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한학습으로의 여행> 기말고사 족보 9주~15주차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스마트한학습으로의 여행> 기말고사 족보 9주~15주차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9주차……………………………………01p

10주차……………………………………07p

11주차……………………………………13p

12주차……………………………………19p

13주차……………………………………23p

14주차……………………………………29p

15주차……………………………………36p

본문내용

(초등)
1112개교 운영(초등)
132개교 운영
(초등 122개교
중등10개교)
디지털 교과서 개발 계획(안)
구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초등
학교
1,2학년
디지털교과서
개발 방향 정립 및 교수학습 모델
개발 등
디지털교과서 개발
디지털교과서 적용
3,4학년
2009교육과정
서책형교과서 적용/디지털교과서 개발
디지털교과서 적용
5,6학년
2009교육과정 서책형교과서적용/
디지털교과서 개발
중학교
디지털교과서 개발
디지털교과서 적용
고등
학교
영어
디지털교과서 개발
디지털교과서 적용
기타과목
2009교육과정 서책형
교과서 적용
디지털교과서 개발
[평가하기]
1. 다음 중 빈 칸에 알맞은 단어를 넣으시오.
서책형 교과서의 내용은 물론 용어사전, 평가문항, 풍부한 학습자료 등을 포함하고 있고, 이를 문서자료 뿐만 아니라 동영상, 애니메이션, 가상현실 등의 멀티미디어와 통합해 제공하며, 다양한 상호작용 기능과 학습자의 특성 및 능력 수준에 맞추어 학습할 수 있도록 구현된 학습용 교재를 (디지털교과서) 라고 한다.
-> 디지털 교과서는 서책형의 내용을 모두 포함할 뿐 아니라 다양한 멀티미디어, 풍부한 학습자료 등을 제공하고, 다양한 상호작용 기능 및 학습자 맞춤형 학습을 제공한다.
2. 다음 중 디지털 교과서의 주요 기능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멀티미디어 기능 2) 참고자료 기능 3) 상호작용 기능 4) 상담 기능
-> 디지털 교과서는 10여가지 주요 기능이 있는데 이중 학습자 상담 기능은 이에 속하지 않는다.
3. 다음 중 디지털 교과서와 서책형 교과서에 대한 비교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디지털 교과서는 동영상, 가상현실 등 멀티미디어 학습자료가 제공되지만, 서책형은 텍스트 중심의 평면적 학습자료를 제공한다.
2) 디지털 교과서는 새로운 사실이나 지식을 신속히 반영할 수 있지만, 서책형 교과서는 자료가 고정되어 변환이 어렵다.
3) 디지털 교과서는 교과 내에서 타 학년간 연계 학습이 가능하지만, 서책형 교과서는 교과간 연계 학습이 가능하다.
4) 디지털 교과서는 교사, 학생, 컴퓨터간 다방향 학습이 가능하지만, 서책형 교과서는 지식 전달 위주의 단방향 학습만 가능하다.
-> 디지털 교과서는 교과내 학년간, 타교과간 연계학습이 모두 가능하고, 서책형 교과서는 교과간 서로 단절된 개별적인 학습 교재로서만 활용 가능하다.
[정리하기]
1. 디지털교과서는 서책형 교과서의 내용은 물론 용어사전, 평가문항, 풍부한 학습자료 등을 포함하고 있고, 이를 문서자료 뿐만 아니라 동영상, 애니메이션, 가상현실 등의 멀티미디어와 통합해 제공하며, 다양한 상호작용 기능과 학습자의 특성 및 능력 수준에 맞추어 학습할 수 있도록 구현된 학습용 교재이다.
2. 디지털 교과서는 텍스트와 이미지 중심에서 평면적, 선형적 기존 서책형 교과서와 달리 소리, 동영상, 애니메이션, 가상 현실 등의 멀티미디어 학습자료를 제공한다.
3. 디지털 교과서는 동영상, 애니메이션, 가상 현실, 하이퍼링크 등 첨단 멀티미디어 학습자료와 전자게시판, 쪽지 등 다양한 상호작용 기능을 제공하여 자기주도적이고 창의적인 학습을 실현하도록 한다.
또한, 다양한 학습조조자료, 사회 각 분야 최신 정보 및 정보DB 연계로 학생들은 친구, 교사는 물론 전문가 등 다양한 상호작용이 가능하게 하고, 필기, 밑줄, 노트 기능으로 기존 교과서와 똑같이 학습할 수 있으며, 또한 진도관리, 평가 기능을 통해 학습자의 특성과 수준을 맞춘 개별학습을 지원한다.
14주차 1교시
[사전퀴즈]
1. SNS의 교육적 활용 가능성만 논의될 뿐 실제 수업에 활용한 사례는 아직 없다.(X)
->최근 페이스북, 트위터 등의 SNS를 학습자와 학습자간, 학습자와 교수자간 소통의 장으로 활용하거나, 학습 보조 도구로 활용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고, 활성화 되어 가고 있다.
2. 트위터, 페이스북 등은 SNS의 대표적인 사례이다.(O)
->페이스북과 트위터 등은 전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는 SNS의 대표 사례라 할 수 있다.
3. 다양한 소셜 미디어의 출현과 확산은 소셜 미디어의 교육적 활용을 필연적으로 견인하고 있다.(O)
->컴퓨터의 출현, 스마트기기의 출현이 ICT활용 교육을 촉진하고 있는 것과 같이 다양한 소셜미디어의 출현화 확산은 자연스럽게 이들을 교육적으로 활용하도록 유도하고 있다.
SNS 개념 및 특징
SNS(Social network service) : 1인의 미디어 및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하는 인적 네트워크 형성 서비스.
인터넷으로 정보를 공유하고, 의사소통을 도와주는 커뮤니 티형 웹사이트.
Social : 사회를 뜻하는 말로 ‘공동체’를 의미.
Network : 일련의 과정을 통해 연결된 ‘관계망’.
Service : 이러한 것들이 가능할 수 있도록 ‘기반을 만들어 주는 것’.
Social Network와 기존 커뮤니티의 차이점
Online community
Social Network
Top-down
Bottom-up
장소 중심
사람 중심
중개자 통제
사용자 통제
집중화
분권화
관심 주제 중심
정황적 연계 중심
사전 설계된 관계
자기 생성적인 관계
SNS 개념도
Social Network Service의 특징
- 주된 목적은 대인관계를 넓히는 것
- 개인의 일상이나 관심영역을 공유하고 소통하여 인맥을 구축하는 인적 네트워크를 형성
- 오프라인 상에서 알고 있는 사람이나 적어도 연관성이 있는 사람들 간의 연결이 주되게
나타남
- 사회화를 전문적으로 도와주며 상호간의 친밀한 관계를 유지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
- 사회정신적 공간(Socio-mental space)에서 상대와 연결되어 있다는 느낌을 가질 수 있 음.
- 모든 방식에 대해 서로를 알 수 있기 때문에 거리를 좁히는데 매우 효율적.
- 인터넷 상에서 공통의 관심사를 지니고 있는 사용자들간 관계 형성 지원.
- 인맥관리, 정보 및 콘텐츠 공유 등 다양한 활동을 할 수 있도록 지원.
- 인간의 사회적 활동에 기반을 두었기 때문에 독특한 모습을 보이기도 함.
- 상호 연결된 이용자들이 여러 가지 이슈에 대해 끊임없이 커뮤니케이션을 하는 과정.
- 사회적 관계
  • 가격1,300
  • 페이지수41페이지
  • 등록일2014.12.17
  • 저작시기2014.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3934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