 땡땡이중은 아궁이에 땔감을 찾다가 적당한 것이 없자 대웅전에 있는 나무부처님을 가지고 가서 도끼로 갈라서 불을 때어 훈훈한 방에서 밤을 잤다. 새벽에 새벽 예불을 위해 일어난 스승님들이 대웅전에 예불을 드리려 가니 부처님이 보이지 않자, 가만히 생각하니 어제 밤중에 온 땡땡이중이 수상하여 뒤 골방으로 달려가니 예상대로 때다가 남은 부처님 부스러기가 여기 저기 있었다. 그래서 그 땡땡이중을 잡아내어 꽁꽁 묶어놓고 이놈 중이 어찌 부처님을 깨어서 불을 때는 놈이 어디 있느냐하고 마구 때리자 그 땡땡이중은 부처님의 자비로 부탁을 드리니 아무리 잘못 했기로서니 오줌이라도 좀 누게 해 달라고 했다. 그래서 스승님들이 묶은 것을 풀어주자 그 땡땡이중이 대웅전을 향해 오줌을 내려 갈겼다. 스승님이 몽둥이를 휘두르면서 화를 내자 그 땡땡이중이 ‘부처님은 아니 계시는 곳이 없어 화장실에 가서 오줌을 누어도 부처 앞에서 오줌 누는 것이고, 대웅전을 향해 오줌을 누어도 부처 앞에서 오줌 누는 것이다. 이 세상 만상만물이 다 부처 아닌 것이 없는데, 그대들 눈에는 어찌 대웅전에 깎아 놓은 불상만 부처로 보이느냐? 내가 장작 나무를 때어도 부처를 때는 것이요, 대웅전의 불상을 때어도 부처를 때는 것인데, 너희들은 어찌 대웅전의 불상만 부처로 보이느냐?’ 고 했다는 이야기가 있다는 것이다. 산도 나무도 강도 사람도 짐승도 모두가 부처이고 이 세상 그대로가 부처라는 이야기인 것 같다.
3. 결론
종교라는 것에 있어서 신의 존재여부는 중요한 것이 아니라고 생각한다. 정말 중요한 것은 종교라는 믿음을 통해서 그 사람이 마음의 안식과 평화를 찾고,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가하는 것이 중요한 것이다. 종교라는 것은 신의 존재여부를 의심하게 된다면 그때부터는 종교로서의 가치를 상실하게 되는 것이다.
세상에는 많은 수많은 종교가 존재한다. 그리고 종교가 존재한 이후로 지금까지 세계는 종교로 인한 수많은 갈등을 겪어왔으며 그로인해 여러 참극을 빚기도 했다. 타종교에 대한 배척으로 빚어진 이러한 참극은 스스로 종교의 가치를 부정하고 그 의미를 퇴색시키는 것이다.
지금까지 내가 알고 있는 종교에 대한 여러 이야기를 통해서 나는 신과 신의 존재에 대한 신앙은 증명의 문제가 아니라 믿음과 신념의 문제라는 것을 다시 한 번 깨닫게 되었다. 또 하느님은 전지전능하고 아니 계시는 곳이 없다면 산에도 강에도 바다에도 하늘에도 하느님은 계셔야 하고, 나무에도 바위에도 신은 계셔야 하고 이 세상 온갖 짐승에게도 하느님은 계셔야 하고, 이 세상 사람들에게도 하느님은 계셔야 하느님은 아니 계시는 곳이 없는 것이고, 지구에도 달에도 태양에도 별에도 다 있어야 하느님이 아니 계시는 곳이 없는 것이 되니, 결국 하느님은 이 세상 자체가, 이 우주 자체가 하느님이 되어야 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Ⅲ. 참고문헌
1. 박성준, 한국 \'거꾸로 조세개혁\'…서민보다 부자들 배려, 세계일보, 2008.03.15일.
2. 김성태, 한국사회 양극화 해소를 위한 노동복지 정책방향에 관한 연구, 한양대 행정대학원, 2007.
3. 민승규 외, 소득양극화의 현상과 원인, 삼성경제연구소, 2006.
4. 통계청, 소득5분위별 가구당 월평균 가계수지(수록기간 : 1982 ~ 2008)
5. 이수아, 한국위기, “더이상 내려갈 곳이 없다”, 데이터뉴스, 2009.02.09일.
6. 권순우 외, 한국의 금융현실과 금융효율화를 위한 과제, 삼성경제연구소, 2004.
7. 재정경제부, 경제양극화 현황과 정책과제, 2005.
8. 민승규, 소득양극화의 현상과 원인, 삼성경제연구소, 2006 P.21
9. 박기백 외, 사회분야지출의 소득재분배 효과, 한국조세연구원, 2007 P.135
10. 박창식·김영배, 경제가 어렵다고, 양극화가 문제다 , 한겨례신문, 2004.12.01일.
11. 김대식, 함석헌과 종교문화 (의식 없는 세계에 대한 저항), 모시는사람들, 2013.
12. 이계양, 성공에 유익한 종교관 (The Rich), 아처리라이프, 2012.
  • 가격3,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13.04.09
  • 저작시기2013.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3835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