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공학> B1 쌍롤주조법에 의한 마그네슘 판재 제조 기술 (쌍롤주조법(Strip-Casting), 분석 절차, 정량분석, 정성분석, 향후 기술 개발 방향)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산업공학> B1 쌍롤주조법에 의한 마그네슘 판재 제조 기술 (쌍롤주조법(Strip-Casting), 분석 절차, 정량분석, 정성분석, 향후 기술 개발 방향)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1. 연구배경
 2. 연구 목적
 3. 쌍롤주조법(Strip-Casting)

Ⅱ. 특허분석
 1. 분석 절차
  1) 검색 식
  2) 다출원 5개 사 선정
 2. 정량분석
  1) 출원인 분석 - 랭킹분석
  2) 출원인 분석 - 시계열분석
 3. 정성분석
  1) 5개의 핵심 특허 선정
  2) 기준에 따른 특허별 분석
  3) 5가지 특허들의 비교 분석

Ⅲ. 향후 기술 개발 방향

Ⅳ. 참고 문헌

본문내용

도록 해주는 소제용 롤을 구비한 마그네슘 합금의 박판 주조기를 제조하는 데에 주요 목적을 두고 있다.
효과
- 최종 제품인 주현의 품질 향상시킬 수 있다.
- 소제용 롤을 주변의 표면 상태에 따라 선택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어, 작업 효율의 향상을 도모한다.
② 마그네슘합금의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마그네슘 합금 스트립(Method for manufacturing magnesium alloy and magnesium ally strip manufactured by the method)
등록번호 (일자)
1010960140000 (20111213)
출원번호 (일자)
10-2009-0063477 (20090713)
출원인
한국기계연구원
발명인
강석봉, 조재형, 김형욱, 공희병, 이새의
등록상태
등록
본 발명은 바닥면의 강한 집합 조직이 Mg합금의 상온 성형성을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할뿐더러 더욱 우수한 성형성을 가진 Mg합금 스트립을 제조하는데에 주요 목적을 두고 있다.
효과
- 성형성이 우수한 마그네슘 합금 스트립 제조
③ 수평식 쌍롤형 박판 주조기를 이용한 마그네슘 박판 주조시스템 (System of casting operation in manufacturing Mg strip with horizontal twin roll strip casting apparatus)
등록번호 (일자)
1011930640000 (20121015)
출원번호 (일자)
10-2004-0112549 (20041224)
출원인
주식회사 포스코
발명인
추동균, 성환진, 박우진, 정인호
등록상태
등록
☞ 종래기술
용탕주입노즐(11)을 통해 Mg을 공급하여 노즐셋백부(13)의 셋백을 형성하고, 응고 직전의 미 응고부가 상/하부구조롤(10)(10a)에 의해 냉각되면서 응고하여 박판주편(s)를 생산하는 기술이다.
본 발명은 보호가스의 비효율적 분사로 인한 제품의 품질이 악화되는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보완하고 있으며 용탕 보호용 가스관을 설치하여 체계적으로 보호가스가 분사되도록 하며 이에 따른 산화 및 발화 방지와 주편 품질을 향상시키는 데에 주요 목적을 두고 있다.
효과
- 주조 조업을 안정되게 한다.
- 주편 품질을 향상시키고 보호가스의 사용량을 최소화하며 주편 제조원가를 절감하게 한다.
- 주조기의 사용 공정의 경쟁력을 높일 수 있다.
마그네슘계 금속박판의 제조방법과 제조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THIN MAGNESIUM BASED ALLOY PLATE)
등록번호 (일자)
1009828610000 (20100910)
출원번호 (일자)
10-2007-7019274 (20070823)
출원인
곤다 긴조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발명인
하가도시오,요시다가즈나리, 곤다요시오
등록상태
등록
본 발명은 소성가공에 의해 마그네슘 또는 그 합금 박판을 효율적으로 제조하고 생산성이 우수한 마그네슘 또는 그 합금 박판 제조방법과 장치를 제공하며 변동하는 생산량 계획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제조 수단을 제공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하고 있다.
효과
- 압연시에 다시 열에너지 생성 공정이 불필요하다.
- 마그네슘계 금속 박판을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⑤ Production Method for Magnesium Alloy Material
등록번호 (일자)
07841380 (2010.11.30)
출원번호 (일자)
11630977 (2005.06.28)
출원인
Numano Masatada
발명인
Disanto; Frank.J, Krusos; Denis
등록상태
등록
본 발명은 표면 품질이 우수한 마그네슘 합금제를 안정적으로 제조할 수 잇는 마그네슘 합금재의 제조 방법을 이용하여 마그네슘 합금재, 주조재, 압연재를 제공하고 상기 압연재로 제조된 마그네슘 합금 성형품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주요 목적을 두고 있다.
효과
- 무한히 긴 장척인 주조재를 얻을 수 있어 대량생산이 가능하다.
- 용탕이 접촉하는 부분을 상기 저 산소재료로 형성하여, 2차 가공 실시 시 가공성의 저하 절감을 가능하게 한다.
3) 5가지 특허들의 비교 분석
① 유사성
마그네슘이 주재료이며 마그네슘 합금 판재를 생산하는 데에 있어서 쌍롤주조법이 5가지 특허들의 기본적인 배경 기술로 사용되었다.
② 차이점
보호가스의 효율적인 분사력, 소제용 롤 구비 및 성형성 증가 등에 따른 Mg 산화 방지 목적에 차이가 있다. 이 뿐만이 아니라 효율적인 2차 가공성의 목적과 생산성의 목적에 차이가 있다.
Ⅲ. 향후 기술 개발 방향
기존의 마그네슘은 고온에서 기계적인 성질이 부족하고 내식성이 부족하며 응용이 제한적이라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한계들을 보완할 수 있는 쌍롤주조 기술을 개발하여야한다. 이 뿐만이 아니라 생산 원가를 더욱 절감하고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금형 설계 초기부터 주조 조건 최적화 및 제품 품질 평가 단계에 이르기까지 공정조건을 최적화 시킬 수 있는 전산모사 전산모사(Simulation)는 과학과 공학 분야에서 이용되는 연구방법론의 하나로서 ‘계산과학’이라는 포괄적인 명칭으로 불리는 기술군이다.
의 기술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우리나라는 마그네슘을 전량 수입에 의존하며, 사용량은 점점 증가하여 회전되는 물량이 많아 질 것이다. 이를 회수하여 외화를 절약하고 자원 확보를 위한 리싸이클링 순환 구축이 필요하다고 본다. 여기에는 회수 시스템의 확립과 회수 처리 기술개발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Ⅳ. 참고 문헌
(1) ‘Industrial Production Technology for Magnesium Sheets ’ - RIST 硏論文 第 20 卷 第 4 號 (2006), 포스코 Mg 추진반
(2) ‘미래 수요용 제 2세대 Mg 소재 개발’ - posco 투자사업실 PPT발표 자료
(3) KIPRIS - 특허정보검색서비스 (www.kipris.or.kr) 사이트
(4) ‘마그네슘 산업과 기술동향’ - Kisti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5) ‘마그네슘 다이캐스팅 산업의 현황 및 전망’ - DIECASTINGNEWS 신광선 교수 (서울대)
(6) naver 용어 백과사전
  • 가격1,5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15.01.17
  • 저작시기2015.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4044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