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망하는 향가이지만, 잣나무의 영원한 푸르름에 반하여 인간 마음의 변덕 스런 변화를 질타하는 내용도 담고 있다.
14. 우적가(遇賊歌)
작 가 : 영재
출 처 : 삼국유사
시 대 : 원성왕
형 식 : 10구체
특 징 : 삼국유사에 전하는 향가 중에는 불교의 포교담과 관련된 노래가 대부분이다. 포교를 전제로 한 설화이므로, 삼국유사에 전하는 향가는 강력한 교훈성을 갖게 된다. 이 「우적가」는 바로 그 대표적인 예라 할 수 있다.
이 야 기 : 영재는 90 가까운 노년에 은거처를 가다가 대현령에서 60인의 도둑을 만났다. 의연한 자세로 이 들을 대하고 우적가를 지어서 깨우치게 하고, 이들을 감화시켜 모두 그를 따라 지리산에 들 어가 불자가 되게 하였다.
지금까지 삼국유사에 수록된 향가를 중심으로 배경설화와 작품내용에 대해 알아보았다. 향가는 우리국문학의 뿌리이자 모태라고도 할 수 있는 장르이다. 비록 전해지는 향가의 수가 적다해도 지금도 향가의 배경설화나 노래에 담긴 정서는 자연스레 우리에게 공감을 불러일으키며 이런 문학적 자산 속에서 우리의 정서적 뿌리는 하나라는 것 또한 알게 되었다. 우리는 좀 더 향가에 대한 자부심을 갖고 문학유산으로 여겨야 할 것이다.
14. 우적가(遇賊歌)
작 가 : 영재
출 처 : 삼국유사
시 대 : 원성왕
형 식 : 10구체
특 징 : 삼국유사에 전하는 향가 중에는 불교의 포교담과 관련된 노래가 대부분이다. 포교를 전제로 한 설화이므로, 삼국유사에 전하는 향가는 강력한 교훈성을 갖게 된다. 이 「우적가」는 바로 그 대표적인 예라 할 수 있다.
이 야 기 : 영재는 90 가까운 노년에 은거처를 가다가 대현령에서 60인의 도둑을 만났다. 의연한 자세로 이 들을 대하고 우적가를 지어서 깨우치게 하고, 이들을 감화시켜 모두 그를 따라 지리산에 들 어가 불자가 되게 하였다.
지금까지 삼국유사에 수록된 향가를 중심으로 배경설화와 작품내용에 대해 알아보았다. 향가는 우리국문학의 뿌리이자 모태라고도 할 수 있는 장르이다. 비록 전해지는 향가의 수가 적다해도 지금도 향가의 배경설화나 노래에 담긴 정서는 자연스레 우리에게 공감을 불러일으키며 이런 문학적 자산 속에서 우리의 정서적 뿌리는 하나라는 것 또한 알게 되었다. 우리는 좀 더 향가에 대한 자부심을 갖고 문학유산으로 여겨야 할 것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