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태평양 및 우리나라 주변 해류와 기후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북태평양 및 우리나라 주변 해류와 기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양 고기압이 있는데 이들은 정체성 고기압으로 같은 장소에 오래 머물러 있으면서 계절에 따라 발달하거나 쇠약해진다. 시베리아 고기압에서 돌출된 고압부가 분리되어 생기는 이동성 고기압은 한랭 고기압으로 4∼5월에 우리나라로 이동해 오면 야간에 기온이 내려가 늦서리가 내리는 경우도 있으며 봄이나 가을철에 남쪽에서 이동해 오는 고기압이 우리나라를 덮고 있으면 온화한 기후가 나타난다.
3. 해류와 어장 형성은 어떤 관계에 있는지 설명하시오.
1) 용승 및 침강 https://www.google.co.kr/url?sa=t&rct=j&q=&esrc=s&source=web&cd=1&ved=0CBwQFjAA&url=http%3A%2F%2Fclassroom.re.kr%2Fuploadfile%2Fcontent%2Fcontent06%2Fsecond05%2Fdata07%2Fhwp%2F3-2%25ED%2595%25B4%25EC%2588%2598%25EC%259D%2598%2520%25EC%2588%259C%25ED%2599%2598.hwp&ei=NYyNVIGhKeTamAXEtoKQDA&usg=AFQjCNEP8y_D58jqbJMOv6_eIoc5ZhCoCA&bvm=bv.81828268,d.dGY&cad=rjt
바람, 지형, 위도에 따른 전향력 크기 변화 등에 의해 심층의 찬 해수가 표층으로 상승하는 현상을 용승, 표층의 해수가 하강하는 현상을 침강이라고 한다.
용승
북반구 해안에서 남풍이 불어 에크만 수송에 의해 표층 해수가 바다 쪽으로 이동하면 이동한 해수를 보충하기 위해 심해의 차가운 해수가 올라오는 현상 연안 용승이 일어나는 해역의 주변 지역은 안개가 끼고 서늘한 날씨가 이어진다. 한편, 심층수가 용승이 일어날 때 깊은 바닷물에 녹아 있던 많은 양의 영양 염류가 표층으로 운반되므로 용승이 있는 해역에서는 플랑크톤이 번성하고 어종이 증가하여 좋은 어장을 형성한다.
침강
해수 표면의 물이 해수면 아래로 내려가는 현상으로 북반구 해안가에서 북풍이 불면 해안 쪽으로 에크만 수송이 발생하고 해안가로 모인 해수는 침강한다.
2) 조경 수역 형성 http://newdle.noonnoppi.com/xmlView.aspx?xmldid=51581
한류와 난류가 만나는 해역을 조경 수역이라고 한다. 물빛이나 투명도의 차이 때문에 육안으로도 구분되며 조경을 사이에 두고 수온, 염분, 화학 성분이 급격히 변한다. 일반적으로 조경 수역에서는 바다의 상황이 시간과 장소에 따라 뚜렷한 변화를 보인다. 이 지역은 해류의 교란으로 인하여 영양염류가 떠오르고 플랑크톤이 많이 번식하기 때문에 어족이 풍부하다. 또한 해류의 흐름에 따라 난류성 어족과 한류성 어족이 풍부하여 좋은 어장이 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동해 어장도 한류인 북한 해류와 난류인 동한 해류가 만나기 때문에 한류를 따라 이동하는 명태, 청어, 대구 등과 난류를 따라 이동하는 오징어, 꽁치 등이 많이 잡힌다. 세계 3대 어장인 북서 태평양 어장, 북동 대서양 어장, 북서 대서양 어장 등도 조경 수역을 이루고 있는 좋은 어장이다.
  • 가격2,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4.12.30
  • 저작시기2014.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3983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