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Ⅰ. 말레이시아
Ⅱ. 말레이시아의 정치제도
Ⅲ. 2018년 말레이시아 총선
Ⅳ. 참고문헌
Ⅰ. 말레이시아
Ⅱ. 말레이시아의 정치제도
Ⅲ. 2018년 말레이시아 총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수당의 당수가 총리가 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주지사는 지방의회의 다수당 당수가 그 직을 수행한다. 때문에 의원선거에서 낙선을 하게 되면 주지사에서도 물러나야 한다. 즉, 다수당의 위치가 무너지면 주지사와 주정부 내각이 교체된다는 특징을 갖는다.
Ⅲ. 2018년 말레이시아 총선
지난 5월 9일 14대 총선에서 독립이후 61년 만에 최초의 정권교체가 이뤄졌다. 개표 결과 신야권연합 희망연대와 시바지역 정당인 와리사당이 하원의석 124석을 확보하였다. UMNO를 주축으로 하던 집권여당연합 국민전선(BN)은 79석을 차지했다. 이로써 국민전선이 야당으로 밀려나게 됐다.
마하티르는 국민전선 소속으로 22년간 말레이시아를 통치하다, 야당연합으로 국민전선을 몰아내고 총리로 복귀하였다.
정권교체의 기쁨으로 말레이시아는 총선 이후 이틀간을 특별공휴일로 지정한 바 있다.
Ⅳ. 참고문헌
네이버 지식백과 말레이시아의 정치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177492&cid=40942&categoryId=40066
김홍구. \"동남아의 정치체제와 정치변동: 말레이시아와 태국 비교“ 아시아지역연구, 6 (2003):92-118.
프레시안 뉴스 - ‘뚜룬!’ 독립 후 첫 정권교체 이룬 말레이시아
http://www.pressian.com/news/article.html?no=197129&utm_source=naver&utm_medium=search
중앙일보 93세 마하티르 총리 복귀한다...말레이시아, 61년 만에 정권교체
http://news.joins.com/article/22609877
Ⅲ. 2018년 말레이시아 총선
지난 5월 9일 14대 총선에서 독립이후 61년 만에 최초의 정권교체가 이뤄졌다. 개표 결과 신야권연합 희망연대와 시바지역 정당인 와리사당이 하원의석 124석을 확보하였다. UMNO를 주축으로 하던 집권여당연합 국민전선(BN)은 79석을 차지했다. 이로써 국민전선이 야당으로 밀려나게 됐다.
마하티르는 국민전선 소속으로 22년간 말레이시아를 통치하다, 야당연합으로 국민전선을 몰아내고 총리로 복귀하였다.
정권교체의 기쁨으로 말레이시아는 총선 이후 이틀간을 특별공휴일로 지정한 바 있다.
Ⅳ. 참고문헌
네이버 지식백과 말레이시아의 정치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177492&cid=40942&categoryId=40066
김홍구. \"동남아의 정치체제와 정치변동: 말레이시아와 태국 비교“ 아시아지역연구, 6 (2003):92-118.
프레시안 뉴스 - ‘뚜룬!’ 독립 후 첫 정권교체 이룬 말레이시아
http://www.pressian.com/news/article.html?no=197129&utm_source=naver&utm_medium=search
중앙일보 93세 마하티르 총리 복귀한다...말레이시아, 61년 만에 정권교체
http://news.joins.com/article/22609877
추천자료
말레이시아-정치, 경제, 문화를 중심으로
말레이시아 개관 및 경제에 관한 고찰
말레이시아의 정치구조 분석
말레이시아, 스리랑카: 정치 경제 비교 분석
[비교발전행정론] 말레이시아
소논문) 에스와티니 정치
기독교의 정치개입 필요성에 관한 고찰 - 현대사회 불평등을 중심으로
교권과 세속권에 관한 고찰 - 권력을 위해 이용된 양검론과 법치주의 이론을 중심으로
[정치민주화][정치][민주화][정치민주화 장애요인][정치민주화 권력][정치민주화 지방정치][말레이시아 사례]정치민주화의 장애요인, 정치민주화의 권력, 정치민주화의 지방정치, 정치민주화의 말레이시아 사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