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험 목적 -------------------------------------3
2 실험 배경 -------------------------------------3
3 실험 장비 -------------------------------------3
4 실험 과정 -------------------------------------3
5 실험 결과 및 분석 -----------------------------5
6 고찰 -----------------------------------------7
7 참고문헌 -------------------------------------8
2 실험 배경 -------------------------------------3
3 실험 장비 -------------------------------------3
4 실험 과정 -------------------------------------3
5 실험 결과 및 분석 -----------------------------5
6 고찰 -----------------------------------------7
7 참고문헌 -------------------------------------8
본문내용
c)는 이미 알고 있으므로 침투유량 q를 구할 수 있다.
4. 투수계수 산출
침투유량 산정 공식:
침투유량 산정 공식에서 실험에서 구한 침투유량(q), 수위차(), 수두손실 횟수(), 유선 채널의 수()를 대입하면 투수계수 k를 산출할 수 있다.
이는 모래의 합리적인 투수계수 값이다.
5. 간극비 산정
6. 정수위 투수 시험을 통해 산정한 투수계수와 비교 분석
① 정수위 투수 시험에서 구한 투수계수, 간극비 값
평균 k=0.1463으로 산정되었다.
=2.65, V= (8*8.1*20) =1296, WS= 1895.82g
= / V, = 1895.82/1296 = 1.46g/
= rw /(1+e),
e =0.815
② 유선망 시험에서 구한 투수계수, 간극비 값 값
,
정수위 시험과 비교하였을 때, 유선망 시험에서의 간극비는 0.005만큼 크며, 투수계수는 0.0407만큼 크다. 유선망 시험에서의 투수계수가 더 큰 이유는 정수위 시험에서의 흙의 간극비보다 유선망 시험에서의 흙의 간극비가 더 크므로 물이 통과 속도가 클 수밖에 없는 비례관계를 가지기 때문이다. 또한, 정수위 시험에서의 흙의 부피보다 유선망 시험에서의 흙의 부피가 약 2배 컸으므로 흙을 균일하게 분배해주기 위해 다지기가 힘들어 간극이 더 컸을 거 같다고 생각하였다.
추가로 정수위 시험에서의 투수계수와 유선망 시험에서의 투수계수 값을 보았을 때 순 모래와 자갈이 섞인 사질토라는 것을 알 수 있다.
[흙의 투수계수 개략치와 결정법] 서울특별시 빗물 관리 기본계획 2013.06.28
Ⅵ. 고찰
이번 시험은 정수위 투수시험과 동일한 정수위 수조를 가지고 흙에 잉크를 주입하여 유체가 상류에서 하류로 가는 움직임을 육안으로 자세히 알아볼 수 있게 유선망을 작도하는 시험이었다. 유선망 시험을 통해 수두 손실 횟수 , 유선 채널 수 를 구할 수 있었고, 침투유량 산정 공식을 이용하여 흙의 투수계수까지 산출할 수 있었다. 산출된 투수계수 값은 0.187cm/sec로 순 자갈 섞인 모래로 흙의 종류를 판별할 수 있었다.
1. 한계점
- 상류에서 하류로 이동하는 물감의 번짐 폭이 커서 정확한 중앙점을 표시하는 것이 불가능하였고, 시간이 지날수록 유선망이 물의 흐름에 따라 변화하여 오차가 발생하였다.
실험과정 ③에서 공기 제거를 위해 아크릴 막대로 휘저었는데, 이 때 공기 제거가 충분히 되지 않았을 가능성이 있다.
유선망을 작도할 때 선이 아닌 점을 찍어서 작도하였기 때문에 정확한 유선망이 그려지지 않았을 수 있다.
깔때기를 흙에 꽂을 때, 흙의 파임이 발생하였다. 이는 고르게 조성되어있던 흙 표면을 불규칙하게 만들어 흐름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있다.
정수위 시험의 투수계수 값과 차이가 났는데, 밸브를 열고 닫는 시간이 정확하게 측정이 되지 않아 차이가 나는 결과가 발생했다고 예상할 수 있다.
Ⅶ. 참고문헌
- 우상인, 박정희 교수님. 제 11장 유선망 시험 강의록. (2023)
- 우상인 교수님. 제 5장. 지하수의 흐름(투수). (2022)
서울특별시 빗물 관리 기본 계획
4. 투수계수 산출
침투유량 산정 공식:
침투유량 산정 공식에서 실험에서 구한 침투유량(q), 수위차(), 수두손실 횟수(), 유선 채널의 수()를 대입하면 투수계수 k를 산출할 수 있다.
이는 모래의 합리적인 투수계수 값이다.
5. 간극비 산정
6. 정수위 투수 시험을 통해 산정한 투수계수와 비교 분석
① 정수위 투수 시험에서 구한 투수계수, 간극비 값
평균 k=0.1463으로 산정되었다.
=2.65, V= (8*8.1*20) =1296, WS= 1895.82g
= / V, = 1895.82/1296 = 1.46g/
= rw /(1+e),
e =0.815
② 유선망 시험에서 구한 투수계수, 간극비 값 값
,
정수위 시험과 비교하였을 때, 유선망 시험에서의 간극비는 0.005만큼 크며, 투수계수는 0.0407만큼 크다. 유선망 시험에서의 투수계수가 더 큰 이유는 정수위 시험에서의 흙의 간극비보다 유선망 시험에서의 흙의 간극비가 더 크므로 물이 통과 속도가 클 수밖에 없는 비례관계를 가지기 때문이다. 또한, 정수위 시험에서의 흙의 부피보다 유선망 시험에서의 흙의 부피가 약 2배 컸으므로 흙을 균일하게 분배해주기 위해 다지기가 힘들어 간극이 더 컸을 거 같다고 생각하였다.
추가로 정수위 시험에서의 투수계수와 유선망 시험에서의 투수계수 값을 보았을 때 순 모래와 자갈이 섞인 사질토라는 것을 알 수 있다.
[흙의 투수계수 개략치와 결정법] 서울특별시 빗물 관리 기본계획 2013.06.28
Ⅵ. 고찰
이번 시험은 정수위 투수시험과 동일한 정수위 수조를 가지고 흙에 잉크를 주입하여 유체가 상류에서 하류로 가는 움직임을 육안으로 자세히 알아볼 수 있게 유선망을 작도하는 시험이었다. 유선망 시험을 통해 수두 손실 횟수 , 유선 채널 수 를 구할 수 있었고, 침투유량 산정 공식을 이용하여 흙의 투수계수까지 산출할 수 있었다. 산출된 투수계수 값은 0.187cm/sec로 순 자갈 섞인 모래로 흙의 종류를 판별할 수 있었다.
1. 한계점
- 상류에서 하류로 이동하는 물감의 번짐 폭이 커서 정확한 중앙점을 표시하는 것이 불가능하였고, 시간이 지날수록 유선망이 물의 흐름에 따라 변화하여 오차가 발생하였다.
실험과정 ③에서 공기 제거를 위해 아크릴 막대로 휘저었는데, 이 때 공기 제거가 충분히 되지 않았을 가능성이 있다.
유선망을 작도할 때 선이 아닌 점을 찍어서 작도하였기 때문에 정확한 유선망이 그려지지 않았을 수 있다.
깔때기를 흙에 꽂을 때, 흙의 파임이 발생하였다. 이는 고르게 조성되어있던 흙 표면을 불규칙하게 만들어 흐름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있다.
정수위 시험의 투수계수 값과 차이가 났는데, 밸브를 열고 닫는 시간이 정확하게 측정이 되지 않아 차이가 나는 결과가 발생했다고 예상할 수 있다.
Ⅶ. 참고문헌
- 우상인, 박정희 교수님. 제 11장 유선망 시험 강의록. (2023)
- 우상인 교수님. 제 5장. 지하수의 흐름(투수). (2022)
서울특별시 빗물 관리 기본 계획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