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와지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우주와지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해양과학사
2. 해저 지형과 해양퇴적물
3. 해수의 운동
4. 해양의 생물과 생태
5. 해양과 지구환경

본문내용

양의 해수 온도가 보통때 보다 5℃정도 낮아져 6개월 이상 지속되는 현상 : 즉 태평양 적도의 저온 현상
-보통 엘리뇨가 일어나기 전후에 무역풍이 강해지면서 발생 : 따뜻한 난수층이 서쪽에서 동쪽으로 점점 얇아짐
동태평양에서는 차가운 해수의 용승이 활발해져 저수온 현상 - ‘여자아이’
-남방진동과 관계, 엘리뇨 발생 때와는 정반대의 현상.
1. 생활 속의 기후
*인류의 문명과 기후
*대기 오염
*대기의 진화
*지구 기후의 특징
-금성 : hot, dry
-화성 : cold, dry
-지구 : warm, wet
:오존층, 대기의 순환, 온실효과
인류와 기후의 인류와 기후의 관계는?
4대 문명 이집트 문명(나일강), 메소포타미아문명(티그리스와 유프라테스 강), 인도문명(인더스 강), 황화문명(황화 강)
공통적으로 강을 끼고 있어 토지가 비옥하고 교통이 발달, 가장 중요한 것은 4대 문명발생지 모두 -※북위 30도 부근의 온대기후 대
But 현재 모두 황폐해져 더 이상 도시가 존재 하지 않게 되었다.
현대에 와서는 기후 예측에 활발한 연구.
금성 표면의 온도는 두꺼운 이산화탄소에 의한 온실 효과로 약 500℃ 정도에 달한다. 이와 같은 높은 온도에서는 물이 있었다 하더라도 이미 수증기로 변해 증발해 버렸을 것이다.
화성은 희박한 대기 때문에 열을 차단하거나 저장할 수 없다. 그 결과 낮에는 수십 도까지 올라갔다가 밤에는 영향 100도 이하로 떨어져, 낮과 밤의 기온 차가 매우 심하다. 또한 물이 있었더라도 기압이 낮아 외계로 달아나거나, 일부는 지하에 얼음의 형태로 존재할 수밖에 없다.
지구는 어떠한가? 지구는 생명체가 존재하고 또 번성할 수 있는 충분한 기후 조건을 가지고 있다. 즉 푸른 해양과 적당한 대기는 기후를 습윤하고 따뜻하게 유지시켜준다
대기중의 오존층은 태양으로 방출되는 유해파를 막아 준다.
대기의 순환과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에 의한 온실효과로 지구 대기는 생명체가 살 수 있는 일정한 온도로 유지되며, 해양은 생명체가 번성할 수 있는 적절한 환경이 된다.
Fig. 지구 대순환
(a) 지구의 자전이 없으며, 각 반구에 하나씩 큰 대류가 발생
(b) 3개의 대류세포로 나뉘며, 지표의 바람(무역풍, 편서풍, 극편동풍)
*세계의 주요 기후
-기후대 : 위도에 따라 대상 분포
-기후구 : 기후대의 세분화한 구역
*쾨펜(G.Koppen, 1846~1940)
-수목기후와 무수목기후로 나눈 후 강수량에 의해 구분
-열대기후, 건조기후, 온대기후, 냉대기후, 극(한대)기후
-다시 세분하여 11개의 기후구로 구분
2.기후계
*날씨와 일기(Weather)
-단기간의 지역적인 대기 상태
*기후(Climate)
-장기간의 지역적인 대기현상
-기후요소 : 기후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
-온도, 습도, 풍향, 운량, 강우, 전선, 토양수분, 불쾌지수
*5대 기후계
-기후 결정 요소
-대기권, 수권, 빙하권, 암석권, 생물권
*기후학(Climatology) : 기후의 분포, 형태, 변화 및 원인 기후에 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
①Atmosphere(대기권) => 기상학
②Hydrosphere(수권) => 해양학
③Cryosphere(빙하권) => 빙하학
④Lithosphere(암석권) => 지질학
⑤Biosphere(생물권) => 생태학
Atmosphere(대기권)
-지구를 둘러싸고 있는 공기 전체
-건조 공기(수증기제외, dry air), 습윤공기(수증기 포함, wet air)
-대기권의 구성물질
->고도 30km 이하에 99%존재(질소,산소)
-온도에 따른 구분
대류권(12km), 성층권(50km), 중간권(90km) 열권(권계면, 경계면)
*대기의 대순환
-대류세포 : 해들리, 훠럴, 극세포
-지상풍 : 무역풍, 편서풍, 극동풍
*지역풍
-해류풍, 산골바람, 높새바람(푄 현상)
3. 일기와 기상관측기기
*기단
-발생지의 열적 특성에 따라
: 열대(T, Tropical), 한 대(P, Polar)
-발원지의 종류에 따라
: 해양성(m, marine), 대륙성(c, continent)
ex) 열대해상 (mT), 대륙성 한 대 (cP)
-우리나라 주변에 분포하는 기단??
*고기압
-주위보다 상대적으로 기압이 높은 곳
-북반구 고기압 : 시계방향으로 불어 나감
-날씨 맑음
*저기압
-주위보다 상대적으로 기압이 낮은 곳
-북반구 저기압 : 반시계 방향으로 불어 들어옴
-구름 생성 비가 옴
-공기 상승->단열팽창->온도하강, 상대습도 증가->응결->구름
*기상관측기기
-온도계, 풍향계, 습도계, 우량계
-Doppler radar
-라디오존데
-비행기, 기상위성
1.태풍
*최대풍속이 32m/sec 이상
*직경 100~1,500km 이상
*바람은 반시계방향(북반구)으로 회전
*남반구는 시계방향
*중심기압 970hpa
*풍속 50m/sec - 100m/sec
태풍의 크기(규모)
태풍의 세기(강도)
단계
반경(풍속15m/s 이상)
구분
단계
중심최대풍속(초속,노트)
소형
300km 미만
열대
폭풍우

17.2~24.4 m/s (34~47knots)
중형
300~500km

24.5~32.6 m/s (48~63 knots)
대형
500~600km
태풍

32.7~43.9 m/s (64~85 knots)
초대형
800km 이상
초강
44 m/s 이상 (85 knots 이상)
2. 태풍의 발생장소
*북태평양 남부 서쪽 해상
*북위 : 5~25도 동경 : 120~170도
*시기 : 7월과 10월 사이에 발생
*7월부터 11월 사이에 발생
서-서북서 방향으로 진행
=>점차 북쪽으로 방향을 바꾸고
=>위도 30부근에서 전향
=>북동쪽으로 진행(우리나라, 일본 영향)
태풍 매미
14호 매미
2003. 9. 12
130명 사망 실종
4조 8천억원
이재민 12,000명
최대풍속 : 60m/sec
태풍의 이름
1953년
태풍합동경보센터
애인/부인 이름
1979년
여성단체들의 반발
남/녀 이름 교대로 사용
2000년
아시아 태풍위원회
아시아 14개국의 고유 이름 사용
대한민국 / 제비, 나리, 장미, 수달, 노루
북한 / 기러기, 도라지, 메아리, 갈매기
루사
말레이시아, 사슴이란뜻
프라피룬
태국, 비의 신이란뜻
  • 가격1,3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2.03.21
  • 저작시기2011.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3516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