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첫 번째 주제는 공공성에 관해서입니다. 막스 베버의 「관료제」, 에밀 졸라의 「나는 고발한다」에서 공과 사, 공공성 주제를 직‧간접적으로 다루고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세부주제들을 고민하기 바랍니다.
(1) 베버가 「관료제」에서 직접 언급하였거나 암묵적 혹은 간접적으로 생각하는 공과 사, 공적 윤리와 사적 윤리, 공공성에 대해 논의하기 바랍니다. 논의를 전개하는데, 「관료제」에서 직접 인용을 하여도 좋습니다.
(2) 졸라가 「나는 고발한다」에서 직접 언급하였거나 암묵적 혹은 간접적으로 생각하는 공과 사, 공적 윤리와 사적 윤리, 공공성에 대해 논의하기 바랍니다. 논의를 전개하는데, 「나는 고발한다」에서 직접 인용을 하여도 좋습니다.
(3) 오늘날 밀, 베버 그리고 졸라의 공과 사, 공적 윤리와 사적 윤리, 공공성 등에 관한 논의에서 우리에게 던져주는 교훈, 함의, 그리고 시사점은 무엇인지 진지하게 논의하시오.
두 번째 주제는 ‘민주주의’와 ‘공공성’에 관해서입니다. 다음과 같은 세부주제에 대해 고민해보시기 바랍니다. 김영평 외 6인의 「민주주의는 만능인가?」는 크게 도움이 될 것입니다.
(1) 철학과 사상의 관점에서 민주주의와 공공성은 양립할 수 있는 것일까요? 서로 상충되는 지점은 없을까요? 전체주의, 권위주의, 봉건주의 등 다른 정치체제에 비하여, 민주주의의 어떤 특성이 공공성에 긍정적 영향과 효과를 줄 수 있을까요?
(2) 우리 사회에서 민주주의가 반드시 공공성의 실현에 기여하고 있는가요? 그렇지 않다면, 어떤 정책적 노력이 필요할까요? 예시를 통해 논의를 전개하여도 좋습니다. 심도 있게 논의하기 바랍니다.
세 번째 주제는 에밀 졸라의 ‘지식인의 역할’에 관해서입니다. 다음과 같은 세부주제들을 고민하기 바랍니다. 분량은 1쪽입니다.
(1) 「나는 고발한다」에서 졸라가 생각하는 ‘지식인은 사회적 위치와 역할은 무엇이어야 하는지’에 대해 심도 있게 논의하시오. 논의를 전개하는데, 「자유론」에서 직접 인용을 하여도 좋습니다.
(2) 더불어, 졸라의 지식인에 관한 관점과 생각이 오늘날 우리 사회와 지식인에게 던져주는 교훈, 함의, 그리고 시사점은 무엇인지 진지하게 논의하시오.
(1) 베버가 「관료제」에서 직접 언급하였거나 암묵적 혹은 간접적으로 생각하는 공과 사, 공적 윤리와 사적 윤리, 공공성에 대해 논의하기 바랍니다. 논의를 전개하는데, 「관료제」에서 직접 인용을 하여도 좋습니다.
(2) 졸라가 「나는 고발한다」에서 직접 언급하였거나 암묵적 혹은 간접적으로 생각하는 공과 사, 공적 윤리와 사적 윤리, 공공성에 대해 논의하기 바랍니다. 논의를 전개하는데, 「나는 고발한다」에서 직접 인용을 하여도 좋습니다.
(3) 오늘날 밀, 베버 그리고 졸라의 공과 사, 공적 윤리와 사적 윤리, 공공성 등에 관한 논의에서 우리에게 던져주는 교훈, 함의, 그리고 시사점은 무엇인지 진지하게 논의하시오.
두 번째 주제는 ‘민주주의’와 ‘공공성’에 관해서입니다. 다음과 같은 세부주제에 대해 고민해보시기 바랍니다. 김영평 외 6인의 「민주주의는 만능인가?」는 크게 도움이 될 것입니다.
(1) 철학과 사상의 관점에서 민주주의와 공공성은 양립할 수 있는 것일까요? 서로 상충되는 지점은 없을까요? 전체주의, 권위주의, 봉건주의 등 다른 정치체제에 비하여, 민주주의의 어떤 특성이 공공성에 긍정적 영향과 효과를 줄 수 있을까요?
(2) 우리 사회에서 민주주의가 반드시 공공성의 실현에 기여하고 있는가요? 그렇지 않다면, 어떤 정책적 노력이 필요할까요? 예시를 통해 논의를 전개하여도 좋습니다. 심도 있게 논의하기 바랍니다.
세 번째 주제는 에밀 졸라의 ‘지식인의 역할’에 관해서입니다. 다음과 같은 세부주제들을 고민하기 바랍니다. 분량은 1쪽입니다.
(1) 「나는 고발한다」에서 졸라가 생각하는 ‘지식인은 사회적 위치와 역할은 무엇이어야 하는지’에 대해 심도 있게 논의하시오. 논의를 전개하는데, 「자유론」에서 직접 인용을 하여도 좋습니다.
(2) 더불어, 졸라의 지식인에 관한 관점과 생각이 오늘날 우리 사회와 지식인에게 던져주는 교훈, 함의, 그리고 시사점은 무엇인지 진지하게 논의하시오.
본문내용
관한 관점과 생각이 오늘날 우리 사회와 지식인에게 던져주는 교훈, 함의, 그리고 시사점은 무엇인지 진지하게 논의하시오.
오래 전부터 한국 사회에서는 지식인의 위기라는 표현이 사용되어 왔다. 보편적 가치를 추구하며 사회 발전에 중요한 아젠다를 제시하기보다는 권력과 결부하여 때로는 자신의 양심에도 어긋나는 메시지를 내는 지식인들을 보며 많은 이들이 실망감을 느끼고 있다. 지식인은 자유로운 의식을 바탕으로 보편적 가치를 추구하는 특수한 존재론적 사명을 지닌다. 이러한 사명을 다하지 못한다면 지식인은 더 이상 지식인으로서 존경받을 수 없다. 에밀 졸라와 같은 인물이 없었다면 오늘날 프랑스는 선진국은커녕 부정부패가 만연한 국가가 되었을 것이다. 한국 또한 마찬가지이다. 지금과 같은 지식인의 위기가 지속된다면 한국은 과거와 같은 영광스러운 사회 발전을 이루어낼 수 없을 것이다. 에밀 졸라의 삶을 바라보며 한국의 지식인들은 스스로 반성의 시간을 가져야 할 것이다. 정의를 위해 투쟁하기보다는 불의에 눈감고 편안한 삶을 택한다면 이는 지식인으로서의 역할을 포기하는 것과도 다름이 없다. 지식인으로서 자신에게 주어진 소명이 무엇인지 끊임없이 고민하고 그것을 하나하나 실천해나가는 노력이 필요하다. 이러한 지식인이 늘어난다면 우리 사회에서도 머지않아 지식인의 위기라는 표현이 완전히 사라질 것이라 생각한다. 더 나아가 사회적으로 지식인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인식하는 계기를 마련함으로써 대중들에게도 지식인의 역할에 대해 인식할 수 있는 소중한 기회가 되리라고 생각한다.
참고문헌
- 에밀 졸라(2005). 나는 고발한다. 책세상
- 김동노(2014). 개인주의, 공동체주의, 그리고 한국사회의 공공성. 사회이론 제45호, pp.77~108
- 송덕호(2022). 사법적 판단의 오류에 관한 고찰: 프랑스 <칼라스 사건>과 <드레퓌스 사건>을 중심으로. 법학연구 제68집, pp.65-86
- 성일권(2010). 프랑스 지식인들의 탈(脫)자본 국제주의 운동: 대안 세계화 운동을 중심으로. 유럽연구 제28권제2호, pp.127-150
- 이문수(2010). 행정 관료에게 주체적 윤리란 무엇인가?: Max Weber, 행정개혁론자의 윤리론에 대한 대안으로서의 Michel Foucault 윤리론에 대한 시론적 연구. 정부학연구 제16권제2호, pp.211-239
- 이유선(2012). 공공성과 민주주의의 가능성. 사회와철학 제24호, pp.51-78
오래 전부터 한국 사회에서는 지식인의 위기라는 표현이 사용되어 왔다. 보편적 가치를 추구하며 사회 발전에 중요한 아젠다를 제시하기보다는 권력과 결부하여 때로는 자신의 양심에도 어긋나는 메시지를 내는 지식인들을 보며 많은 이들이 실망감을 느끼고 있다. 지식인은 자유로운 의식을 바탕으로 보편적 가치를 추구하는 특수한 존재론적 사명을 지닌다. 이러한 사명을 다하지 못한다면 지식인은 더 이상 지식인으로서 존경받을 수 없다. 에밀 졸라와 같은 인물이 없었다면 오늘날 프랑스는 선진국은커녕 부정부패가 만연한 국가가 되었을 것이다. 한국 또한 마찬가지이다. 지금과 같은 지식인의 위기가 지속된다면 한국은 과거와 같은 영광스러운 사회 발전을 이루어낼 수 없을 것이다. 에밀 졸라의 삶을 바라보며 한국의 지식인들은 스스로 반성의 시간을 가져야 할 것이다. 정의를 위해 투쟁하기보다는 불의에 눈감고 편안한 삶을 택한다면 이는 지식인으로서의 역할을 포기하는 것과도 다름이 없다. 지식인으로서 자신에게 주어진 소명이 무엇인지 끊임없이 고민하고 그것을 하나하나 실천해나가는 노력이 필요하다. 이러한 지식인이 늘어난다면 우리 사회에서도 머지않아 지식인의 위기라는 표현이 완전히 사라질 것이라 생각한다. 더 나아가 사회적으로 지식인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인식하는 계기를 마련함으로써 대중들에게도 지식인의 역할에 대해 인식할 수 있는 소중한 기회가 되리라고 생각한다.
참고문헌
- 에밀 졸라(2005). 나는 고발한다. 책세상
- 김동노(2014). 개인주의, 공동체주의, 그리고 한국사회의 공공성. 사회이론 제45호, pp.77~108
- 송덕호(2022). 사법적 판단의 오류에 관한 고찰: 프랑스 <칼라스 사건>과 <드레퓌스 사건>을 중심으로. 법학연구 제68집, pp.65-86
- 성일권(2010). 프랑스 지식인들의 탈(脫)자본 국제주의 운동: 대안 세계화 운동을 중심으로. 유럽연구 제28권제2호, pp.127-150
- 이문수(2010). 행정 관료에게 주체적 윤리란 무엇인가?: Max Weber, 행정개혁론자의 윤리론에 대한 대안으로서의 Michel Foucault 윤리론에 대한 시론적 연구. 정부학연구 제16권제2호, pp.211-239
- 이유선(2012). 공공성과 민주주의의 가능성. 사회와철학 제24호, pp.51-78
추천자료
사회학 이론의 발전
[인간과 사회]인간과 사회 시험자료 (핵심요약 및 기출문제)
막스에 대하여
[오늘날의프랑스4]볼테르가 개입한 장 칼라스 사건과 에밀 졸라가 그 부당성을 고발한 드레퓌...
오늘날의프랑스] 볼테르가 개입한 장 칼라스 사건과 에밀 졸라가 그 부당성을 고발한 드레퓌...
(A+, 영어영문학, 오늘날의프랑스, 4-2) 볼테르가 개입한 장 칼라스 사건과 에밀 졸라가 그 ...
[프랑스언어문화학과]오늘날의프랑스1 볼테르가 개입한 장 칼라스 사건과 에밀 졸라가 그 부...
오늘날 프랑스) 볼테르가 개입한 장 칼라스 사건과 에밀 졸라가 그 부당성 고발 드레퓌스 사...
볼테르가 개입한 장 칼라스 사건과 에밀 졸라가 그 부당성을 고발한 드레퓌스 사건을 비교하...
오늘날의 프랑스) 볼테르가 개입 장 칼라스 사건, 에밀 졸라가 그 부당성을 고발한 드레퓌스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