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머리말
Ⅱ. 과학적 교육연구의 요건
Ⅲ. 특수교육의 질적 연구 방법
Ⅳ. 특수교육 사례연구의 실제
V. 맺음 말
Ⅱ. 과학적 교육연구의 요건
Ⅲ. 특수교육의 질적 연구 방법
Ⅳ. 특수교육 사례연구의 실제
V. 맺음 말
본문내용
이해하고 이를 극복하는데 그 선생님께서는 나에게 많은 도움을 주셨다. 어느 날, 나는 그 분과 이야기를 나누면서 거의 울음을 터뜨릴 뻔한 때가 있었다. 나는 그분에게 "왜, 왜, 왜 내 머리는 모든 것을 잘 받아들이지 못하죠?" 라고 물었다. 그 분은 나에게 우리는 뇌가 어떻게 작동하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머리를 열어볼 수는 없지만 내가 학습을 보다 쉽게 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학습전략들은 찾을 수 있다고 말씀하셨다.
예컨대, 나는 수학의 곱셈을 할 때 계산기를 사용하거나 곱셈표를 사용한다. 나는 읽기를 할 때 네 번에서 다섯 번 정도 반복해서 읽어야 한다. 반복해서 읽음으로써 나는 어려운 단어가 어떤 것인지를 어림할 수 있었고 단어들을 조합할 수 있게 되었다. 나는 소규모 학급에서 수업을 받게 됨으로써 내가 필요로 하는 관심을 받을 수 있었고, 지금은 나름대로의 역할을 하고 있다.
나는 현대 무용을 전공하고 있기 때문에 수강하는 과목도 이와 관련된 것들로서 두 과목은 발레와 관한 것이며, 한 과목은 재즈에 관한 것이다. 나는 무용을 배우던 초기에는 다른 학생들이 발 동작을 너무 잘 하였기 때문에 다소 위축되었었다. 나는 금년 들어서 "turn-out"과 "passe", 그리고 "plie" 등과 같은 모든 댄스 용어를 배웠다. 무용을 배우는 일은 정말 나에게는 근사한 일인 것 같다. 나는 내년에 한 작품의 안무를 담당하게 되는데, 다른 사람들로부터 나에 대한 평가를 받는다는 것이 다소 걱정이 된다.
하루를 정말 무용만을 위해서 열심히 보내기만 한다면, 무용은 나의 느낌을 표현하는 데 도움이 된다. 이제는 학교에서 집으로 돌아오면 지난날처럼 다른 모든 사람들에게 고함을 지르기보다는 무용 연습을 한다. 예술학교는 앞으로 나에게 보다 많은 기회를 안겨다 줄 것이다. 나는 유명한 무용가이자 배우, 그리고 모델이 되기를 몹시 갈망한다. 나는 다른 사람들의 이목이 나에게 집중되는 것을 좋아한다. 나는 춤을 통해서 다양한 부류의 사람이 될 수도 있고, 다양한 일도 할 수 있다. 세상에서 내가 가장 행복한 사람인 것 같다.
"나는 여러분이 단지 학습장애인이라고 하여 자기가 어느 분야에서 최고가 될 수 없다는 생각을 하지 않기를 바란다. 여러분 자신을 믿어라. 그러면 다른 사람도 여러분처럼 되기를 간절히 원할 정도로 여러분은 최고가 될 것이다!"
- Carremegan -
V. 맺음 말
특수교육 연구가 질적으로 향상되려면 무엇보다 교사의 장애아동에 대한 관심과 애정이 있어야 가능하다. 다른 것과는 달리 교육은 특히 특수교육은 아동에 대한 애정이 있어야 아동의 행동이 눈에 들어오게 되고 그 행동의 원인을 찾게 되며, 그 행동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론적 고민이 생기게 된다.
연구는 정확한 절차의 결과이지 상식적 판단의 결과가 아니다. 따라서 아동에 대한 애정을 갖되 애정에 파묻히는 교사가 되어서는 결코 연구를 할 수 없다. 역동적인 교실에서 함께 생활하는 교사가 교육자이자 연구자가 되려면 부단한 시간적 투자와 물질적 투자를 게을리 해서는 안 될 것이다.
연구는 거창한 것을 요구하지 않는다. 작으면서도 소중한 것들이 현장에 존재하고 있다. 그곳에서 교사인 우리는 승부를 걸어야 한다. 교사는 현장의 중인이다. 현장의 중인이 연구를 업으로 하는 교수같이 연구심을 갖는다고 한하면 특수교육의 생생한 방법론은 무수히 많이 나올 수 있을 것이다. 그래서 교사와 교수는 90°차이라는 말이 존재하는 것이다.
참고문헌
Bear, G. G., Cleaver, A., & Proctor, W. A. (1991). Self-perception of nonhandicapped children and children with learning disabilities. The journal of special education,24(4), 409~426.
Borg, W. R. (1987). Applying educational research : A practical guide for teachers(2nded.). Longman.
Buzzell, J. B., & Piazza, R. (1994). Case studies for teaching special needs and at-risk students, 9~12; 153~155. New York : Delmar.
Davis, C., Ferguson, D. L. (1992). Trying something completely different : Report of a collaborative research venture. In P. M. Ferguson, & S. J. Taylor(Eds.), Interpreting disability : A qualitative reader(pp. 124~144). New York : Teacher college press.
Eisner, E. W. (1985). The an of educational evaluation : A personal viern. London : The Palmer Press.
Guba, E. G., & Lincoln, Y. S. (1989). Fourth generation evaluation. Newbury Park, CA : Sage.
Lauren, J. (1997). Succeeding with LD : 20 The stories about real people with LD. Minneapolis : Free Spirit Pub. Inc.
Kerlinger, F. M. (1986). Foundations of behavior research(3rd ed). Holt, Rinehart, & Winston.
Patron, M.Q. (1990). Qualitative evaluation and research methods. Newbury Park, CA : Sage.
Steinback, S., & Steinback, W, (1988). Understanding and conducting qualitative research. Dubuque, IA : Kendall/Hunt.
예컨대, 나는 수학의 곱셈을 할 때 계산기를 사용하거나 곱셈표를 사용한다. 나는 읽기를 할 때 네 번에서 다섯 번 정도 반복해서 읽어야 한다. 반복해서 읽음으로써 나는 어려운 단어가 어떤 것인지를 어림할 수 있었고 단어들을 조합할 수 있게 되었다. 나는 소규모 학급에서 수업을 받게 됨으로써 내가 필요로 하는 관심을 받을 수 있었고, 지금은 나름대로의 역할을 하고 있다.
나는 현대 무용을 전공하고 있기 때문에 수강하는 과목도 이와 관련된 것들로서 두 과목은 발레와 관한 것이며, 한 과목은 재즈에 관한 것이다. 나는 무용을 배우던 초기에는 다른 학생들이 발 동작을 너무 잘 하였기 때문에 다소 위축되었었다. 나는 금년 들어서 "turn-out"과 "passe", 그리고 "plie" 등과 같은 모든 댄스 용어를 배웠다. 무용을 배우는 일은 정말 나에게는 근사한 일인 것 같다. 나는 내년에 한 작품의 안무를 담당하게 되는데, 다른 사람들로부터 나에 대한 평가를 받는다는 것이 다소 걱정이 된다.
하루를 정말 무용만을 위해서 열심히 보내기만 한다면, 무용은 나의 느낌을 표현하는 데 도움이 된다. 이제는 학교에서 집으로 돌아오면 지난날처럼 다른 모든 사람들에게 고함을 지르기보다는 무용 연습을 한다. 예술학교는 앞으로 나에게 보다 많은 기회를 안겨다 줄 것이다. 나는 유명한 무용가이자 배우, 그리고 모델이 되기를 몹시 갈망한다. 나는 다른 사람들의 이목이 나에게 집중되는 것을 좋아한다. 나는 춤을 통해서 다양한 부류의 사람이 될 수도 있고, 다양한 일도 할 수 있다. 세상에서 내가 가장 행복한 사람인 것 같다.
"나는 여러분이 단지 학습장애인이라고 하여 자기가 어느 분야에서 최고가 될 수 없다는 생각을 하지 않기를 바란다. 여러분 자신을 믿어라. 그러면 다른 사람도 여러분처럼 되기를 간절히 원할 정도로 여러분은 최고가 될 것이다!"
- Carremegan -
V. 맺음 말
특수교육 연구가 질적으로 향상되려면 무엇보다 교사의 장애아동에 대한 관심과 애정이 있어야 가능하다. 다른 것과는 달리 교육은 특히 특수교육은 아동에 대한 애정이 있어야 아동의 행동이 눈에 들어오게 되고 그 행동의 원인을 찾게 되며, 그 행동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론적 고민이 생기게 된다.
연구는 정확한 절차의 결과이지 상식적 판단의 결과가 아니다. 따라서 아동에 대한 애정을 갖되 애정에 파묻히는 교사가 되어서는 결코 연구를 할 수 없다. 역동적인 교실에서 함께 생활하는 교사가 교육자이자 연구자가 되려면 부단한 시간적 투자와 물질적 투자를 게을리 해서는 안 될 것이다.
연구는 거창한 것을 요구하지 않는다. 작으면서도 소중한 것들이 현장에 존재하고 있다. 그곳에서 교사인 우리는 승부를 걸어야 한다. 교사는 현장의 중인이다. 현장의 중인이 연구를 업으로 하는 교수같이 연구심을 갖는다고 한하면 특수교육의 생생한 방법론은 무수히 많이 나올 수 있을 것이다. 그래서 교사와 교수는 90°차이라는 말이 존재하는 것이다.
참고문헌
Bear, G. G., Cleaver, A., & Proctor, W. A. (1991). Self-perception of nonhandicapped children and children with learning disabilities. The journal of special education,24(4), 409~426.
Borg, W. R. (1987). Applying educational research : A practical guide for teachers(2nded.). Longman.
Buzzell, J. B., & Piazza, R. (1994). Case studies for teaching special needs and at-risk students, 9~12; 153~155. New York : Delmar.
Davis, C., Ferguson, D. L. (1992). Trying something completely different : Report of a collaborative research venture. In P. M. Ferguson, & S. J. Taylor(Eds.), Interpreting disability : A qualitative reader(pp. 124~144). New York : Teacher college press.
Eisner, E. W. (1985). The an of educational evaluation : A personal viern. London : The Palmer Press.
Guba, E. G., & Lincoln, Y. S. (1989). Fourth generation evaluation. Newbury Park, CA : Sage.
Lauren, J. (1997). Succeeding with LD : 20 The stories about real people with LD. Minneapolis : Free Spirit Pub. Inc.
Kerlinger, F. M. (1986). Foundations of behavior research(3rd ed). Holt, Rinehart, & Winston.
Patron, M.Q. (1990). Qualitative evaluation and research methods. Newbury Park, CA : Sage.
Steinback, S., & Steinback, W, (1988). Understanding and conducting qualitative research. Dubuque, IA : Kendall/Hunt.
추천자료
사회학의 개념과 주요특성 일반화와 주요이론 연구 방법 사회문화 교육
교육 연구 방법론에 관한 고찰
사회과 수준별학습(교육과정, 수업)의 정의와 특징, 사회과 수준별학습(교육과정, 수업)의 선...
지리교육(지리수업, 지리학습)의 개념과 내용, 지리교육(지리수업, 지리학습)의 지역화와 교...
초등학교 수학과(수학교육)의 이론, 초등학교 수학과(수학교육)의 내용체계, 초등학교 수학과...
심화보충형 수준별교육과정의 의미와 유형, 심화보충형 수준별교육과정의 연구사례와 운영시...
체육과학습(교육, 수업) 특성, 체육과학습(교육, 수업) 목표, 체육과학습(교육, 수업) 연구, ...
수준별교육과정(수업, 수준별학습)의 개념, 의의, 종류, 수준별교육과정(수업, 수준별학습) ...
교육 연구 방법론에 관한 고찰
사회성의 발달(사회성발달)의 의의,요인, 사회성의 발달(사회성발달)과 몬테소리교육, 장애아...
[진로상담이론] 홀랜드(홀란드/Holland) 성격이론의 이해와 한국 내담자에 대한 적용 가능성(...
[교육사의 연구와 접근방법] 교육사 연구의 필요성, 교육사의 영역과 접근방법
새터민을 위한 한국어 어휘 교육 방안 연구를 보고 자신이 생각하는 어휘교육의 방향이나 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