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아서/-어서
1) 의미정보
2) 형태통사 정보
(1) 활용 및 문장구조 정보
(2) 제약정보
3) 화용정보
4) 교수방법
2. -으면 / –면
1) 의미정보
2) 형태통사 정보
(1) 활용 및 문장구조 정보
(2) 제약정보
3) 화용정보
4) 교수방법
Ⅲ. 결론
Ⅳ. 참고 문헌
Ⅰ. 서론
Ⅱ. 본론
1. -아서/-어서
1) 의미정보
2) 형태통사 정보
(1) 활용 및 문장구조 정보
(2) 제약정보
3) 화용정보
4) 교수방법
2. -으면 / –면
1) 의미정보
2) 형태통사 정보
(1) 활용 및 문장구조 정보
(2) 제약정보
3) 화용정보
4) 교수방법
Ⅲ. 결론
Ⅳ. 참고 문헌
본문내용
고 보면 그 사람은 무척 좋은 사람이에요.
그 외 일부 특별한 서술어 말하다 → 말하면, 알다 → 알고 보면, 살다 → 살다보면 으로 뒤 절의 내용에 대한 근거를 나타낼 때도 사용한다.
4) 교수방법
대상: 초급
학습목표: ‘-으면 / 면’의 의미를 알아보고 활용하여보기
문법 항목 유도하기
초급대상일 경우 규칙이나 문법용어를 제시하지 않고 개념을 이해시키기. 그림카드나 문장, 대화 등을 통해 제시하기.
문법 항목을 간단한 담화문으로 ‘-으면 / 면’ 의미를 알려하기
예) 강사: 날씨가 추워요. 그러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학생: 옷을 입어요. 따뜻한 차를 마셔요.
강사: 날씨가 추우면 옷을 입어요. 날씨가 추우면 따뜻한 차를 마셔요.
강사: 날씨가 더워요. 그러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청각자료 또는 시작 자료를 이용하여 ‘-으면 / 면’ 상황별 주제별로 들어보기
주어진 지시대로 어휘 만들기
-어휘카드 ‘가다, 오다, 읽다, 있다, 사랑하다’를 제시하고 ‘-으면 / 면 ’ 적용보기.
-어휘카드 ‘듣다, 낫다, 덥다, 짓다’를 제시하고 불규칙 활용과 제약 정보에 대한 알려주기
다양한 어휘 사용을 통해 창의적 문장 유도하는 연습하기
-단어 또는 그림을 제시하고 ‘-으면 / 면’ 문장을 스스로 만들어보기
화용정보를 바탕으로 대화연습하기
-조별 학생간의 질문과 대답하기, 교사와의 질문과 대답으로 오류 수정해주면 반복연습, 변형연습, 대화연습을 진행하기
학습 마무리
실제 생활에서의 의사소통능력 유도 또는 배양에 초점을 맞춘 과제 제시하기
Ⅲ. 결론
외국인이 한국어를 유창하게 정확하게 소통하기 위해서는 한국어 문법의 필요성은 말 할 필요가 없다. 그러나 이 어려운 문법을 어떻게 학습하느냐는 교사의 교안과 방법에 달렸다고 생각한다. 외국인을 위한 문법은 국문학적인 언어 체계와 규칙보다는 원활한 의사소통의 표현을 위한 어휘 문법, 덩어리 문법을 활용하여 실제 생활에 반영할 수 있도록 교수 방법을 제시한다면 한국어 학습자들에게 효과적인 학습 결과가 나올 것이라고 본다. 본인도 나름 간단하게 교수 방법을 제시하였지만 수업 내에서 일어나는 많은 변수와 제약으로 하나의 어휘 문법도 한정된 시간 안에 못 하는 경우가 많았다. 교사로써의 한국어 문법에 대한 부족함도 있을 것이며 그 교수 과정에서 많은 정보와 자료를 어떻게 효율적으로 제시하고 학습자의 흥미와 관심을 유도해야 할지도 고민해 볼 문제라고 본다.
Ⅳ. 참고 문헌
임동훈. 2008 한국어의 의미.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안경화. 2023. 외국어로서의 한국어문법교육론. 배론평생교육원
국립국어원 https://kcenter.korean.go.kr/kcenter/index
네이버 국어사전 https://ko.dict.naver.com/#/main
지도교수 평가의견:\'-으면/면,\'-아서/어서\'등에대해고민을많이하신것같습니다.문법의의미,형식,통사적특성등에대해자세히정리한점이좋았습니다.단,교수학습지도방법을언어기능별(말하기ㆍ듣기ㆍ읽기ㆍ쓰기)구체적으로제시하면더훌륭한과제가되겠습니다.수고하셨습니다.
그 외 일부 특별한 서술어 말하다 → 말하면, 알다 → 알고 보면, 살다 → 살다보면 으로 뒤 절의 내용에 대한 근거를 나타낼 때도 사용한다.
4) 교수방법
대상: 초급
학습목표: ‘-으면 / 면’의 의미를 알아보고 활용하여보기
문법 항목 유도하기
초급대상일 경우 규칙이나 문법용어를 제시하지 않고 개념을 이해시키기. 그림카드나 문장, 대화 등을 통해 제시하기.
문법 항목을 간단한 담화문으로 ‘-으면 / 면’ 의미를 알려하기
예) 강사: 날씨가 추워요. 그러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학생: 옷을 입어요. 따뜻한 차를 마셔요.
강사: 날씨가 추우면 옷을 입어요. 날씨가 추우면 따뜻한 차를 마셔요.
강사: 날씨가 더워요. 그러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청각자료 또는 시작 자료를 이용하여 ‘-으면 / 면’ 상황별 주제별로 들어보기
주어진 지시대로 어휘 만들기
-어휘카드 ‘가다, 오다, 읽다, 있다, 사랑하다’를 제시하고 ‘-으면 / 면 ’ 적용보기.
-어휘카드 ‘듣다, 낫다, 덥다, 짓다’를 제시하고 불규칙 활용과 제약 정보에 대한 알려주기
다양한 어휘 사용을 통해 창의적 문장 유도하는 연습하기
-단어 또는 그림을 제시하고 ‘-으면 / 면’ 문장을 스스로 만들어보기
화용정보를 바탕으로 대화연습하기
-조별 학생간의 질문과 대답하기, 교사와의 질문과 대답으로 오류 수정해주면 반복연습, 변형연습, 대화연습을 진행하기
학습 마무리
실제 생활에서의 의사소통능력 유도 또는 배양에 초점을 맞춘 과제 제시하기
Ⅲ. 결론
외국인이 한국어를 유창하게 정확하게 소통하기 위해서는 한국어 문법의 필요성은 말 할 필요가 없다. 그러나 이 어려운 문법을 어떻게 학습하느냐는 교사의 교안과 방법에 달렸다고 생각한다. 외국인을 위한 문법은 국문학적인 언어 체계와 규칙보다는 원활한 의사소통의 표현을 위한 어휘 문법, 덩어리 문법을 활용하여 실제 생활에 반영할 수 있도록 교수 방법을 제시한다면 한국어 학습자들에게 효과적인 학습 결과가 나올 것이라고 본다. 본인도 나름 간단하게 교수 방법을 제시하였지만 수업 내에서 일어나는 많은 변수와 제약으로 하나의 어휘 문법도 한정된 시간 안에 못 하는 경우가 많았다. 교사로써의 한국어 문법에 대한 부족함도 있을 것이며 그 교수 과정에서 많은 정보와 자료를 어떻게 효율적으로 제시하고 학습자의 흥미와 관심을 유도해야 할지도 고민해 볼 문제라고 본다.
Ⅳ. 참고 문헌
임동훈. 2008 한국어의 의미.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안경화. 2023. 외국어로서의 한국어문법교육론. 배론평생교육원
국립국어원 https://kcenter.korean.go.kr/kcenter/index
네이버 국어사전 https://ko.dict.naver.com/#/main
지도교수 평가의견:\'-으면/면,\'-아서/어서\'등에대해고민을많이하신것같습니다.문법의의미,형식,통사적특성등에대해자세히정리한점이좋았습니다.단,교수학습지도방법을언어기능별(말하기ㆍ듣기ㆍ읽기ㆍ쓰기)구체적으로제시하면더훌륭한과제가되겠습니다.수고하셨습니다.
추천자료
Topic: 국어 문법과 한국어 문법의 특징을 비교해보고 외국인 학습자에게 한국어 가르치는 방...
한국어문법교육론_ 비격식체 종결어미의 선행 교수
[인문과학] 외국어로서의 한국어문법교육론 ) 한국어능력시험 급별 기준 등을 찾아서 각급(1...
외국어로서의한국어문법교육론 ) 한국어 문법에서 문법 표현의 예를 둘 이상 들고 각 문법 표...
한국어문법교육론 ) 초급 한국어교육에서 문법항목 연결어미 중 ‘니까/으니까’와 ‘아/어서’의...
외국어로서의 한국어문법교육론 레포트<한국인을 대상으로 하는 문법서의 설명과 외국인을 위...
한국어문법교육론 ) 초급 한국어교육에서 문법항목 연결어미 중 니까으니까와 아어서의 차이...
한국어 교육에서는 선정된 문법항목에 대해 등급을 조절하여 단계적으로 교육에 적용합니다.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문법교육론 ) 한국어교육 중급에서 다루고 있는 연결어미 중 한 개를 선...
외국어로서의 한국어문법교육론 ) 한국어 교육 중급에서 다루고 있는 연결어미 중 한개를 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