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최근 주택시장 동향 및 전망
2- 주택시장 안정대책 추진현황
≪ 정책 기조 ≫
1) 투기수요 억제
2) 서민 주거안정 지원 강화
3) 주택공급 확충
3- 향후 추진계획
2- 주택시장 안정대책 추진현황
≪ 정책 기조 ≫
1) 투기수요 억제
2) 서민 주거안정 지원 강화
3) 주택공급 확충
3- 향후 추진계획
본문내용
구입하는 경우 에도 생애최초자금을 지원토록 조건을 완화 (3.11)
□ 구청장의 분양승인시 업체에게 분양가 인상자제를 요청하고 과다산정 업체는 국세청에 통보하는 등 분양가 상승을 억제 (4.2)
ㅇ 업계에서도 호화마감재 사용 및 무리한 수주경쟁을 지양하여 분양가 인상을 자제키로 자율결의 (4.4)
※ 마이너스 옵션을 활성화하도록 유도하여 분양가 인상요인을 완화
3. 주택공급 확충
□ 금년에 55만호를 건설하여 전국 주택보급률 100%를 달성
ㅇ 공공부문에서 20만호, 민간부문에서 35만호를 건설하고 주택이 부족한 수도권에 33만호를 건설
※ '02.1∼2월 건설실적 : 79천호 (전년동기 34천호 대비 134% 증가)
ㅇ 이를 위해 국민주택기금 10.8조원을 지원하고 공공택지 1,100만평(수도권 600만평)을 적기에 공급
□ 저소득층의 주거안정을 위해 재정(30%)이 지원되는 국민 임대주택을 전국 52개 지구에서 52,500호 건설
ㅇ 특히 전월세 수요가 많은 수도권에 33천호(서울 15천호)를 건설하여 수도권 저소득층의 전월세 부담을 완화
※ '02.1∼3월 건설실적 : 3,554호 (전년동기 490 대비 620% 증가)
ㅇ 내년 8만호 건설에 차질이 없도록 개발제한구역 해제지역 376만평(수도권 276만평)을 금년 상반기중 택지지구로 지정
□ 노후불량주택 밀집지역을 활용하여 주택공급을 확충
ㅇ 재개발·재건축 시행요건과 절차를 간소화 (주거환경정비법 제정중)
· 단독주택도 재건축을 허용하고 주민동의 요건을 완화 (100%→80%)
· 수익성이 없어 민간시행이 곤란한 지역은 공공기관이 직접 시행
ㅇ 재개발·재건축지역내 또는 인근지역에 임대아파트를 건설하여 순환재개발함으로써 이주문제를 해결
□ 내년부터 10년간 총 500만호(연간 50만호)의 주택을 건설하여 주택부족으로 인한 집값 문제를 해소 ('12년 보급률 115%)
ㅇ 서민 주거안정을 위한 안전판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주택보급률이 선진국 수준인 110% 이상에 달하여야 함.
※ 선진국 보급률 : 프랑스 121%, 일본 113%, 싱가폴 112%, 미국 111%
ㅇ 수도권에 대해서는 금년부터 '06년까지 매년 30만호 이상씩 총 150만호의 주택을 건설하여 '06년 보급률 100%를 달성
- 이를 위해 소요되는 택지 3,750만평중 2,850만평(연간 570만평)을 공공택지로 차질없이 공급 (상반기중 택지수급계획 수립)
Ⅲ. 향후 추진계획
□ 주택시장 안정국면이 정착될 수 있도록 영세민 전월세보증금 지원을 강화하고, 3.6 안정대책 후속조치를 조기에 완료
ㅇ 영세민들이 보다 수월하게 전월세보증금을 지원받을 수 있도록 기존 보증금을 담보로 한 지원대상을 확대
· 현재 연소득 1천만원이하인 영세민의 경우 집주인이 보증금을 상환한다는 확약서 제출시에는 연간소득을 2천만원까지 인정
(보증한도 : 연간소득 - (부채금액 × 20%) - 기임차자금)
- 앞으로 연소득 1천만원이상인 경우에도 집주인의 확약서제출시에는 연소득의 2배까지 인정받도록 하여 지원을 확대
ㅇ 3.6 안정대책을 차질없이 추진할 수 있도록 주택건설촉진법·주택공급규칙 등 관련법령을 최대한 빠른 시일내에 개정
※ 주택건설촉진법은 의원입법으로 발의를 완료한 상태이며, 공급규칙 개정안은 현재 법제처 심사중
□ 앞으로 주택공급 확충기조를 유지하는 가운데, 시장동향 점검을 강화하여 필요시에는 후속대책을 적기에 강구
ㅇ 중장기 주택건설 계획에 대해서는 5월부터 연구용역에 착수하여 내년 6월경에 확정·발표토록 추진
ㅇ 수도권의 주택시장 동향을 주간단위로 점검하여 과열 현상이 재발될 경우에는 관계부처 합동으로 강력한 투기억제책을 강구하여 시장 안정을 도모
□ 구청장의 분양승인시 업체에게 분양가 인상자제를 요청하고 과다산정 업체는 국세청에 통보하는 등 분양가 상승을 억제 (4.2)
ㅇ 업계에서도 호화마감재 사용 및 무리한 수주경쟁을 지양하여 분양가 인상을 자제키로 자율결의 (4.4)
※ 마이너스 옵션을 활성화하도록 유도하여 분양가 인상요인을 완화
3. 주택공급 확충
□ 금년에 55만호를 건설하여 전국 주택보급률 100%를 달성
ㅇ 공공부문에서 20만호, 민간부문에서 35만호를 건설하고 주택이 부족한 수도권에 33만호를 건설
※ '02.1∼2월 건설실적 : 79천호 (전년동기 34천호 대비 134% 증가)
ㅇ 이를 위해 국민주택기금 10.8조원을 지원하고 공공택지 1,100만평(수도권 600만평)을 적기에 공급
□ 저소득층의 주거안정을 위해 재정(30%)이 지원되는 국민 임대주택을 전국 52개 지구에서 52,500호 건설
ㅇ 특히 전월세 수요가 많은 수도권에 33천호(서울 15천호)를 건설하여 수도권 저소득층의 전월세 부담을 완화
※ '02.1∼3월 건설실적 : 3,554호 (전년동기 490 대비 620% 증가)
ㅇ 내년 8만호 건설에 차질이 없도록 개발제한구역 해제지역 376만평(수도권 276만평)을 금년 상반기중 택지지구로 지정
□ 노후불량주택 밀집지역을 활용하여 주택공급을 확충
ㅇ 재개발·재건축 시행요건과 절차를 간소화 (주거환경정비법 제정중)
· 단독주택도 재건축을 허용하고 주민동의 요건을 완화 (100%→80%)
· 수익성이 없어 민간시행이 곤란한 지역은 공공기관이 직접 시행
ㅇ 재개발·재건축지역내 또는 인근지역에 임대아파트를 건설하여 순환재개발함으로써 이주문제를 해결
□ 내년부터 10년간 총 500만호(연간 50만호)의 주택을 건설하여 주택부족으로 인한 집값 문제를 해소 ('12년 보급률 115%)
ㅇ 서민 주거안정을 위한 안전판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주택보급률이 선진국 수준인 110% 이상에 달하여야 함.
※ 선진국 보급률 : 프랑스 121%, 일본 113%, 싱가폴 112%, 미국 111%
ㅇ 수도권에 대해서는 금년부터 '06년까지 매년 30만호 이상씩 총 150만호의 주택을 건설하여 '06년 보급률 100%를 달성
- 이를 위해 소요되는 택지 3,750만평중 2,850만평(연간 570만평)을 공공택지로 차질없이 공급 (상반기중 택지수급계획 수립)
Ⅲ. 향후 추진계획
□ 주택시장 안정국면이 정착될 수 있도록 영세민 전월세보증금 지원을 강화하고, 3.6 안정대책 후속조치를 조기에 완료
ㅇ 영세민들이 보다 수월하게 전월세보증금을 지원받을 수 있도록 기존 보증금을 담보로 한 지원대상을 확대
· 현재 연소득 1천만원이하인 영세민의 경우 집주인이 보증금을 상환한다는 확약서 제출시에는 연간소득을 2천만원까지 인정
(보증한도 : 연간소득 - (부채금액 × 20%) - 기임차자금)
- 앞으로 연소득 1천만원이상인 경우에도 집주인의 확약서제출시에는 연소득의 2배까지 인정받도록 하여 지원을 확대
ㅇ 3.6 안정대책을 차질없이 추진할 수 있도록 주택건설촉진법·주택공급규칙 등 관련법령을 최대한 빠른 시일내에 개정
※ 주택건설촉진법은 의원입법으로 발의를 완료한 상태이며, 공급규칙 개정안은 현재 법제처 심사중
□ 앞으로 주택공급 확충기조를 유지하는 가운데, 시장동향 점검을 강화하여 필요시에는 후속대책을 적기에 강구
ㅇ 중장기 주택건설 계획에 대해서는 5월부터 연구용역에 착수하여 내년 6월경에 확정·발표토록 추진
ㅇ 수도권의 주택시장 동향을 주간단위로 점검하여 과열 현상이 재발될 경우에는 관계부처 합동으로 강력한 투기억제책을 강구하여 시장 안정을 도모
추천자료
금융건전성 감독과 자본시장 활성화, 그리고 경제의 안정과 성장
노동시장의 유연화와 노동시장의 안정화
우리나라 노인주택 보급의 현황 및 문제점과 개선대책
환율안정을 위한 외환시장 발전방안
공동주택 리모델링 시장전망과 활성화를 위한 정책방안
베네딕숑 쌀피자: 안정적 시장 진입의 비결 분석
[청년실업][청년실업문제][실업문제][실업][노동시장정책][실업정책][실업대책][실업대란][청...
[청년실업][실업문제][청년실업문제][실업][청년층][청년기]청년층(청년기) 노동시장의 구조 ...
민간보금자리주택 도입의 문제점 및 대책, 제언
주택과실내디자인,롯데캐슬,마케팅,브랜드,브랜드마케팅,기업,서비스마케팅,글로벌,경영,시장...
투자신탁회사(투신사)의 특징, 공시규정, 투자신탁회사(투신사)의 금융상품, 동향, 투자신탁...
[노후계획, 노후대비, 노후대책, 노후설계] 노후계획의 중요성과 노후대비방안 보고서 : 노인...
하우스푸어 연구 목적, 정의, 대책, 발생 원인, 정부지원, 가계부채, 대출, 주택 가격, 주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