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아파트의 시장동향과 전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서울아파트의 시장동향과 전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서론

본론
1. 아파트 시장 동향
2. 매매시장
3. 전세시장

결론

자료출처

본문내용

), 강동구(-0.27%), 강서구(-0.21%), 강남구(-0.18%),
양천구(-0.14%) 등이 하락해 지난주보다 하락한 지역이 7곳 늘었다.
매매물건에 비해 전세물건은 대부분 많으나 수요가 없어 극심한 전세이동
가뭄을 보이고 있다.
특히 다른 지역보다 빠르게 하락하기 시작한 강남권은 20년 이상 된 노후단지들을
중심으로 전셋값이 크게 하락하고 있다.
강남구 압구정 신현대, 한양1~6차의 경우 한때 부를 상징하는 단지로 꼽혔으나
노후되고 매매시장이 얼어붙자 전세수요도 없어 이번주 1천만~2천5백만원씩
평형별로 모두 하락했다. 강동구 성내동 삼성 44평형도 2천만원 하락했다.
참고적으로 경기지역 전셋값 변동률은 -0.06%, 신도시 -0.03%, 인천광역시
-0.06%를 기록했다.
또한 시별로는 화성시(-1.23%), 광명시(-0.22%), 남양주시(-0.19%), 수원시
(-0.15%), 의정부시(-0.10%) 등이 하락했고 과천시는 0.45% 상승했다.
화성시는 태안지구의 입주물량 증가로 기존아파트의 전셋값 연일 하락하고
있고 광명시는 철산동 주공아파트가 하락했다. 과천시는 중앙동 주공10단지
27평형 1천만원 상승해 시세는 1억9천만~2억이다. 신도시는 일산과 평촌이
-0.06%, 산본은 -0.04%, 분당과 중동이 -0.01%로 모두 하락했다.
결론
최근 서울 지역 아파트 기존시장 가격은 재건축아파트를 중심으로 가격이
급등하면서 지난해 9월 이후 서울 지역 아파트 시장가격이 기본가치를 크게
상회하는 거품이 형성된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강남 거품 40%, 기본가치 크게 상회).
즉 수요가 공급을 크게 상회하여 웃돈을 주고서라도 사람들은 서울지역 아파트를
구입하려 하고 있다. 특히 가격상승을 주도한 서울 강남ㆍ서초ㆍ송파ㆍ강동구는
기본가치를 30~40% 정도 초과해 거품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또한 신규
입주아파트도 마찬가지다. 예를 들어, 평당 1500만원대에 분양된 삼성동
현대 아이파크는 104평형대의 시세가 40억원대를 호가할 정도로 급등한
상황이다. 그러나 임대투자용 물량 상당수가 소화되지 않고 있으며, 입주포기와
해약을 고려하는 경우도 늘어나 거품붕괴 위험이 커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이러한 현상황에서 전체적으로 서울지역 아파트가 시세가 하락세인 이유를
고찰해보자면 정부의 지속적인 투기억제 및 물량의 과잉공급, 투자수요 이탈,
그리고 경기회복 지연등의 요인으로 인해 지금의 상황이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그중에서 정부의 규제가 가장 영향력이 큰 것으로 분석 된다. 하지만 원론에서
배운것처럼 정부의 규제는 단기적인 해결책은 될 수 있어도 장기적으로는
더 큰 문제점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고 알고 있다. 즉 정부의 규제는 궁극적인
해결책은 되지 못한다. 사람들의 욕망이 끝이 있고 자원은 무한하다면 모든
경제문제는 해결 될 것이라는 헛된 생각을 해본다.
자료출처 : www.r114.co.kr , www.naver.com , www.drapt.com ,
www.mk.co.kr

키워드

추천자료

  • 가격1,3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4.06.09
  • 저작시기2014.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3900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