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벽] 건축 재료의 분류와 구성 (건축재료 이론 총정리)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완벽] 건축 재료의 분류와 구성 (건축재료 이론 총정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건축재료 정의
2. 건축재료 종류
3. 건축재료 분류와 구성

본문내용

내에 존재하는 공기포, 이것은 건물에 문제를 발생시키기도 한다.
· 공기량 1%증가시
> 잔골재율을 0,5-1.0% 적게 할 수 있음
> 단위수량을 3% 적게 조정할 수 있음
> 압축강도 5%감소
6. 재료분리
· 정의 : 비벼진 콘크리트의 시멘트, 물, 골재의 구성 비율에 대한 균질성이 소실되는 현상( 즉 잘 섞이지 않는 것)
· 종류
1) 굵은 골재의 분리
굵은 골재와 모르타르의 밀도차, 유동특성의 차, 굵은골재 치수와 잔골재 치수의 차 등이 원인
단위수량이 클수록, 골재의 밀도차가 클수록 분리되기 쉬움
2) 시멘트페이스트 및 물의 분리 (빈번히 일어나는 현상)
블리딩 : 가벼운 물이나 미세물질이 상승하고 골재와 시멘트가 침하하는 현상
레이턴스 : 블리딩으로 인해 부항상 미립분이 침적(하나의 막이 형성되는 데 이곳에 마감을 하면 내구성, 마감성에 문제가 생김)된 것
3) 철근 상단 균열 (침하균열)상부 철근 배근모양에 따라 균열이 발생하는 현상, 즉 피복 두께가 적절하지 않을 때, 타설 후 30분 뒤에 발생하고, 다시 정리하면 괜찮아짐
7. 콘크리트 응결
1)슬럼프가 작을수록, 물시멘트비가 작을수록, 고온, 저습, 일사, 바람 등이 있을수록 빠르게 응결됨
2) 혼화체를 통해 응결속도를 제어 할 수 있음
8. 온도상승
1) 수화열 축적시 발생할 수 있음(댐 등의 시공시 주의 요망)2) 단위시멘트량, 콘크리트의 타설 및 양생온도, 타설속도, 단면의 크기 및 형상 등에 변화함
9. 경화 콘크리트
1) 구조재로서의 강도 발휘
2) 내구성능(중성화, 염해, 화학적 침식, 동결 융해, 알칼리 골재 반응)
3) 내화성
4) 수밀성
10. 특수콘크리트
1) 특수 외부환경에 부응하는 콘크리트
· 한중 콘크리트 : 추운날씨에 쓰는 콘크리트 평균4도 이하
· 서중 콘크리트 : 더운날씨에 “ 평균 25도 이상
cf> 위에 이 두 개를 많이 쓰는데 그러나 보통 겨울에 일반 콘크리트에 혼화재 섞어서 타설하고 발탄을 태우거나 온풍기를 틀어서 겨울에 타설한다!!
· 수중 불분리 콘크리트
· 루나 콘크리트
2) 고품질화 요구에 부응하는 콘크리트
· 유동화 콘크리트 : 복잡한 형상에 쓰이는 콘크리트로 워커빌리티가 높고, 초고층빌딩에도 쓰인다
· 고강도 콘크리트 : 일반아파트는 15-30·mpa쓰는데 지금은 270mpa까지 개발되었고 초코층에 쓰이고, 부재의 양을 줄일 수 있다
· 고내구성 콘크리트 : 오래 버티는 콘크리트, 주로 교량에 쓰인다
· 고인성 콘크리트
· 고점성 콘크리트
3) 특수 목적 및 용도에 부응하는 콘크리트
· 매스 콘크리트 : 부채의 최소크기가 80cm이상 , 온도차가 25도 이상일 때 쓴다, 즉 수화열과 관련있다
· 경량 콘크리트 : 초고층에서 윗층의 무게를 줄이기 위해 칸막이용으로 씀. 그러나 구조적인 것으로는 못쓴다
· 중량 콘크리트 : 차감성, 차폐성이 높고, 원자력발전소에서 위험물질의 이동을 최소화하기 위해 많이 쓴다
· 팽창 콘크리트
· 비폭렬 콘크리트
· 수밀 콘크리트
· 숏 콘크리트 : 도로공사에서 많이 쓰이는데, 뿜칠하는데 쓰는, 철골구조에 뿜칠을 해서 내구성 높이는 것
· 섬유보강 콘크리트 : 인장에 약한 콘크리트를 위해 인장력에 잘 견디기 위해 쓰이는 콘크리트
· 반쿠명 콘크리트 : 콘크리트 내부에 유리성 물질을 넣어 만든, 강도가 약함
11. 환경문제 해결에 부응하는 콘크리트
· 식생 콘크리트
· 질소산화물 흡수 콘크리트
· 향균 콘크리트
· 저소음 콘크리트
· 전파흡수 콘크리트
· 조습성 콘크리트
· 자원순환 콘크리트
* 시멘트 콘크리트 제품
1. 시멘트 제품 : 시멘트를 주요한 결합재로 하고 여기에 모래,자갈, 목편, 목모, 펄프 등의 골재를 배합하여 물과 혼합, 소요의 형상으로 성형하여 경화시킨 제품
2. 콘크리트 제품 : 콘크리트를 주요 재료로 하여 소용의 형상으로 공장에서 제조된 콘크리트 및 철근콘크리트의 부재
3. 용도에 의한 분류
· 바닥재 : 인조석판, 기성테라초등
· 벽재 : 테라초, 목모보드, 펄라이트판, 규산칼슘판, 콘크리트벽돌, 콘크리트블록, 콘크리트패널 등
· 천장재 : 목모보드, 펄라이트판, 규산칼슘판
· 지붕재 : 가압시멘트기와, 슬레이트 등
4. 제조방법에 의한 분류
5. 형상에 따른 분류
6. 치수에 따른 분류
7. 철근의 유무에 따른 분류
8. 시멘트 제품의 이용
1) 시멘트계 바닥용 인조석판 : 강의실 바닥
2) 기성테라초
3) 목모보드 : 나무+털...만들어 겹겹이 쓰면 방음성이 좋음
4) 펄라이트 판
5) 규산칼슘판
6) 가압시멘트판 기와 : 기와
7) 슬레이트 판 : 철판 같은 것
9. 콘크리트제품의 이용
1) 콘크리트 벽돌 : 회색벽돌, 아파트에 많이 씀, 하루에 120cm까지만 쌓을 수 있음
2) 콘크리트 블록 : 벽돌보다 큰, 담벼락에 쓰는 , 구멍사이에 철근 넣고 콘크리트 부어서, 하루에 높이 쌓을 수 있다
3) 경량기포 콘크리트(ALC) : 기포가 많아서 가벼운 것, 강도는 낮다
4) 압출성형 경량 콘크리트 패널 : 콘크리트 두 개 사이에 시멘트를 부어서 만든, 끼워넣기 식 공법으로 작업을 빨리 할 수 있음
5) 철근콘크리트 말뚝 : 아파트 공사에서 지반이 무를 때 쓴다
6) 콘크리트 커튼월
7) 보차도 블록
8) 호안 블록 : 방파제
9) 콘크리트 침묵 : 지하철 레일에 까는 것
* 강재
1. 철근콘크리트용 강재
1) 철근 - 원형철근(그냥 일자 철근), 이형철근(돌기가 나온 철근, 종류가 다양하다, 강도에 따라 색깔로 구분 됨 주로 노란색을 많이 쓴다), 고강도철근
2) 피아노선
3) 용접철망 : 철망위에 콘크리트 타설하는.
2. 강구조용 강재
1) 형강 : I형강 H형강 T형강, ㄷ형강, L형강 등..모양에 따라 구분하고 H형강이 좋음
2) 강판
3) 강관
4) 강널말뚝 : 흙막이 할 때 쓰는 것
3. 결합용재
1) 리벳 : 판과 판 사이에 박는 , 다리에 많이 쓰이는, 그러나 소음과 안전성 문제로 잘 안씀
2) 못
3) 볼트와 듀벨 ; 리벳보다 강함. 면과 면사이의 마찰력을 이용해 더 강함
4. 선재
1) 와이어라스
2) 와이어로프
3) 철선 : 철사
4) 가치철선
5) 용접봉
6) PC강선
  • 가격1,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15.01.01
  • 저작시기2014.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3994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