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가상 전시회(특별전시회)] 「황해도 지역의 무신도」 <전시 1관> 주제: 천신(天神), <전시 2관> 주제: 지신(地神), <전시 3관> 주제: 장군(將軍)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나의 가상 전시회(특별전시회)] 「황해도 지역의 무신도」 <전시 1관> 주제: 천신(天神), <전시 2관> 주제: 지신(地神), <전시 3관> 주제: 장군(將軍)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나의 가상 전시회
-주제: 황해도 지역의 무신도-


기획의도
전시 주제




박순영 작가, 특별전시회 황해도 지역의 무신도

<전시 1관> 주제: 天神

작품명: 옥황상제
작품설명
작가설명

작품명: 일월성신
작품설명
작가설명

작품명: 용태부인
작품설명
작가설명

작품명: 칠성신
작품설명
작가설명


<전시 2관> 주제: 地神

작품명: 서낭
작품설명
작가설명

작품명: 글문신장
작품설명
작가설명


<전시 3관> 주제: 將軍

작품명: 성수
작품설명
작가설명

작품명: 작두장군
작품설명
작가설명

작품명: 호국장군
작품설명
작가설명

본문내용

이다. 또한 집안의 재앙을 물리치는 기능도 가지고 있다.
작가설명: 남성수와 여성수의 모습을 함께 그려보았다. 다른 표현으로 대신과 대신마누라라고도 한다. 두 작품을 마치 같은 공간인 것처럼 똑같은 배경을 사용하였는데, 뒤의 악사의 한복을 보면 알 수 있다. 한 손에는 부채를, 다른 한 손에는 방울을 들어 무당의 영험함을 표현하였다.
작품명: 작두장군
작품설명: 작두는 작두신령이나 장군님을 모시는 무당만이 소유하는 무구이다. 작두를 타면서 내리는 공수는 다른 때 내리는 공수보다 위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작두장군은 쌀이 든 용궁단지 위에 두 개의 작두 날을 세우고 그 위에서 맨발로 춤을 추는 모습으로 묘사된다.
작가설명: 각각 다른 필선으로 그려보고 싶었다. 첫 번째 그림은 화려하면서도 진중한 모습으로 그린 것이고, 두 번째 그림은 남신인 만큼 큰 필선과 강렬한 색채를 사용하였다. 마지막 그림은 여성스러운 분위기가 나게끔 분홍색과 보라색을 주로 사용하고 필선도 가늘게 그렸다.
첫 번째 작품의 장군은 홍치마에 오방색의 술이 달려있는 쾌자를 입었으며, 양 손에는 무구인 검을 들고 있다. 보통 무신도를 그릴 때는 주신을 크게 그리고 부수적인 신이나 사람은 작게 그리는 편인데, 두 번째 작품은 주신을 더욱 크게 그려 남성스러움을 강조하였다. 또한 바람에 의복이 휘날리게 그려서 남성스러움을 더욱 극대화시키려 하였다. 세 번째 작품은 전통적인 그림보다는 좀 색다르게 그려보려 시도한 것이다. 무신도에서 주로 쓰지 않는 색채들을 사용하였고 얼굴이나 신체도 이국적으로 그려보았다.
작품명: 호국장군
작품설명: 타국에서 들어온 장군신으로 나라를 지키고 국민의 어려움을 살펴준다.
작가설명: 각각 왜의 장군신과 청나라의 장군신이다. 위협적이고 사실적으로 그리기 보다는 해학성에 초점을 맞추었다. 첫 번째 작품은 화면 가득 청색의 안료로 구름을 표현하고 오른쪽 상단에 해를 그려서 타국에서 먼 길을 오는 모습을 표현하였다. 부리부리하고 치켜 올라간 눈에 이마와 볼에 진 주름은 해학성을 강조하기 위해 그린 것이다. 이 작품에서는 원색만을 사용하여 좀 더 강렬한 이미지를 나타내고자 하였다. 두 번째 작품은 청나라의 관모와 관복을 입은 장군이다. 등에 활을 메고 손에 칼을 들어 장군의 느낌이 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역시 첫 번째 작품과 마찬가지로 눈을 부리부리하고 치켜 올라가게 그렸다. 관우 장군을 모티브로 하여 그려 보았다.
  • 가격1,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5.01.20
  • 저작시기201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4050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