잔당오대사연의 15회 16회 한문 및 한글번역 -15.존효생금맹절해(存孝生擒孟絕海) : 이존효가 맹절해를 생포하다 & 16.주덕위력구존효(周德威力救存孝) : 주덕위가 힘써 이존효를 구제하다.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잔당오대사연의 15회 16회 한문 및 한글번역 -15.존효생금맹절해(存孝生擒孟絕海) : 이존효가 맹절해를 생포하다 & 16.주덕위력구존효(周德威力救存孝) : 주덕위가 힘써 이존효를 구제하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第十五回 存孝生擒孟絕海
제십오회 존효생금맹절해
잔당오대사연의 15회 이존효가 맹절해를 생포하다.



第十六回 周德威力救存孝
제십육회 주덕위력구존효
잔당오대사연의 16회 주덕위가 힘써 이존효를 구제하다.

본문내용

때 죽여도 늦지 않습니다.”  
晉王默思良久, 答曰:“軍師之言有理!”
진왕묵사양구 답왈 군사지언유리
진왕이 침묵해서 한참 생각하며 대답했다. “군사의 말에 일리가 있소!”
就叫拿回存孝。
취규나회존효
곧 이존효를 잡아 오라고 했다.
晉王問曰:“汝如何一旦負義, 私自造反?”
진왕문왈 여여하일단부의 사자조반
私自 [szi] :(관련 부문·조직·구성원 등이 모르게) 비밀리에. 사적으로. 몰래. 개인적으로
진왕이 물었다. “너는 어찌 하루아침에 의리를 배반하고 사적으로 스스로 반란을 하였는가?”
存孝告曰:“兒受父王厚恩, 欲報未能, 肯造反?”
존효고왈 아수부왕후은 욕보미능 즘긍조반
이존효가 고했다. “저는 부왕의 두터운 은혜를 받아 아직 다 갚지도 못했는데 어찌 반란을 하겠습니까?”
晉王曰:“旣不反, 如何說知罪?”
진왕왈 니기불반 여하설지죄
진왕이 말했다. “네가 이미 모반하지 않았는데 어찌 죄를 안다고 말했는가?”
存孝說:“父王問兒知罪, 兒因逆賊劫了大哥的營, 兒不曾領兵救應, 是這個知罪。”
존효설 부왕문아지죄 아인역적겁료대가적영 아부증령병구응 시저개지죄
* [zhege]:1) 이 2) 이것 3) 과장의 뜻을 나타냄
*救 [jiuying]:1) 구원하다 2) 응원하다 3) 사람을 구하다
이존효가 말했다. “부왕께서 제가 죄를 아는지 질문하니 저는 역적이 큰 형님의 영채를 습격함에 기인하여 제가 일찍이 병사를 이끌고 구원을 가지 못하니 이것으로 죄를 안다고 했습니다.”
德威曰:“大王險些中了此賊的犯將計!且把存孝囚在營中, 大王差一個的當軍人, 到賊營前打聽個消息, 便知眞假。”
덕위왈 대왕험사중료차적적범장계 차파존효수재영중 대왕차일개적당군인 도적영전타청개소식 변지진가  
些 [xinxi(r)]:1) 자칫하면 2) 하마터면 3) 거의
주덕위가 말했다. “대왕께서는 자칫하면 이 역적이 장수를 범하는 계책에 맞을뻔 했습니다! 이존효를 군영에 가두고 대왕께서 한명 적당한 군인을 보내 역적 군영앞에서 소식을 듣게 하면 곧 진짜인지 가짜인지를 알 것입니다.”
晉王聽說, 卽令李嗣源領兵過了黃河, 徑去巢兵營前索戰, 軍士報葛從周曰:“如今唐兵在營前索戰。”
진왕청설 즉령이사원령병과료황하 경거소병영전색전 군사보갈종주왈 여금당병재영전색전
如今 [rujn]:1) 지금 2) 이제 3) 오늘날
진왕이 설명을 듣고 이사원을 시켜 병사를 이끌고 황하를 건너서 곧장 황소병사 군영앞에 가서 전투를 구하며 군사들은 갈종주에게 보고하였다. “지금 당나라 병사가 군영앞에서 전투를 구합니다.”
葛從周曰:“何將願去對陣!”
갈종주왈 하장원거대진
갈종주가 말했다. “어떤 장수가 적진과 상대하러 가길 원하는가?”
言未聲, 閃出大將耿彪叫曰:“小將願去出馬!”
언미절성 섬출대장경표규왈 소장원거출마
耿(빛날 경; -총10획; geng)
말이 아직 소리가 안끝났는데 갑자기 대장인 경표가 소리쳤다. “소장이 가서 말을 내어 싸우길 원합니다!”
披掛當先, 實時向陣前問曰:“來將是誰?”
피괘당선 실시향진전문왈 래장시수
實時:산스크리트어 kla 정해진 시각. 이에 반해, 막연한 어느 때는 가시(假時)라고 함
무장하고 선두에 서서 실제 진 앞을 향하여 말했다. “온 장수는 누구냐?”
嗣源說:“吾是大唐李晉王世子, 大太保李嗣源, 是誰人, 敢來與我對陣?”
사원설 오시대당이진왕세자 대태보이사원 니시수인 감래여아대진
이사원이 설명했다. “나는 당나라 이진왕의 세자인 대태보인 이사원이다. 너는 누구길래 감히 와서 나와 진영을 대치하는가?”
耿彪答曰:“吾是大齊皇帝駕前大將耿彪!”
경표답왈 오시대제황제가전대장경표
경표가 대답했다. “나는 제나라 황제 어가를 모시는 대장 경표이다!”
李嗣源問耿彪曰:“不知軍中那個賊定下這犯將計來, 着我父王發怒, 把存孝殺了!”
이사원문경표왈 부지니군중나개적정하저범장계래 착아부왕발노 파존효살료
이사원이 경표에게 물었다. “네 군영중에 역적이 이런 장수를 범한 계책을 쓴지 모르고 우리 부왕께서 분노하게 하여 이존효를 살해했다!”
耿彪聽說殺了存孝, 叫嗣源曰:“若論我耿彪, 也不存孝, 是我營中鄧天王定的妙計。”
경표청설살료존효 규사원왈 약론아경표 야불파존효 시아영중등천왕정적묘계
경표는 이존효가 죽음을 듣고 이사원에게 말했다. “만약 나 경표를 논의하면 이존효는 두렵지 않았고 우리 군영안에 등천왕이 정한 오묘한 계책이다.”
嗣源曰:“我家到不曾中的犯將計, 今中我將計了。”
사원왈 아가도부증중니적범장계 니금중아잠장계료
이사원이 말했다. “우리 집안은 일찍히 너희 장수를 범한 계책에 적중하지 않고 네가 지금 내 장수를 속인 계책에 맞았다.”
耿彪曰:“何爲將計?”
경표왈 하위잠장계
경표가 말했다. “무엇이 장수를 속이는 계책인가?”
嗣源曰:“我父王雖然發怒, 存孝未曾受刑, 正在疑惑之間, 着我來探消息, 今日被我把言語都出來了, 却不是將計?”
사원왈 아부왕수연발노 존효미증수형 정재의혹지간 착아래탐소식 금일피아파니언어도잠출래료 각불시잠장계
이사원이 말했다. “우리 부왕이 비록 분노를 하나 이존효는 아직 형벌을 받지 못하고 바로 의혹하는 사이에 나에게 소식을 탐지해 오게 하니 오늘 내가 너를 언어로 모두 속여 먹으니 장수를 속이는 계책이 아니겠는가?”
耿彪大怒, 拍馬舞刀, 就李嗣源。
경표대노 박마무도 취감이사원
경표가 매우 분노하여 말을 박차고 칼을 춤추며 이사원을 곧 베려고 했다.
嗣源持戟急架, 未知勝負如何?且聽下回分解。
사원지극급가 미지승부여하 차청하회분해
이사원이 극을 지니고 급히 막아서 아직 승부가 어떨지 모르겠다. 아래 17회 부분의 해석을 들어보자.
有詩爲證:二將逞功能, 馬蹄縱亂橫.
유시위증 이장령공능 마제종란횡
橫(가로 횡; -총16획; heng,heng)은 行으로도 되어 있다.
시로 다음과 같이 증명한다. 두 장수는 공능을 다투니 말발굽이 종횡으로 어지럽다.
放開白玉, 方顯兩龍騰。
방개백옥비  방현양용등
(고삐 비; -총22획; pei)
옥으로 만든 고삐를 놓아 바로 두 용이 오름이 보인다.
卓吾子評:當時令鄧天王之計果行, 則存孝死久矣, 唐天子何日得還京師耶?
탁오자평 당시령등천왕지계과행 즉존효원사구의 당천자하일득환경사야
이탁오가 평가한다. 당시에 등천왕의 계책을 과연 시행했다면 이존효가 원통하게 죽음이 오래되었을 것이니 당나라 천자가 어느 때 수도로 돌아왔겠는가?

키워드

  • 가격4,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14.01.06
  • 저작시기2014.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3888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