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행동과사회환경] 세월호 사고 이후 수학여행 유지, 폐지, 대체 방안 등에 대해 : 수학여행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인간행동과사회환경] 세월호 사고 이후 수학여행 유지, 폐지, 대체 방안 등에 대해 : 수학여행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세월호 사고 이후 수학여행에 대한 이슈

2. 수학여행 유지에 대한 의견

3. 수학여행 폐지에 대한 의견

4. 수학여행 대체 방안 - 농촌체험

5. 시사점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화를 종합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 되고, 전통문화에 대한 자긍심을 고취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농촌지역의 체험관광은 학교에서 효과적으로 실시할 수 없는 관련 학습이 가능하므로 인공 환경에서 벗어나 자연속에 몰입하여 자연 경관을 체험함으로써 청소년들의 환경 친화적 사고형성에도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5. 시사점
현재 실시되고 있는 수학여행은 각 학교에서 시·도 교육청의 운영지침을 참고하여 자체적으로 계획하고 실시하며, 실시계획, 계약 결과, 결과보고 등을 교육청 홈페이지에 게재 하도록 되어있다. 서울시교육청에서는 2011학년도부터 서울의 모든 초·중·고등학교가 학급별로 테마를 정하여 ‘소규모 테마형 수학여행’을 실시하도록 하여 학급마다 학생 자치활동을 통해 담임선생님과 학생들이 협의하여 수학여행의 장소와 기간, 프로그램을 선정하고 구성하도록 하고 있다. 수학여행의 내용면에서는 관광지 위주로 한 번에 여러 곳을 회유하는 탬버린형식의 관광형태로 인해 관광지에서 서비스의 질과 교육적 측면에서 부정적 효과가 나타나고 있어 학생이 참여해 활동할 수 있는 학습 체험활동 중심의 ‘체험형 여행’으로 변화되고 있다. 또한 수학여행의 규모면에서는 관광 성수기인 봄철과 가을철에 동일 장소에서 수백명 단위로 대이동을 하는 대규모 집단형에서 주제가 있는 ‘소규모, 테마형 여행’으로 변화하고 있는 추세이다.
Ⅲ. 결론
지금까지 본론에서는 세월호 사고 이후 수학여행 유지, 폐지, 대체 방안 등에 대해 서술해 보았다. 비행기를 타면 출발 전에 안전교육을 한다. 구명조끼가 어디에 구비 되어 있는지, 유독가스가 발생하면 호흡기가 어디에 위치하고 있는지, 비상문을 어떻게 여는지 등등 안전교육을 실시하고 있지만, 선박같은 경우는 출항하기 전에 주민등록번호와 이름을 작성 하는 것이 전부이다. 어디에 구명조끼가 있는지, 침몰위기가 닥쳤을 때 어떻게 해야 하는지 등 안전교육이 절실한 상황이다. 또한 이번 사고는 선장의 미친 판단으로 승객들이 선내에서 구명조끼를 입고 있었다. 이러한 짓은 희박한 탈출의 가능성마저도 없애버린 것이다. 보통 매뉴얼대로라면 침몰당시 갑판으로 모여 구명조끼를 착용하는 것이 원칙이다. 이처럼 선박의 안전교육을 실시를 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송윤석 외(2009). 재난관리론. 도서출판 동화기술.
한국청소년개발원(2003). 청소년 수련 활동론. 교육과학사.
경기도교육청(2012). 수학여행수련활동 등 현장체험학습 운영 지침.

키워드

세월호,   사고,   수학여행,   안전,   폐지,   여행,   대체,   수학,   활동,   체험

추천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5.01.13
  • 저작시기2015.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4029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