놀이지도4A) 유아교육기관에서 실내 자유선택활동(놀이)을 교육적으로 운영하려고 한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에 대해 구체적으로 논술하시오.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놀이지도4A) 유아교육기관에서 실내 자유선택활동(놀이)을 교육적으로 운영하려고 한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에 대해 구체적으로 논술하시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서론
2.자유선택활동(놀이)의 개념
3.자유선택활동(놀이)의 의미와 중요성
4.자유선택활동(놀이) 관찰
5.자유선택활동(놀이)을 위한 환경 구성
6.자유선택활동(놀이)의 실제
7.자유선택활동(놀이)을 위한 교사의 역할
8.참고 자료

본문내용

다.
③ 놀이영역의 기능적 분류는 유아들에게 자신의 경험을 분류, 조작하는데 도움을 준다.
④ 물리적시각적으로 경계를 줌으로써 다른 활동에 방해가 되지 않는다.
5-2. 흥미영역의 종류와 기능
흥미영역의 구성은 유아의 연령, 발달 수준, 공간의 크기, 유아수, 유아교육과정의 특성을 고려하여 변화, 추가, 수정하여 구성할 수 있다. 흥미영역을 구성하고자 할 때 교사는 먼저 교실의 면적, 출입문, 수도의 위치, 햇빛의 방향 등을 고려하며, 교실 내에 몇 개의 흥미영역을 구성할 것인가에 대하여 결정하여야 한다. 유치원에 필수적으로 구성해야할 영역으로는 쌓기놀이 영역, 역할놀이 영역, 언어 영역 등을 들 수 있으며, 필요한 기본영역으로는 조작놀이 영역, 수놀이 영역, 과학 영역, 컴퓨터 영역, 조형 영역 등이 있다. 교실이 좁을 때는 음률 영역, 물놀이 영역, 모래놀이 영역, 목공놀이 영역, 요리 영역 등은 상황에 따라 구성할 수도 있다. 흥미영역의 종류는 유치원 실정에 따라 융통성 있게 구성하여야 한다. 다음은 영역에 필요한 자료에 대하여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1) 쌓기놀이 영역
쌓기놀이 영역은 분류, 비교, 배열, 상상놀이와 역할놀이 등을 할 수 있는 곳으로 놀이감을 풍부히 갖추어야 한다. 이 영역은 유아들이 보고, 듣고, 느낀 것을 재구성해 봄으로써 다양한 구성활동을 할 수 있도록 충분한 공간이 있어야 한다. 또한 통행이 복잡하지 않은 곳에 위치하고, 바닥에는 카페트를 깔아 소음을 방지해 주어야 한다. 기본 시설로는 적목을 넣어둘 자료장과 카페트, 기본 학습자료로는 큰 블럭(공간 블럭, 우레탄 블럭), 유니트 블럭과 유니트 블럭장, 레고, 렉스 블럭, 교통 신호 표지판, 소품(사람, 동물, 소형차) 등을 준비해 주고 반드시 이름을 붙여주어야 한다.
(2) 조작놀이 영역
조작놀이 영역은 어떤 특정한 놀이뿐 아니라 주변에서 일어나는 모든 일들이 학습과정이 될 수 있다. 특히 인지, 언어, 수개념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놀이를 조작놀이라 한다. 조작놀이를 하려면 인지적 발달과 손가락 운동을 조정하는 소근육 발달이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조작놀이는 단순한 놀이에서 복잡한 놀이로 확장시켜주는 것이 좋다. 또한 조작, 경험, 조사해봄으로써 인지 발달, 감각기능과 소근육 발달을 촉진시킬 수 있는 영역으로 조용한 곳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본 학습자료로는 퍼즐, 일상생활 훈련틀, 조립완구, 눈과 손의 협응을 도울 수 있는 교구, 교사가 만든 교구 등이 주제에 따라 제공되며 수놀이 영역과 인접하게 설치하는 것이 좋다.
(3) 역할놀이 영역
역할놀이 영역에서는 어른의 행동과 역할을 모방해보는 가작화 행동을 많이 볼 수 있는 장소이다. 그리고 자신의 감정과 욕구를 표현해보고 다른 사람의 생각과 느낌을 이해하게 되며 사회성과 언어발달이 활발히 이루어지는 곳이다. 이 영역은 여러 가지 사회적 역할을 가작화해 보는 상상놀이가 많이 이루어지므로 교사는 상황을 판단하여 그때마다 적절한 자료를 제공해 주어야 한다. 역할놀이 영역의 놀이 확장을 위해서 쌓기놀이 영역과 인접하게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본 설비로는 옷장, 찬장, 싱크대, 화장대, 냉장고, 식탁과 의자, 전신거울, 서랍장, 등이 있으며, 기본 학습자료로는 계절에 따른 의류, 구두류, 식기류, 역할이 뚜렷한 모자류, 전화기, 음식류, 필기도구, 메모지, 다양한 종류의 인형들이 있으며 교사는 기본 학습자료 외에 역할놀이에 필요한 자료(병원놀이, 가게놀이, 음식점놀이, 소방서 놀이, 미장원놀이 등)를 주제에 따라 제공해 주어야 한다.
(4) 언어 영역
언어 영역은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에 관심을 가지고 활동함으로써 언어 능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영역이다. 언어 영역은 조용하고 햇빛이 잘 들며 소음이 없는 곳에 위치하여야 한다. 바닥에는 카펫을 깔고 부드러운 의자, 쿠션, 낮은 책상을 마련해 주어 아늑하고 조용한 분위기를 만들어 주어 안정된 분위기를 갖게 해준다. 언어 영역에는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에 관련된 다양한 자료를 함께 구성해주어 의사소통 능력을 길러줄 수 있는 공간이 있어야 한다.
또한 책을 보는 올바른 태도와 이해력 및 사고력 등을 길러줄 수 있는 영역으로 매우 중요한 영역이라 할 수 있다. 기본 학습자료로는 보관해 둘 수 있는 교구장이 필요하며, 구체적인 자료는 다음과 같다.
① 듣기자료
초기에는 주변에서 들을 수 있는 사물의 소리나 자연, 동물의 소리 등을 변별 할 수 있는 활동을 준비해 준다. 그후 변별능력이 생기면 교사가 이야기를 직접 들려주고 듣기에 익숙해졌을 때 콘센트가 가까운 곳에 듣기 활동을 할 수 있는 녹음기와 녹음테이프, 녹음된 동화책, 함께 들을 수 있는 헤드폰과 짹, CD 플레이어와 CD, 슬라이드, 소리상자 등 듣기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해주어야 한다.
② 말하기 자료
말하기는 자신의 생각이나 느낌을 음성이나 언어로 표현하는 것으로 말을 잘하기 위해서는 소리를 효과적으로 조절하고 명확하게 발음할 수 있어야 한다. 기본자료로는 이야기 꾸미기, 상상하여 말하기, 그림으로 읽는 동화, 전화 놀이를 위한 자료, 그림으로 읽는 동화, 융판 자료, 손인형, 모자인형, 자석인형, 막대인형, 인형극 틀을 마련하여 말하기 코너를 만들어 주어야 한다.
③ 읽기 자료
유아는 일상생활을 통하여 다양한 문자를 접하고 그 속에서 자연스럽게 읽고 쓸 수 있는 능력을 학습해 나간다. 따라서 여러 종류의 그림동화책, 동시책, 다양한 책, 쉬운 책 등 진행주제에 따라 적절히 바꾸어 줄 수 있는 책꽂이장, 쿠션, 낮은 책상, 쇼파 등을 마련해 주어 편안히 책을 읽을 수 있도록 해주어야 한다.
④ 쓰기 자료
유아기의 ‘쓰기’는 정서적 긴장감 없이 자발적으로 쓰게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다양한 종류의 쓰기 도구를 준비해주어 자신의 생각을 표현해 보는 과정에 흥미를 갖게 한다. 쓰기 자료로는 친구이름, 궁금한 낱말 쓰기, 도형 그리기, 언어책 만들기, 동시 짓기 등을 할 수 있는 다양한 쓰기 도구(색연필, 싸인펜, 연필, 지우개, 볼펜, 참펜, 크레파스), 다양한 종류의 종이(여러 가지 색, 모양종이, 포스트
  • 가격2,500
  • 페이지수20페이지
  • 등록일2013.10.07
  • 저작시기2013.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3878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