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주요 산업에너지원과 소비 구조
2. 국내 산업에너지 소비 현황 (년도)
3. 세계 각국(주요국가)의 산업에너지 소비 현황
5. 주요기사
4. 한국과 세계각국의 산업에너지 소비현황 및 비중 비교
2. 국내 산업에너지 소비 현황 (년도)
3. 세계 각국(주요국가)의 산업에너지 소비 현황
5. 주요기사
4. 한국과 세계각국의 산업에너지 소비현황 및 비중 비교
본문내용
상대적으로 많이 늘어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2) 한국의 소비 행태와비교
-한국의 에너지 소비 행태를 다른 선진국과 비교해볼때 앞에서 확인한 바와같이
산업부문의 비중이 매우 높은것을 알수있었다. 이는 경제구조에서 제조업의 비중이 높고
또한 제조업에서 에너지 다소비업종의 비중이 높기 때문에 발생한 현상이다.
(3) 5개국의 에너지소비 현황(한.중.일.미국.인도)
(4) 결론
한국의 에너지는 국내 에너지 소비량의 대부분을 산업이 차지하고 있다. 산업부분이 산업수송 부분까지 포함하면 거의 대부분의 에너지를 산업부분에서 소비하며 나머지 전체 에너지 사용량의 약 1/2가량만이 가정 및 상업용으로 사용되고 있다는 것을 통계를 통하여 알 수 있다. 이처럼 대부분의 에너지를 산업에서 상용하는 현실에서 가정과 상업부분에서 에너지를 절약한다는 것은 에너지 절감에 영향이 거의 없을 것이라 생각된다. 이러한 이유로 에너지 절감을 위해서는 산업부분에서 소비되는 에너지를 절감하는 방법이 가장 효율적이라 생각된다. 가정과 상업부분에서 에너지소비를 줄이는 것은 사용량을 줄이는 방법이 있겠다. 가정과 상업부분에서 사용하는 에너지를 절약하는 것은 시설의 투자나 생활의 불편함을 생각한다면 극히 미미하거나 오히려 전체적 일의 능률이나 생활의 질을 통합하여 생각하였을 때 그 이익이 극히 적거나 오히려 손실의 여지가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반면에 산업부분에서 낙후한 설비의 교체를 통한 에너지 절약은 에너지 절감 시설과 낙후한 생산시설을 교체하는 부분에서의 당장의 비용은 많이 들지라도 그 이후 에너지 절감에서 오는 이익과 새로운 생산설비를 통한 생산성향상에 따른 장기적인 이익에 비하면 충분히 가능한 것이라 생각된다.
5. 주요기사
한국 에너지 소비 증가율 세계 9위
지난해 한국의 에너지 소비 증가율이 전세계 평균을 웃도는 3%를 기록했다.
영국의 BP가 12일 발표한 ‘2008 세계 에너지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주요 에너지 소비 증가율은 2.4%로 다소 둔화됐지만 한국은 세계 평균보다 높은 3%의 증가율을 나타냈다. 한국의 전체 에너지 소비량은 지난 2006년과 동일하게 전세계 소비의 2.1%를 차지해 미국ㆍ중국ㆍ러시아ㆍ일본ㆍ인도 등에 이어 세계 9위에 랭크되며 세계 10대 에너지 소비국임을 재차 확인했다. 이 가운데 원자력이 전세계 원자력에너지 가운데 가장 높은 5.19%를 차지했으며 석유ㆍ석탄ㆍ천연가스가 각각 2.72%, 1.88%, 1.26%를 기록했다.
한편 에너지 주요 소비국으로 떠오른 중국(홍콩 제외)의 에너지 소비 증가율은 미국(21.3%)에 이어 16.8%로 높은 증가율을 과시했다. 러시아가 6.2%로 뒤를 이었으며 일본(4.7%), 인도(3.6%) 순이었다.
토니 헤이워드 BP 회장은 “세계 에너지 시장은 수급 불균형으로 고유가 및 가격변동이 심하다”며 “에너지 안보 및 대체에너지 개발이 전세계 모든 국가의 주요한 정치적 어젠다가 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전세계 화석연료는 생산량 대비 충분한 매장량 수준을 보이지만 계속되는 수급 문제와 신흥시장에서의 높은 수요로 안정적인 에너지 확보전쟁이 일어나고 있다”고 덧붙였다.
BP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북해산브렌트유 평균 가격은 전년 대비 11% 상승한 배럴당 72.39달러로 12일 현재 135달러의 절반 수준이다. 원유 소비는 1.1% 증가한 반면 생산은 0.2% 하락한 것으로 드러났다. 지속적인 유가상승으로 석탄 소비는 4.5%나 늘어났다. BP는 “신재생에너지는 여전히 전체 에너지 소비의 작은 부분을 차지하지만 지난해 현저히 높은 생산율을 보였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인터넷한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2) 한국의 소비 행태와비교
-한국의 에너지 소비 행태를 다른 선진국과 비교해볼때 앞에서 확인한 바와같이
산업부문의 비중이 매우 높은것을 알수있었다. 이는 경제구조에서 제조업의 비중이 높고
또한 제조업에서 에너지 다소비업종의 비중이 높기 때문에 발생한 현상이다.
(3) 5개국의 에너지소비 현황(한.중.일.미국.인도)
(4) 결론
한국의 에너지는 국내 에너지 소비량의 대부분을 산업이 차지하고 있다. 산업부분이 산업수송 부분까지 포함하면 거의 대부분의 에너지를 산업부분에서 소비하며 나머지 전체 에너지 사용량의 약 1/2가량만이 가정 및 상업용으로 사용되고 있다는 것을 통계를 통하여 알 수 있다. 이처럼 대부분의 에너지를 산업에서 상용하는 현실에서 가정과 상업부분에서 에너지를 절약한다는 것은 에너지 절감에 영향이 거의 없을 것이라 생각된다. 이러한 이유로 에너지 절감을 위해서는 산업부분에서 소비되는 에너지를 절감하는 방법이 가장 효율적이라 생각된다. 가정과 상업부분에서 에너지소비를 줄이는 것은 사용량을 줄이는 방법이 있겠다. 가정과 상업부분에서 사용하는 에너지를 절약하는 것은 시설의 투자나 생활의 불편함을 생각한다면 극히 미미하거나 오히려 전체적 일의 능률이나 생활의 질을 통합하여 생각하였을 때 그 이익이 극히 적거나 오히려 손실의 여지가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반면에 산업부분에서 낙후한 설비의 교체를 통한 에너지 절약은 에너지 절감 시설과 낙후한 생산시설을 교체하는 부분에서의 당장의 비용은 많이 들지라도 그 이후 에너지 절감에서 오는 이익과 새로운 생산설비를 통한 생산성향상에 따른 장기적인 이익에 비하면 충분히 가능한 것이라 생각된다.
5. 주요기사
한국 에너지 소비 증가율 세계 9위
지난해 한국의 에너지 소비 증가율이 전세계 평균을 웃도는 3%를 기록했다.
영국의 BP가 12일 발표한 ‘2008 세계 에너지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주요 에너지 소비 증가율은 2.4%로 다소 둔화됐지만 한국은 세계 평균보다 높은 3%의 증가율을 나타냈다. 한국의 전체 에너지 소비량은 지난 2006년과 동일하게 전세계 소비의 2.1%를 차지해 미국ㆍ중국ㆍ러시아ㆍ일본ㆍ인도 등에 이어 세계 9위에 랭크되며 세계 10대 에너지 소비국임을 재차 확인했다. 이 가운데 원자력이 전세계 원자력에너지 가운데 가장 높은 5.19%를 차지했으며 석유ㆍ석탄ㆍ천연가스가 각각 2.72%, 1.88%, 1.26%를 기록했다.
한편 에너지 주요 소비국으로 떠오른 중국(홍콩 제외)의 에너지 소비 증가율은 미국(21.3%)에 이어 16.8%로 높은 증가율을 과시했다. 러시아가 6.2%로 뒤를 이었으며 일본(4.7%), 인도(3.6%) 순이었다.
토니 헤이워드 BP 회장은 “세계 에너지 시장은 수급 불균형으로 고유가 및 가격변동이 심하다”며 “에너지 안보 및 대체에너지 개발이 전세계 모든 국가의 주요한 정치적 어젠다가 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전세계 화석연료는 생산량 대비 충분한 매장량 수준을 보이지만 계속되는 수급 문제와 신흥시장에서의 높은 수요로 안정적인 에너지 확보전쟁이 일어나고 있다”고 덧붙였다.
BP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북해산브렌트유 평균 가격은 전년 대비 11% 상승한 배럴당 72.39달러로 12일 현재 135달러의 절반 수준이다. 원유 소비는 1.1% 증가한 반면 생산은 0.2% 하락한 것으로 드러났다. 지속적인 유가상승으로 석탄 소비는 4.5%나 늘어났다. BP는 “신재생에너지는 여전히 전체 에너지 소비의 작은 부분을 차지하지만 지난해 현저히 높은 생산율을 보였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인터넷한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추천자료
LED 제품과 시장 특성 및 LED 산업의 분야별 특성 분석 - 에너지 절약 사업, 환경친화적, 경...
[저탄소녹색성장]저탄소녹색성장에 대한 고찰 -이명박 정부 에너지 정책 -
뽀로로 성공 사례 분석 - 소비자 분석, 산업 분석, 환경 분석(SWOT, STP, 4P ) 등
SK에너지 기업분석 (제출용)
일본 신 재생 에너지 프로젝트
국제 에너지 수급현황 최종 발표
현대 소비자본주의 사회에서 여성의 몸을 둘러싼 억압들 예를들면 여성몸의 성 상품화 가정과...
2012년 동남아시아 인도네시아 화장품 산업과 화장품 시장, 한류현황, 소매시장, 소비자 분석...
중국의 에너지 현황과 정책
(가천대학교 사이버강의) <21세기 문화트렌드 읽기 학습저널> 5~7주차 (온라인 만화,만화트렌...
최근 서비스 산업(관광레저, 호텔, 레스토랑, 금융 또는 유형제품을 생산하는 제조업체에서의...
외식산업의이해=1. 1주일 동안의 외식활동 일지작성.본인이 직접 했던 외식활동의 모든 내역...
최근 서비스 산업(관광레저, 호텔, 레스토랑, 금융 또는 유형제품을 생산하는 제조업체에서의...
외식산업의이해)1주일 동안의 외식활동 일지 작성, 본인이 직접 했던 외식활동의 모든 내역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