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1 대조분석의 의의
2.2 외국어 교육과 대조언어학의 효용성
3. 결론
4. 출처 및 참고문헌
2.1 대조분석의 의의
2.2 외국어 교육과 대조언어학의 효용성
3. 결론
4.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모국어로 하는 어린이들과 스페인어를 모국어로 하는 어린이들의 영어 습득에 대해 실험을 실시한 결과 두 집단이 차이가 거의 없음을 발견했다. 더 나아가 이를 10여 개의 다른 모국어를 사용하는 성인에게 동일한 방법으로 실험한 결과 동일한 결과를 얻었다. 즉, 모국어와 교육적 환경이나 조건이 다르더라도 습득 순서는 동일함을 알게 된 것이다(김진우 2002: 97ff).
그렇다면, 두 언어의 차이를 연구하는 대조언어학적 접근은 언어 습득에 아무런 도움을 주지 못하는 것인가? 그렇지 않다. 자세한 설명은 결론을 통해 서술하겠다.
3. 결론
대조언어학은 서로 다른 모국어 학습자가 외국어를 학습할 때 규칙을 바르게 학습하고 오류 양상의 차이를 발견한다는데서 유의미하다. 하지만 많은 교사는 이러한 대조언어학의 이론들이 현장에서는 큰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보고 있다. 그것은 언어 교육은 이론이 아니라 실제라고 여기기 때문이다. 그러나 대조언어학은 두 언어의 차이가 어디에 있는지를 알려주고 모국어와 차이에서 오는 어려움을 극복하는 데 도움이 되어 준다. 바로 이러한 점이 외국어 교육과 대조언어학의 효용성이라고도 할 수 있다.
4. 출처 및 참고문헌
HRD 용어사전 (사)한국기업교육학회
김방한(1991). 언어학 연구사. 서울대학교 출판부(대조언어학 이론의 흐름. 변광수) pp. 670~690
서정목(2009). 대조분석의 새로운 역할과 과제. 언어과학연구 50. 언어과학연구회
정규숙(1993). 「외국어 교육에서 대조언어학의 역할」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진우(2002). 第二語 習得硏究-現況과 展望, 한국문화사
그렇다면, 두 언어의 차이를 연구하는 대조언어학적 접근은 언어 습득에 아무런 도움을 주지 못하는 것인가? 그렇지 않다. 자세한 설명은 결론을 통해 서술하겠다.
3. 결론
대조언어학은 서로 다른 모국어 학습자가 외국어를 학습할 때 규칙을 바르게 학습하고 오류 양상의 차이를 발견한다는데서 유의미하다. 하지만 많은 교사는 이러한 대조언어학의 이론들이 현장에서는 큰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보고 있다. 그것은 언어 교육은 이론이 아니라 실제라고 여기기 때문이다. 그러나 대조언어학은 두 언어의 차이가 어디에 있는지를 알려주고 모국어와 차이에서 오는 어려움을 극복하는 데 도움이 되어 준다. 바로 이러한 점이 외국어 교육과 대조언어학의 효용성이라고도 할 수 있다.
4. 출처 및 참고문헌
HRD 용어사전 (사)한국기업교육학회
김방한(1991). 언어학 연구사. 서울대학교 출판부(대조언어학 이론의 흐름. 변광수) pp. 670~690
서정목(2009). 대조분석의 새로운 역할과 과제. 언어과학연구 50. 언어과학연구회
정규숙(1993). 「외국어 교육에서 대조언어학의 역할」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진우(2002). 第二語 習得硏究-現況과 展望, 한국문화사
추천자료
대조분석 오류분석 중간언어 가설의 차이점과 공통점을 설명하시오.-대조언어학레포트
현한국어를 대조언어학적 방법론에 기반하여 교육하였을 때 얻을 수 있는 장점을 구체적인 사례를 두 가지 이상 들어서 제시
오류 분석 연구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외국어습득론)
한국어와 영어의 관용표현의 비교
한중번역(중국어번역)의 순서, 문장성분, 한중번역(중국어번역)의 품사, 한중번역(중국어번역)의 수사법 활용, 한중번역(중국어번역)의 현황, 한중번역(중국어번역)의 문제점, 향후 한중번역(중국어번역) 전망 분석
『중국어권 학습자들의 발음 오류에 대한 언어 간 간섭 연구』 - 배제적 간섭과 침입적 간섭을 중심으로 -
외국어 교수론
한국어 교수 학습 방법론의 현황 및 과제
독일의 사회언어학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