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개론] 문법 교육에 있어서 ‘귀납적 접근 방식’과 ‘연역적 접근 방식’을 비교 서술하고 문법 항목을 선정하여 수업 모형을 제시하십시오.
본 자료는 미만의 자료로 미리보기를 제공하지 않습니다.
닫기
  • 1
  • 2
  • 3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개론] 문법 교육에 있어서 ‘귀납적 접근 방식’과 ‘연역적 접근 방식’을 비교 서술하고 문법 항목을 선정하여 수업 모형을 제시하십시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연역적 접근 방식과 귀납적 접근 방식의 정의.

2. 연역적 접근 방식과 귀납적 접근 방식이 갖는 장점과 단점.
 연역적 접근 방식의 장단점
 귀납적 접근 방식의 장단점

3.각 방식의 장단점을 바탕으로 어떠한 수업에서 해당 방식을 취사선택하면 좋을지에 대해 판단하기

4.[‘안+동사'형태의 부정문]을 PPP(Presentation - Practice - Production) 모형과 연역적 방식으로 진행하기 (PPP모형을 활용한 교실 수업은 '도입 - 제시 - 연습- 생산 - 마무리'의 단계로 진행)참고문헌:

본문내용

X:TV 보기 O: 공부하기
④ X:잠자기 O:전화 통화하기
생산:‘안+동사\'형태의 부정문을 2문장 이상 사용하여 글을 써보세요.
예) 엄마는 아침 일찍 일어나세요. 그러나 저와 동생은 일찍 안 일어나요. 그리고 엄마는 아침밥을 먹어요. 저와 동생은 아침밥을 안 먹어요. 그래서 점심을 일찍 많이 먹어요.
마무리
‘안+동사\'형태의 부정문의 형태는 자신의 의지로 어떠한 행동이나 동작을 하지 않을 때 사용하는 표현입니다. 일상에서 사용 빈도가 높은 표현이니 자주 사용해 보세요.
참고문헌: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경희대학교 한국어 교육 연구회/한글파크
서강 한국어/ 서강대학교 출판부/김성희 외
연역적·귀납적 문법 지도 방식에 대한 중학생들의 문법 이해도 및 학습지속력에 관한 연구/국회 도서관/ 최여진(2011)
  • 가격3,000
  • 페이지수3페이지
  • 등록일2015.01.20
  • 저작시기2015.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4054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