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읽기와 논술 A] 원자력발전소 증설과 관련한 찬반 논쟁을 조사, 정리한 후 자신의 의견을 개진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세상읽기와 논술 A] 원자력발전소 증설과 관련한 찬반 논쟁을 조사, 정리한 후 자신의 의견을 개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 서론

II. 본론
1. 원자력 발전의 개념과 원리
2. 원자력 발전 찬성
3. 원자력 발전 반대

III. 결론

IV. 참고자료

본문내용

자력 발전소는 계속해서 같은 속도로 가동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시간에 따른 전력수요의 변화나, 계절에 따른 수요의 변화에 대응하는 융통성이 부족하게 된다.
원자력 발전을 하게 됨으로써 전기수요량이 적은 밤이면 전기가 남아돌고, 때문에 전력회사는 밤 시간대에 전기를 싸게 공급함으로써 전력의 과소비를 조장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전력의 과소비는 어떠한 형태이든 환경을 희생시킬 유인을 제공한다는 것이다. 또한 원자력 발전 설비의 확충은 밤이면 남는 전기를 이용하여 물을 퍼 올리고 낮에 그 물을 이용하여 발전하는 양수댐을 더 많이 짓도록 유도하게 되어 댐 건설로 인한 환경파괴 또한 심각하게 된다고 지적하고 있다. 또한 원자력 발전은 많은 핵폐기물을 쏟아내고, 원자력 발전소 자체도 예상수명인 30-40년이 지나면 엄청난 폐기물이 되게 되므로 원자력 발전은 환경에 치명적인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III. 결론
원자력발전은 현대의 과학기술로는 해결할 수 없는 치명적인 공해 문제를 계속 만들어 낸다. 원자력발전에서 나오는 핵폐기물은 아무런 대책 없이 후손들에게 고스란히 책임이 떠맡겨지고 있다. 핵 기술이 뛰어난 선진국들이 원자력을 포기하는 가장 큰 이유는 바로 여기에 있다. 또한 원자력 시설의 안전성에 대해서도 대부분의 선진국들은 회의적으로 보고 있다. 대부분의 원자력 선진국들이 예외없이 크고 작은 사고들을 겪었다. 체르노빌 원전사고는 언제나 파국적인 사고의 가능성이 존재하며, 그 피해는 강력하면서도 광범위하다는 사실을 깨닫게 하였다.
결국 원자력 정책을 추진하던 많은 나라들은 재생가능 에너지로 돌아설 수 밖에 없었다. 하지만 아직까지 우리나라에서는 이러한 재생가능 에너지로의 추진이 꿈같이 들리기도 한다. 하지만 이것은 현실로 나타나고 있으며, 현실적으로 가장 확실한 대안임에 틀림없다. 이러한 상황에서 우리에게 가장 필요한 것은 과도기적 상황에서 우리의 갈 길, 미래가 어떻게 열려야 할 지를 정확히 판단해 내는 것이다. 또한 원전반대에 있어서도 단순히 원자력의 해악을 거론하는 것에서 끝나는 것 보다는 재생가능 에너지, 즉 대안이 확실히 존재함을 인식하고, 그 대안을 실현하기 위해 노력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인 방법이 될 것이다. 결국 재생가능 에너지의 대안 마련만이 진정한 탈원전의 길이 될 것이다.
IV. 참고자료
김장곤, 『준비된 삶, 원자력 문화 21』, 한국원자력문화재단, 2001.
김경동, 『에너지 대안을 찾아서』, 창작과 비평사, 2008.
라센 이곤, 『원자력 에너지 그 후』, 100년, 전파과학사, 2007.
에머리 로빈스 외/임성진 역, 『미래의 에너지』, 생각의 나무, 2001.
이수정, 『원자력 발전과 관련된 사회적 쟁점에 대한 대학생들의 비형식적 추론 및 근거 활용 유형』,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이필렬, 『에너지 전환의 현장을 찾아서』, 궁리출판, 2001.
이필렬 외, 『인간과 과학』,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부, 2001.
타까기 진자부로오/김원식 역, 『원자력 신화로부터의 해방』, 녹색평론사, 2001.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4.03.19
  • 저작시기2014.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3895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