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막시밀리안 카를 에밀 베버(Maximilian Carl Emil Weber) 혹은 막스 베버 (Max Weber, 1864년 4월 21일 ~ 1920년 6월 14일)
2. 막스 베버의 삶
3. 막스 베버의 사상
4. 막스 베버의 관료제론
5. 막스 베버 관료제론의 비판
2. 막스 베버의 삶
3. 막스 베버의 사상
4. 막스 베버의 관료제론
5. 막스 베버 관료제론의 비판
본문내용
하여 비판했는데, 권한의 위임은 구성원의 전문성의 증대와 문제해결 능력의 신장을 가져오지만 하위단위간 칸막이화를 초래한다. 이는 부서간 협력가능성이 줄어드는 것이다. 즉 부성할거주의와도 일맥상통하는 것이다. 물론 권한의 위임과 세분화가 아닌 통합화만이 모든 것을 해결해 주는 것은 아니다. 1994년 재정경제원 창설은 기존 전혀 상반된 두 개의 부서인 재무부와 경제기획원의 통합이었지만 이들간에 발생하던 견제와 균형이라는 순기능 조차도 간과한 측면이 있는 것이다.
3) 골드너의 비판
골드너는 규칙의 경직적 준수, 소극적 해석이 가져오는 비합리성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규칙은 대개 최소한의 행동의 명세화로 나타나는데 이는 구성원활동을 최소한도의 수준으로 끌어내리게 된다. 예를 틀어 출퇴근 시간이나 업무량 할당제 등을 실시할 경우 출근 시간의 경우 출근시간에 정시출근, 퇴근시간의 경우 퇴근시간의 정시퇴근, 업무량할당제에 있어서는 일일할당량에만 한하여 업무수행을 하는 현상이 벌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른바 무사안일주의 복지부동의 현상이 벌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통제규칙이 강화되면 준수자들은 규칙에 포함되어 있는 내용 이외에는 관심을 보이지 않게 되는 것이다.
3) 골드너의 비판
골드너는 규칙의 경직적 준수, 소극적 해석이 가져오는 비합리성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규칙은 대개 최소한의 행동의 명세화로 나타나는데 이는 구성원활동을 최소한도의 수준으로 끌어내리게 된다. 예를 틀어 출퇴근 시간이나 업무량 할당제 등을 실시할 경우 출근 시간의 경우 출근시간에 정시출근, 퇴근시간의 경우 퇴근시간의 정시퇴근, 업무량할당제에 있어서는 일일할당량에만 한하여 업무수행을 하는 현상이 벌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른바 무사안일주의 복지부동의 현상이 벌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통제규칙이 강화되면 준수자들은 규칙에 포함되어 있는 내용 이외에는 관심을 보이지 않게 되는 것이다.
소개글