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들어가며
2. 장애아를 선택해서 낳을 것인가
3. 강화, 그리고 자녀를 디자인하는 것의 윤리적 문제
4. 우리는 어떤 공동체에서 살기를 원하는가-선물로서의 삶
2. 장애아를 선택해서 낳을 것인가
3. 강화, 그리고 자녀를 디자인하는 것의 윤리적 문제
4. 우리는 어떤 공동체에서 살기를 원하는가-선물로서의 삶
본문내용
만 우연히 태어난 아이는 ‘우연히’ 시작되었기 때문에 개인적인 계획 여하에 복속되지 않는다. 우리의 자아가 “우리가 통제할 수 없는 시작”에 달려 있다는 생각은, 인간은 어떻게 해서 비로소 인간이 되는가, 인간이 인간이 되는 조건이 무엇인가라는 물음에 깊은 울림을 준다. 샌델은 유전공학적 디자인과 강화의 움직임에 대해 “우연성을 없애고 출생의 신비를 정복하려는 충동은 아이를 디자인한 부모의 명예를 떨어뜨릴 뿐만 아니라 무조건적 사랑의 규범이 지해하는 사회적 관행으로서의 부모 됨을 부패시킨다.”(126)로 비판한다.
샌델은 논의의 출발이었던 ‘선물로 주어진 삶’이라는 개념으로 돌아온다. 자녀를 선물로 여기는 것은 그들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는 것이지 부모가 디자인해도 되는 대상이나 의지의 산물, 부모의 야망을 해결하는 도구로 보는 것이 아니다.(82) 이 문제는, 인간은 어떻게 인간이 되는가, 우리가 진정 살기 원하는 사회는 어떤 사회인가, 즉 세계에 대한 자세가 문제가 된다.
정복과 지배의 자세로, 인간의 권력과 성취가 선물로 주어진 것이라는 성격을 인식하지 못하게 되며, 주어진 것과 끊임없이 타협하는 것이 자유의 본질이라는 사실을 망각하게 될 것이다.
샌델은 논의의 출발이었던 ‘선물로 주어진 삶’이라는 개념으로 돌아온다. 자녀를 선물로 여기는 것은 그들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는 것이지 부모가 디자인해도 되는 대상이나 의지의 산물, 부모의 야망을 해결하는 도구로 보는 것이 아니다.(82) 이 문제는, 인간은 어떻게 인간이 되는가, 우리가 진정 살기 원하는 사회는 어떤 사회인가, 즉 세계에 대한 자세가 문제가 된다.
정복과 지배의 자세로, 인간의 권력과 성취가 선물로 주어진 것이라는 성격을 인식하지 못하게 되며, 주어진 것과 끊임없이 타협하는 것이 자유의 본질이라는 사실을 망각하게 될 것이다.
추천자료
[감상문] 생명의 윤리를 말하다 (Michael Sandel 저)
생명의 윤리를 말하다 독후감 마이클 샌델
죽음과 관련된 생명윤리적 문제들 (독후감 및 줄거리)
'인간생명의 시작은 어디인가'를 읽고
[죽음][사망][종교][장례][죽음 개념][죽음에 대한 두려움][죽음에 대한 태도][죽음 단계][죽음과 종교][신앙]죽음의 개념, 죽음에 대한 두려움, 죽음에 대한 태도, 죽음의 단계, 죽음과 종교(신앙)(죽음, 사망)
독후감 5종 세트 (이방인,인간실력,호밀밭의 파수꾼,살아 있는 자를 수선하기,동물농장)
바이오테크놀로지와 생명윤리 독후감
DNA, 더블댄스에 빠지다 독후감
『새롭게 알아야 할 의료윤리』독서 감상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