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2차 표준보육과정 목적과 목표
1) 목적
2) 목표
2. 6개 영역과 내용범주
1) 기본생활 영역
2) 신체운동 영역
3) 의사소통 영역
4) 사회관계 영역
5) 예술경험 영역
6) 자연탐구 영역
3. 시사점
Ⅲ. 결론
참고문헌
Ⅱ. 본론
1. 2차 표준보육과정 목적과 목표
1) 목적
2) 목표
2. 6개 영역과 내용범주
1) 기본생활 영역
2) 신체운동 영역
3) 의사소통 영역
4) 사회관계 영역
5) 예술경험 영역
6) 자연탐구 영역
3. 시사점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문제로 보게 되었으며, 그 기능에 있어서도 ‘보호냐 교육이냐’의 이분법적 논리에서 벗어나 부모의 기능을 보완하기 위한 단순한 보호의 차원에서만이 아니라 교육이라는 차원으로 강조하게 되었다. 대상에 있어서도 저소득층 가정의 아동에게만 국한시키지 않고 모든 계층의 아동을 대상으로 보게 되었다. 이는 아동을 독자적인 인간의 존엄성을 갖고 있는 사회의 한 구성원으로서 인식하는 것으로 이들이 당연히 누려야 할 보호와 교육을 받을 권리를 인정해 주는 것이다.
Ⅲ. 결론
지금까지 본론에서는 2차 표준보육과정 목적과 목표를 서술하시고, 6개 영역과 내용범주에 대해서 자세히 서술해 보았다. 제 1차 표준보육과정이 2005년에 11월에 연구된 것이기 때문에 그동안의 시대적 상황과 연구결과들을 반영하고 현장적용하면서 요구되는 의견들을 수용하여 2011년 1월까지 제 2차 표준보육과정 개정 연구가 완료되었다. 이후 2011년 3월 28일 제 2차 표준보육과정 개정안 공청회가 개최되었다. 이에 대한 내용을 고시하려는 중에 동년 5월 2일 5세 공통과정(누리과정)이 개발 됨에 따라 이로 인해 제 2차 표준보육과정의 개정 고시는 늦추어지게 되었다. 5세 누리과정이 2011년 9월 5일에 고시되면서(보건복지부 고시 제 2011-106호)제 2차 표준보육과정의 고시도 진행되어 2012년 2월 29일에 0-4세를 위한 제 2차 표준보육과정이 고시되었다(보건복지부 고시 제2012-28호).
참고문헌
보건복지부(2011). 표준보육과정 지침서.
김현진(2011). 보육교사의 표준보육과정 이해 및 운영실태. 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Ⅲ. 결론
지금까지 본론에서는 2차 표준보육과정 목적과 목표를 서술하시고, 6개 영역과 내용범주에 대해서 자세히 서술해 보았다. 제 1차 표준보육과정이 2005년에 11월에 연구된 것이기 때문에 그동안의 시대적 상황과 연구결과들을 반영하고 현장적용하면서 요구되는 의견들을 수용하여 2011년 1월까지 제 2차 표준보육과정 개정 연구가 완료되었다. 이후 2011년 3월 28일 제 2차 표준보육과정 개정안 공청회가 개최되었다. 이에 대한 내용을 고시하려는 중에 동년 5월 2일 5세 공통과정(누리과정)이 개발 됨에 따라 이로 인해 제 2차 표준보육과정의 개정 고시는 늦추어지게 되었다. 5세 누리과정이 2011년 9월 5일에 고시되면서(보건복지부 고시 제 2011-106호)제 2차 표준보육과정의 고시도 진행되어 2012년 2월 29일에 0-4세를 위한 제 2차 표준보육과정이 고시되었다(보건복지부 고시 제2012-28호).
참고문헌
보건복지부(2011). 표준보육과정 지침서.
김현진(2011). 보육교사의 표준보육과정 이해 및 운영실태. 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추천자료
[사회과학] 표준보육과정 요약
국가수준의 유아교육과정에서 3~5세 누리과정에 대한 장단점에 대해 적으시오
표준보육과정에 대한 이해 - 표준보육과정 개발의 필요성, 표준보육과정의 기본원리와 목적 ...
2차 표준보육과정 목적과 목표를 서술하고 6개 영역과 내용범주에 대해 자세히 서술하시오.
[영유아보육학 공통] 보육패러다임 변화의 주요 특성에 대해 설명하고 이러한 특성이 반영된 ...
2019년 1학기 유아건강교육 중간시험과제물 A형(표준보육과정 - 안전하게 생활하기)
표준보육과정과 누리교육과정의 구성체계와 구성방향 비교
[ 유아교육론 ) 1. 표준화 검사도구 중 하나를 선택하여 검사도구의 구성요소, 시행절차 및 ...
[교과교육론A형]누리과정의 생활주제 1개를 자유롭게 선택하고, 만3세를 대상으로 월간교육(...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