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전자파(파리와 전자레인지)
전자레인지의 전자파로 파리를 죽일 수 있을까요?
전자레인지의 가장자리는 전자파가 잘 미치지 않는다. 따라서 전자레인지 안에서 20초 동안 날아다니는 파리는 전자파로 잡을 수 없다.
모기의 대상 찾기(모기와 드라이아이스)
모기는 사람이 있는 것을 어떻게 알고 피르 빠는 걸까요?
모기는 사람이 숨을 쉴 때 나오는 이산화소로 사람이 있음을 알아차린다. 그런데 고체인 드라이아이스는 승화되면서 이산화탄소 기체로 상태가 변한다. 당연히 모기는 승화되는 드라이아이스에 몰려들게 된다.
파리 다리의 능력(파리를 헤어드라이어로?)
천장에 붙은 파리가 떨어지지 않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파리는 강한 바람을 감지하면 다리에 있는 끈적끈적한 부분을 이용하여 바싹 붙어 있게 된다. 따라서 꼼짝 않고 붙어 있는 파리를 진공청소기로 잡을 수 있다.
※ 과학성적 끌어올리기
* 개미
▶ 개미의 신체 : 개미는 몸의 길이가 1cm 정도이며 잘록한 허리를 하고 있다. 몸은 머리, 가슴, 배로 구분되며 더듬이가 있는데, 더듬이는 첫 번째 마디가 제일 길며 구부러져 있다.
▶ 개미의 생활 : 가족이나 친척들과 함께 생활. 여왕개미, 일개미인 여왕개미의 딸, 수컷인 수개미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모든 일개미들의 엄마가 같다고 할 수 있 다. 수개미는 짝짓기를 할 시기에만 부화되고 짝짓기가 끝나면 바로 죽는다.
▶ 개미의 천적 : 개미귀신.
* 파리
▶ 파리의 입 : 긴 관 모양. 이 관의 끝은 귓불 모양으로 생겼으며, 음식물을 빨아 먹는다. 이 빨이 없는 대신 혀가 있는데, 혀는 끈적거리는 액체로 뒤덮여 있다.
▶ 파리의 눈 : 수천 개의 렌즈가 모여 이루어지 겹눈과 홑눈 3개가 있다.
▶ 파리의 다리 : 몸통 중간에 세 쌍이 있다. 다섯 부분으로 나뉘어져 있고, 잔털이 나 있다.
이 잔털을 돋보기로 보면 작은 갈고리 모양이고 파리이 발바닥에는 발톱이 있고 그 아래에는 끈적거리는 용액을 뿜어내는 받침이 있다. 파리가 천장을 기어 다닐 수 있는 것은 갈고리같이 생긴 다리의 털과 끈적거리는 받침이 마치 문이나 오징어 다리의 빨판과 같은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 파리가 다리를 비비는 이유 : 다리에는 맛을 느끼는 기관이 있는데 다리털에 먼지 같은 이 물질이 묻게 되면 맛을 느끼기가 쉽지 않기 때문에 앞다리나 뒷다리를 비벼서 다리의 털을 깨끗하게 청소해주는 것이다.
* 바퀴벌레
▶ 바퀴벌레의 몸 : 암수 모두 밝은 황갈색이지만 암놈은 약간 검은색을 띤다. 암놈은 날개가 배 전체를 덮고 있고, 수놈은 배의 앞부분이 약간 튀어나와 있다. 바퀴벌 레는 한 마리의 암컷이 1년에 10만 마리까지 번식할 수 있는데, 유충(애 벌레)은 보통 성충(어른벌레, 자란벌레)이 될 때까지 여섯 번에서 열두 번 정도 껍질을 벗는다. 야행성으로 낮에는 주로 숨어 지내며 좁은 틈새에 몸 이 눌리는 것을 좋아한다.
▶ 바퀴벌레의 생활 : 집단으로 생활하며 동료의 사체나 ㅂ설물부터 사람의 타액 따위까지 먹 지 못하는 것이 없다. 새로운 음식을 먹을 때면 그전에 먹었던 소화되다 만 음식을 토해 놓기 때문에 식중독이나 알레르기 등 40여 종의 병원균을 옮기는 위험한 해충이다.
▶ 바퀴벌레의 서식지 : 원래 열대지방에 서식하기 때문에 습하고 따뜻한 곳을 좋아하지만 먹 이와 물만 있으면 어떤 상황에서도 살 수 있다.
* 모기
▶ 모기의 몸 : 다른 곤충처럼 머리, 가슴, 배 세 부분으로 나누어져 있다. 몸 전체가 많은 비 늘로 덮여 있으며, 머리에는 한 쌍의 더듬이, 한 쌍의 겹눈, 한 개의 아랫입술, 대롱 모양의 입이 있다.
▶ 모기의 다리 : 세 쌍의 다리가 있는데, 가늘고 길며, 각 다리는 넓적다리 마디, 종아리마 디, 발목마디의 세 부분으로 되어 있다. 첫째 발목마디는 종아리맏와 거의 같거나 더 길고, 다섯째 발목마디 끝에는 한 쌍의 발톱이 있다.
▶ 모기의 날개 ; 투명한데 날개의 뒤쪽 가장자리에 털 모양의 비늘이 있다. 뒷날개 한 쌍은 변형되어 평형감각을 느끼는 역할을 한다.
제2장 벌, 나비, 거미에 관한 사건
거미의 천적, 대모벌(대모벌과 흑거미)
왜 대모벌을 거미의 천적이라고 할까요?
거미의 약을 올려 자신에게 덤벼들게 만든 대모벌은 땅에 떨어진 거미에게 침을 놓아 거미를 잡아먹는다.
말벌과 꿀벌(꿀벌이 죽은 것은 말벌 때문이다)
말벌 30마리가 꿀벌 3만 마리의 싸움 상대가 될 수 있을까요?
꿀벌과 말벌이 싸우면 꿀벌은 절대 말벌을 이길 수 없다. 꿀벌의 침은 말벌의 외피를 통과할 수 없기 때문
전자레인지의 전자파로 파리를 죽일 수 있을까요?
전자레인지의 가장자리는 전자파가 잘 미치지 않는다. 따라서 전자레인지 안에서 20초 동안 날아다니는 파리는 전자파로 잡을 수 없다.
모기의 대상 찾기(모기와 드라이아이스)
모기는 사람이 있는 것을 어떻게 알고 피르 빠는 걸까요?
모기는 사람이 숨을 쉴 때 나오는 이산화소로 사람이 있음을 알아차린다. 그런데 고체인 드라이아이스는 승화되면서 이산화탄소 기체로 상태가 변한다. 당연히 모기는 승화되는 드라이아이스에 몰려들게 된다.
파리 다리의 능력(파리를 헤어드라이어로?)
천장에 붙은 파리가 떨어지지 않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파리는 강한 바람을 감지하면 다리에 있는 끈적끈적한 부분을 이용하여 바싹 붙어 있게 된다. 따라서 꼼짝 않고 붙어 있는 파리를 진공청소기로 잡을 수 있다.
※ 과학성적 끌어올리기
* 개미
▶ 개미의 신체 : 개미는 몸의 길이가 1cm 정도이며 잘록한 허리를 하고 있다. 몸은 머리, 가슴, 배로 구분되며 더듬이가 있는데, 더듬이는 첫 번째 마디가 제일 길며 구부러져 있다.
▶ 개미의 생활 : 가족이나 친척들과 함께 생활. 여왕개미, 일개미인 여왕개미의 딸, 수컷인 수개미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모든 일개미들의 엄마가 같다고 할 수 있 다. 수개미는 짝짓기를 할 시기에만 부화되고 짝짓기가 끝나면 바로 죽는다.
▶ 개미의 천적 : 개미귀신.
* 파리
▶ 파리의 입 : 긴 관 모양. 이 관의 끝은 귓불 모양으로 생겼으며, 음식물을 빨아 먹는다. 이 빨이 없는 대신 혀가 있는데, 혀는 끈적거리는 액체로 뒤덮여 있다.
▶ 파리의 눈 : 수천 개의 렌즈가 모여 이루어지 겹눈과 홑눈 3개가 있다.
▶ 파리의 다리 : 몸통 중간에 세 쌍이 있다. 다섯 부분으로 나뉘어져 있고, 잔털이 나 있다.
이 잔털을 돋보기로 보면 작은 갈고리 모양이고 파리이 발바닥에는 발톱이 있고 그 아래에는 끈적거리는 용액을 뿜어내는 받침이 있다. 파리가 천장을 기어 다닐 수 있는 것은 갈고리같이 생긴 다리의 털과 끈적거리는 받침이 마치 문이나 오징어 다리의 빨판과 같은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 파리가 다리를 비비는 이유 : 다리에는 맛을 느끼는 기관이 있는데 다리털에 먼지 같은 이 물질이 묻게 되면 맛을 느끼기가 쉽지 않기 때문에 앞다리나 뒷다리를 비벼서 다리의 털을 깨끗하게 청소해주는 것이다.
* 바퀴벌레
▶ 바퀴벌레의 몸 : 암수 모두 밝은 황갈색이지만 암놈은 약간 검은색을 띤다. 암놈은 날개가 배 전체를 덮고 있고, 수놈은 배의 앞부분이 약간 튀어나와 있다. 바퀴벌 레는 한 마리의 암컷이 1년에 10만 마리까지 번식할 수 있는데, 유충(애 벌레)은 보통 성충(어른벌레, 자란벌레)이 될 때까지 여섯 번에서 열두 번 정도 껍질을 벗는다. 야행성으로 낮에는 주로 숨어 지내며 좁은 틈새에 몸 이 눌리는 것을 좋아한다.
▶ 바퀴벌레의 생활 : 집단으로 생활하며 동료의 사체나 ㅂ설물부터 사람의 타액 따위까지 먹 지 못하는 것이 없다. 새로운 음식을 먹을 때면 그전에 먹었던 소화되다 만 음식을 토해 놓기 때문에 식중독이나 알레르기 등 40여 종의 병원균을 옮기는 위험한 해충이다.
▶ 바퀴벌레의 서식지 : 원래 열대지방에 서식하기 때문에 습하고 따뜻한 곳을 좋아하지만 먹 이와 물만 있으면 어떤 상황에서도 살 수 있다.
* 모기
▶ 모기의 몸 : 다른 곤충처럼 머리, 가슴, 배 세 부분으로 나누어져 있다. 몸 전체가 많은 비 늘로 덮여 있으며, 머리에는 한 쌍의 더듬이, 한 쌍의 겹눈, 한 개의 아랫입술, 대롱 모양의 입이 있다.
▶ 모기의 다리 : 세 쌍의 다리가 있는데, 가늘고 길며, 각 다리는 넓적다리 마디, 종아리마 디, 발목마디의 세 부분으로 되어 있다. 첫째 발목마디는 종아리맏와 거의 같거나 더 길고, 다섯째 발목마디 끝에는 한 쌍의 발톱이 있다.
▶ 모기의 날개 ; 투명한데 날개의 뒤쪽 가장자리에 털 모양의 비늘이 있다. 뒷날개 한 쌍은 변형되어 평형감각을 느끼는 역할을 한다.
제2장 벌, 나비, 거미에 관한 사건
거미의 천적, 대모벌(대모벌과 흑거미)
왜 대모벌을 거미의 천적이라고 할까요?
거미의 약을 올려 자신에게 덤벼들게 만든 대모벌은 땅에 떨어진 거미에게 침을 놓아 거미를 잡아먹는다.
말벌과 꿀벌(꿀벌이 죽은 것은 말벌 때문이다)
말벌 30마리가 꿀벌 3만 마리의 싸움 상대가 될 수 있을까요?
꿀벌과 말벌이 싸우면 꿀벌은 절대 말벌을 이길 수 없다. 꿀벌의 침은 말벌의 외피를 통과할 수 없기 때문
추천자료
[화학과 관련된 도서 읽고 독후감 쓰기] 『과학공화국 화학법정 - 3.물질의 성질』 _ 정완상 저 [요점정리]
[초등학교 국어과 수업지도안] 5-2-둘째마당 2. 차근차근 알아보며(1218) (정보 찾기 활동을 통한 비판적 읽기 능력 신장)
[책][독서][책읽기]도서(책)의 선택, 도서(책)의 유형, 독서(책읽기)의 목적, 독서(책읽기)의 기능, 독서(책읽기)의 영향 요인, 독서(책읽기)의 동기 유발, 독서(책읽기)의 방법, 독서록 작성 방법 및 제언 고찰
읽기지도(읽기교육) 특성, 읽기지도(읽기교육) 조건, 읽기지도(읽기교육)와 교사역할, 읽기지도(읽기교육)와 함께읽기, 읽기지도(읽기교육) 문제점, 읽기지도(읽기교육) 전략, 읽기지도(읽기교육) 방법과 제언
[서평] 고등학생이 쓴 독후감 40개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 4학년 읽기 교과서 제재 분석
[초등학교교육]초등학교의 예절교육, 초등학교의 기본생활습관교육, 초등학교의 정보통신윤리교육, 초등학교의 통일교육, 초등학교의 글쓰기교육, 초등학교의 글씨쓰기교육, 초등학교의 기본학습훈련 분석
초등독서 목록(1-6학년)
부모면담일지 - 만4세 1학기 부모면담일지 15명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