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장 다문화 가정 자녀를 위한 한국어 교육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16장 다문화 가정 자녀를 위한 한국어 교육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교육의 목표(박영순)
①목표 언어가 속해 있는 문화의 대략적인 특징을 이해
②어머니 나라의 문화와 목표 문화의 공통점과 차이점 이해
③문화저그로 조건화된 행동과 언어 표현에 대해 이해하고, 그에 알맞은 행동과 언어적 대응을 적절하게 할 수 있음
④자신의 문화와 언어에 대한 객관적 분석과 평가를 할 수 있고, 다른 언어와 문화를 비교 대조
⑤목표 언어가 속해 있는 문화적 관습이나 가치관에 따라 목표 언어를 적절하게 수행
⑥학습자 자신의 모국어 목표와 목표 언어 문화와의 공통점과 차이점의 이해를 통하여 두 언어문화에 대한 더 정확한 이해와 사용 능력을 향상
♠문화 교육의 목표
기초 과정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문화 항목(조항록)
한글의 창제, 한국어의 문자 체계, 가족 및 친척 호칭어, 경어법에 나타난 대인 관계 규범, 한국 음식, 한복, 한국의 계절과 날씨, 한국인의 사고방식에 대한 기초적인 이해, 한국인의 취미 및 여가, 웃어른에 대한 예절이나 식사, 초대 및 방문 예절, 주요 명승지 등 제시
♠학습자를 위한 문화 항목 한국어 문화 교육 내용(박영순)
유교적 사고방식, 감성과 인정주의, 효, 집단주의, 권선징악, 운명, 가족중심주의 등 한국 문화의 관념적 정체성과 관련 된 요소
한글, 태극기, 애국가, 무궁화, 김치, 한복, 온돌, 태권도 등 상징적 정체성과 관련된 요소
경어법, 속담, 관용어 등 언어적 정체성과 관련된 요소 등을 정리하여 제시
♠문화 관련 학습 요소 교수 방법
어머니 나라의 문화와 한국의 문화를 서로 비교하고 대조해 볼 수 있는 과제를 통해 문화에 대한 이해를 넓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
사회 언어학적 관점에서 화행을 통해 문화를 교육하는 방법
박물관이나 유적 및 명승지 탐방, 한국의 음식을 직접 만들어보고 먹게 하기, 전통놀이 체험, 한국에 있는 문화어 목록을 만들어 쉬운 것부터 체계적으로 가르치기 등 문화체험 및 현장 경험을 통한 학습
▣ 교육사회 시간 발표한 다문화 내용
국내 다문화 학생들 중 가장 심하게 차별을 받는 건 ‘코시안’ 즉 아시아계통 혼혈 자녀들이다.
이에 정부에서 내세운 방안들은 다음과 같다. 여성가족부 ‘무지개 job아라’ 프로그램을 통해 전국 4개 기관(서울, 부산, 익산, 수원)에서 자신의 진로를 탐색할 수 있는 과정과 개인의 욕구 등을 반영하여 체험할 수 있는 진로설계 과정을 마련, 교육부 기초학력 및 진로교육 강화를 위해 ‘한국어(KSL)’ 교육과정을 통해 한국어성취정도를 평가할 수 있는 측정도구를 개발·적용하고 한국어 습득 및 학업성취를 지원하고 있으며, 다문화학생의 기초학력 제고를 위한 대학생 멘토링을 실시하여 개별학습을 지원을 함.
다문화 교육에서는 다른 문화와 접촉하고, 상호작용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필수적인데, 대인 채널과 미디어를 포함한 커뮤니케이션의 장이 그 역할을 수행
특히 다문화 교육에서 미디어를 적절하게 활용하는 것이 유익
미디어는 가족, 학교 등과 더불어 다문화 사회 시민 교육을 위한 \'사회적 커리큘럼(societal curriculum)\'이라 불릴 정도로 중요
  • 가격3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9.10.27
  • 저작시기2019.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4081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