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방통대 문화교양학과 4학년 공연예술의 이해와 감상 공통] 고전발레와 현대발레(모던발레)의 차이와 그 차이가 가지는 역사적인 의미에 대해서 논하시오.
<목 차>
Ⅰ. 서론
Ⅱ. 본론
1. 발레의 개념
1) 발레의 어원
2) 발레의 정의
3) 발레의 요소
(1) 무용수와 교육
(2) 안무가
(3) 발레 음악
(4) 무대미술
(5) 의상
2. 발레의 역사
1) 나라별 발레의 역사
(1) 이탈리아에서 시작
(2) 프랑스에서 발전
(3) 러시아에서의 전성기
(4) 현재의 근황
2) 사조별 발레의 역사
(1) 낭만주의 발레
(2) 고전주의 발레
(3) 신고전주의 발레
(4) 현대 발레
3. 고전발레와 현대발레 차이의 역사적 의미
1) 고전발레와 현대발레의 차이
(1) 형식의 구조
(2) 발레의 소재
(3) 무대미술
2) 고전발레와 현대발레 차이의 역사적 의미
Ⅲ. 결론
<참고문헌>
<목 차>
Ⅰ. 서론
Ⅱ. 본론
1. 발레의 개념
1) 발레의 어원
2) 발레의 정의
3) 발레의 요소
(1) 무용수와 교육
(2) 안무가
(3) 발레 음악
(4) 무대미술
(5) 의상
2. 발레의 역사
1) 나라별 발레의 역사
(1) 이탈리아에서 시작
(2) 프랑스에서 발전
(3) 러시아에서의 전성기
(4) 현재의 근황
2) 사조별 발레의 역사
(1) 낭만주의 발레
(2) 고전주의 발레
(3) 신고전주의 발레
(4) 현대 발레
3. 고전발레와 현대발레 차이의 역사적 의미
1) 고전발레와 현대발레의 차이
(1) 형식의 구조
(2) 발레의 소재
(3) 무대미술
2) 고전발레와 현대발레 차이의 역사적 의미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간다. 그에 비해 모던발레는 이런 형식을 과감히 버린다. 모던발레는 마임이 아닌 춤에 의해 작품의 이야기가 연결된다. 따라서 모던발레의 춤은 고전발레처럼 단지 보여주기 위한 테크닉이 아니라, 춤 자체가 표현적 요소 가 되고 마임도 리드미컬한 무용적 마임이 되는 것이다. 그래서 모던발레는 고전발레 작품 속에 있는 캐릭터춤(디벨티스망)이나 그랑 파드되 등의 형식을 이용하지 않는다.
(2) 발레의 소재
고전발레의 줄거리는 신화나 전설 등 환상적인 것들을 그 소재로 하여 권선징악적인 테마를 작품의 근간으로 삼는다. 그러나 모던발레에서는 현대의 사회적 문제점이나 내면 깊숙이 감추어져 있는 현대인의 복잡한 심리 등을 다루고 있다.
(3) 무대미술
무대 미술적인 면에서 보면 고전발레는 화려하고 사실적인 무대장치와 의상 및 소품들을 사용하지만 모던발레에서는 대신 상징적인 무대장치와 단순하면서도 다양한 의상 등 무대 위의 모든 요소들을 간단하게 처리하려는 경향을 띠고 있다. 그러나 우리가 모던발레라 부르는 작품들은 줄거리에 현대적 소재를 이용하고 있거나, 의상이나 무대장치가 전위적인 것, 새로운 현대음악을 사용한 점, 혹은 토슈즈를 신지 않고 맨발로 춤을 추거나 재즈댄스를 삽입시킨 것들이 대부분이다.
2) 고전발레와 현대발레 차이의 역사적 의미
모던발레는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미국을 중심으로 급속하게 성행했다. 뉴욕시티발레단의 조지 밸런친은 기존의 고전발레 테크닉을 그대로 사용하면서도 줄거리가 없고 단순한 의상과 무대장치를 통해 인간의 육체가 가지고 있는 아름다움을 최대한으로 표현하는 새로운 형태의 모던발레인 네오 클래시시즘(신고전주의)이라는 장르를 개척했다. 이후 이러한 경향은 유럽에도 영향을 주어 요오스발레단 이후 프랑스의 베자르발레단, 로랑프티발레단 등 많은 단체가 생겨났다. 얼마 전에 국립발레단이 공연한 ‘로미오와 줄리엣’은 존 크랭커와 맥밀런 안무가 유명한데,1958년과 1965년에 초연될 당시에는 고전발레 형식을 지니고 있었지만 이번 공연은 1996년에 초연된 세련되고 현대화된 몸놀림을 보여주었다.
누군가 이 발레를 모던발레라고 부르니까 안무자인 장 크리스토프 마이요는 “이 작품은 모던발레가 아니라 그냥 발레다”라고 대답했다. 모든 것이 그러하겠지만 모던발레라기보다는 지금 우리가 살고 있는 이 시대의 발레라는 뜻일 것이다. 물론 시간이 지난 후에 이것들은 우리 후손의 후손들에게 다시 고전으로 받아들여질 것이다.
Ⅲ. 결론
고전 발레와 모던 발레에 대해서 상식적인 해석을 떠나 좀 더 세부적으로 분석해 보면, 구성상에 큰 차이가 있음을 발견하게 된다. 고전 발레는 주제 (theme)에 대한 줄거리가 판토마임에 의하여 극적으로 진행되고, 그 사이 사이에 춤의 장면이 삽입되지만 모던 발레의 경우는 그와 같은 형식을 벗어나 판토마임과 춤이 함께 되어있다. 즉 춤에 의해서도 줄거리의 해석이 진행되는 것이다. 그러나 그 춤은 고전 발레 속의 춤처럼 단순히 보이기 위하여 장면을 연출하는 것이 아니고, 춤 자체가 표현적이고, 판토마임도 더욱 리듬화 되어 소위 무용적 판토마임으로 된다. 그러므로 모던 발레에는 캐릭터 댄스(charcter dance)의 장면이나, 두사람이 추는 빠 드 두(pas de duex)의 장면 같은 형식은 취하지 않는다. 그와 같은 구성상의 차이를 두고 생각해 볼 때 모던 발레의 시초는 러시아 무용가 니진스키(Vaslav Nijinsky)에서 비롯된다. 즉 니진스키는 러시아 발레단에 소속해 있으면서 예술적으로는 거기에 만족하지 않고 <목신의 오후>같은 비교적 새로운 모습의 발레를 만들었다.
그러나 공식적으로 모던 발레임을 선언하고 출발했던 것은 독일의 쿨트요오스(Kurt Jooss)이다. 그는 요오스 발레단을 이끌고 <大都會>,<녹색 테이블>과 같은 현대사외의 정치나, 사회문제를 주로 무용의 소재로 취급했으며, 체켓티파의 테크닉과 모던 댄스의 테크닉을 혼합하여 안무를 했다. 오늘날 모던 발레는 다시 여기에 째즈댄스의 테크닉을 혼합하고 있다. 이러한 작품들은 때로는 새로운 음악이나 전위적인 미술의 힘을 빌려 <모던>modern임을 과시하고 있다. 그러나 거기에도 예술 형식상으로 볼때는 모순이 많이 내포되고 있다. 모던 발레는 글러한 의미에서 아직도 혼란 상태에 있다고 하겠으나 극적인 진전을 중요시 한다는 점에서는 역시 발레의 범주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모던 발레는 제2차 세계대전 이후 급격히 성행하기 시작 했으며, 그 중심은 어디까지나 미국이다. 뉴욕 시티 발레단(New York City Ballet)도 <감방>(제롬,로빈슨作)등의 모던 발레를 상연하여 갈채를 받았다. 그러나 미국에서는 모던 발레만을 연출하는 전문적인 발레단은 없고 다만 고전 발레의 프로그램 속에 몇 작품씩 삽입하는 것이 상례처럼 되어 있다. 이것을 역으로 생각해 본다면, 모던 발레는 아직도 발레로서의 의의가 중요시 되고 있다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참고문헌>
이은경(2010) 발레 이야기: 천상의 언어, 그 탄생에서 오늘까지, 열화당
이말복(2009) 무용예술의 이해,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오희숙(2006) 20세기 음악 1(역사. 미학), 심설당
이광래(2008) 철학적 언설로서의 포스트모더니즘, 포스트모더니즘과 문화, 문예출판사
권윤방 외(2005) 무용학개론, 대한미디어
김옥진(2002) 무용의 이해, 한양대학교출판부
백의선(1994) 발레발달사, 원광사
수잔 오(2000) 서양 춤 예술의 역사, 이론과 실천
윤승미 (1995) 발레 그 사적인물과 작품해설, 대광서림
배금연(2006) 현대 발레의 수용 미학적 연구 :지젤, 백조의 호수, 봄의 제전 중심으로.한양대학교 대학원 : 무용학과 박사학위 논문.
이미영(1998) 14-16세기 이태리·프랑스와 조선전기 궁정무용 양식 비교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이화선(2005) Serge Diaghilev의 Ballet-Russes가 국내 발레에 미친 영향, 한국체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이자면(2005) 19세기 발레작품에 나타난 낭만주의적 특성고찰,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국립발레단 www.kballet.org
(2) 발레의 소재
고전발레의 줄거리는 신화나 전설 등 환상적인 것들을 그 소재로 하여 권선징악적인 테마를 작품의 근간으로 삼는다. 그러나 모던발레에서는 현대의 사회적 문제점이나 내면 깊숙이 감추어져 있는 현대인의 복잡한 심리 등을 다루고 있다.
(3) 무대미술
무대 미술적인 면에서 보면 고전발레는 화려하고 사실적인 무대장치와 의상 및 소품들을 사용하지만 모던발레에서는 대신 상징적인 무대장치와 단순하면서도 다양한 의상 등 무대 위의 모든 요소들을 간단하게 처리하려는 경향을 띠고 있다. 그러나 우리가 모던발레라 부르는 작품들은 줄거리에 현대적 소재를 이용하고 있거나, 의상이나 무대장치가 전위적인 것, 새로운 현대음악을 사용한 점, 혹은 토슈즈를 신지 않고 맨발로 춤을 추거나 재즈댄스를 삽입시킨 것들이 대부분이다.
2) 고전발레와 현대발레 차이의 역사적 의미
모던발레는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미국을 중심으로 급속하게 성행했다. 뉴욕시티발레단의 조지 밸런친은 기존의 고전발레 테크닉을 그대로 사용하면서도 줄거리가 없고 단순한 의상과 무대장치를 통해 인간의 육체가 가지고 있는 아름다움을 최대한으로 표현하는 새로운 형태의 모던발레인 네오 클래시시즘(신고전주의)이라는 장르를 개척했다. 이후 이러한 경향은 유럽에도 영향을 주어 요오스발레단 이후 프랑스의 베자르발레단, 로랑프티발레단 등 많은 단체가 생겨났다. 얼마 전에 국립발레단이 공연한 ‘로미오와 줄리엣’은 존 크랭커와 맥밀런 안무가 유명한데,1958년과 1965년에 초연될 당시에는 고전발레 형식을 지니고 있었지만 이번 공연은 1996년에 초연된 세련되고 현대화된 몸놀림을 보여주었다.
누군가 이 발레를 모던발레라고 부르니까 안무자인 장 크리스토프 마이요는 “이 작품은 모던발레가 아니라 그냥 발레다”라고 대답했다. 모든 것이 그러하겠지만 모던발레라기보다는 지금 우리가 살고 있는 이 시대의 발레라는 뜻일 것이다. 물론 시간이 지난 후에 이것들은 우리 후손의 후손들에게 다시 고전으로 받아들여질 것이다.
Ⅲ. 결론
고전 발레와 모던 발레에 대해서 상식적인 해석을 떠나 좀 더 세부적으로 분석해 보면, 구성상에 큰 차이가 있음을 발견하게 된다. 고전 발레는 주제 (theme)에 대한 줄거리가 판토마임에 의하여 극적으로 진행되고, 그 사이 사이에 춤의 장면이 삽입되지만 모던 발레의 경우는 그와 같은 형식을 벗어나 판토마임과 춤이 함께 되어있다. 즉 춤에 의해서도 줄거리의 해석이 진행되는 것이다. 그러나 그 춤은 고전 발레 속의 춤처럼 단순히 보이기 위하여 장면을 연출하는 것이 아니고, 춤 자체가 표현적이고, 판토마임도 더욱 리듬화 되어 소위 무용적 판토마임으로 된다. 그러므로 모던 발레에는 캐릭터 댄스(charcter dance)의 장면이나, 두사람이 추는 빠 드 두(pas de duex)의 장면 같은 형식은 취하지 않는다. 그와 같은 구성상의 차이를 두고 생각해 볼 때 모던 발레의 시초는 러시아 무용가 니진스키(Vaslav Nijinsky)에서 비롯된다. 즉 니진스키는 러시아 발레단에 소속해 있으면서 예술적으로는 거기에 만족하지 않고 <목신의 오후>같은 비교적 새로운 모습의 발레를 만들었다.
그러나 공식적으로 모던 발레임을 선언하고 출발했던 것은 독일의 쿨트요오스(Kurt Jooss)이다. 그는 요오스 발레단을 이끌고 <大都會>,<녹색 테이블>과 같은 현대사외의 정치나, 사회문제를 주로 무용의 소재로 취급했으며, 체켓티파의 테크닉과 모던 댄스의 테크닉을 혼합하여 안무를 했다. 오늘날 모던 발레는 다시 여기에 째즈댄스의 테크닉을 혼합하고 있다. 이러한 작품들은 때로는 새로운 음악이나 전위적인 미술의 힘을 빌려 <모던>modern임을 과시하고 있다. 그러나 거기에도 예술 형식상으로 볼때는 모순이 많이 내포되고 있다. 모던 발레는 글러한 의미에서 아직도 혼란 상태에 있다고 하겠으나 극적인 진전을 중요시 한다는 점에서는 역시 발레의 범주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모던 발레는 제2차 세계대전 이후 급격히 성행하기 시작 했으며, 그 중심은 어디까지나 미국이다. 뉴욕 시티 발레단(New York City Ballet)도 <감방>(제롬,로빈슨作)등의 모던 발레를 상연하여 갈채를 받았다. 그러나 미국에서는 모던 발레만을 연출하는 전문적인 발레단은 없고 다만 고전 발레의 프로그램 속에 몇 작품씩 삽입하는 것이 상례처럼 되어 있다. 이것을 역으로 생각해 본다면, 모던 발레는 아직도 발레로서의 의의가 중요시 되고 있다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참고문헌>
이은경(2010) 발레 이야기: 천상의 언어, 그 탄생에서 오늘까지, 열화당
이말복(2009) 무용예술의 이해,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오희숙(2006) 20세기 음악 1(역사. 미학), 심설당
이광래(2008) 철학적 언설로서의 포스트모더니즘, 포스트모더니즘과 문화, 문예출판사
권윤방 외(2005) 무용학개론, 대한미디어
김옥진(2002) 무용의 이해, 한양대학교출판부
백의선(1994) 발레발달사, 원광사
수잔 오(2000) 서양 춤 예술의 역사, 이론과 실천
윤승미 (1995) 발레 그 사적인물과 작품해설, 대광서림
배금연(2006) 현대 발레의 수용 미학적 연구 :지젤, 백조의 호수, 봄의 제전 중심으로.한양대학교 대학원 : 무용학과 박사학위 논문.
이미영(1998) 14-16세기 이태리·프랑스와 조선전기 궁정무용 양식 비교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이화선(2005) Serge Diaghilev의 Ballet-Russes가 국내 발레에 미친 영향, 한국체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이자면(2005) 19세기 발레작품에 나타난 낭만주의적 특성고찰,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국립발레단 www.kballet.org
키워드
추천자료
뮤지컬 백조의 호수
공연 예술론과 발레 작품 설명
'문학과 함께하는 발레”를 감상하고
이진용 개인전을 다녀와서
무용과 무용교육의 정의
[발레][낭만발레][고전발레][현대발레]발레의 의미, 발레의 가치와 낭만발레의 대표작품, 고...
[발레 의상과 얼굴분장][발레의 현대화][재즈댄스][청각장애아교육][발레의 교육적 가치]발레...
<공연 예술학> 입문
[발레 감상문] 영원한 언약의 상징, 지젤 (장소: 에술의 전당 / 단체: 국립발레단 / 캐스팅: ...
[공연예술의 이해와 감상 공통] 오페라는 서양의 대표적인 공연예술입니다. 오페라의 역사를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